천자문 (千字文) - 04
[천자문 - 04]
윤여성세 율려조양
閏餘成歲 律呂調陽
<閏 윤달 윤 / 餘 남을 여 / 成 이룰 성 / 歲 해 세
律 법칙 률 / 呂 법칙 려 / 調 고를 조 / 陽 볕 양>
남은(餘)달로 윤달(閏)이 되어 1년(歲)을 이루고(成),
률(律)과 려(呂)로 음양(陽)을 조절(調)한다.
▶ 한자공부
閏 : 문 문門과 임금 왕王이 결합. 옛날에는 윤달마다 왕이 사당을 찾아 제를 지냈다는 데서 '윤달'을 뜻.
餘 : 밥 식食과 나 여余(나무로 지붕을 받친 오두막)가 결합. 余는 발음 역할만 하며 음식이 남았다는 데서 '남다'를 뜻.
成 : 천간 무戊(반달 모양의 날이 달린 창)와 못 정丁이 결합. 무력으로 적을 굴복시킨다는 ‘이루다’.
歲 : 도끼 월戉과 걸음 보步가 결합. 수확 때마다 가축을 죽여 제사 지낸다는 데서 '해', '세월' 등을 뜻한다.
律 : 조금걸을 척彳과 붓 율聿(손에 붓을 쥔 모습)이 결합. 법령을 만들어 널리 공포한다는 데서 '법칙'.
呂 : 사람의 등뼈가 이어져 있는 모습을 나타낸 데서 '등뼈'를 뜻하다가 이후 '법칙'으로도 쓰인다.
調 : 말씀 언言과 두루 주周가 결합. 말이 조화롭다는 데서 '고르다'.
陽 : 언덕 부阝와 볕 양昜(햇볕이 제단 위를 비추고 있는 모습)이 결합. 태양이 제단과 주변을 밝게 비춘다는 데서 '볕'.
▶ 설명
인류가 농경생활을 시작하면서 해와 달의 순환에 따른 역법을 개발했다. 해와 달의 순환주기 차이로 인해 윤달이 생겨 19년 동안 7번의 윤달이 있다. 음력 1개월은 29.53일로 12개월 354.36일이 되고, 양력 1년 365.2422일이 되어, 차이가 약 10.88일이 난다. 5년에 대략 2번 윤달이 오는 셈이다.
세歲는 세성歲星, 즉 목성을 뜻한다. 태양 궤도인 황도黃道를 따라 목성이 머무르고 있는 별자리로 그 해를 기록했다.
율려律呂는 악기 소리를 결정하는 물건으로 12개 대나무관에서 서로 다른 소리가 났는데, 홀수 번째 관에서 나는 소리를 6률六律, 짝수 번째 관에서 나는 소리를 6려六呂라고 불렀다. 이것으로 음악에서 사용하는 소리를 결정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