千字文 - 故事成語
천자문 (千字文) - 13
도원 정운종
2021. 7. 3. 11:43
[천자문 - 13]
弔民伐罪 周發殷湯
조민벌죄 주발은탕
弔 조문할 조/民 백성 민/伐 칠 벌/罪 허물 죄
周 두루 주/發 필 발/殷 은나라 은/湯 끓을 탕
백성(民)을 위로하고(弔) 죄인(罪)을 처벌(伐)했으니,
주나라(周) 무왕 발(發)과 은나라(殷) 시조 탕(湯)왕이다.
▶ 한자공부
弔 : 활 궁弓과 뚫을 곤丨이 결합. 고대 장례풍습에
시신을 숲에 버리는 경우가 있었다. 조문객들은 맹수로 부터 보호하기위해 활을 가지고다녔다.
民 : 고대 노예들에게 한쪽 눈을 찔러 도망가지 못하게 한 모습에서 유래. 이후 일반 백성을 뜻.
伐 : 창 과戈 사람 인. 창으로 사람을 찌르는 '베다', '치다'.
罪 : 아닐 비非(그릇된 일)와 그물 망罒(걸려들다). 죄를 지은 이를 그물로 잡는다 뜻.
周 : 논밭의 둘레를 표현한 것에서 '두르다'.
發 : 등질 발癶과 활 궁弓, 창 수殳가 결합.도망가는 이에게 화살을 '쏘다'. 간체자发.속자発.
殷 : 몽둥이 수殳와 몸 신身. 무기를 들고 성대하게 춤추다. 성하다는 뜻.
湯 : 물 수와 '뜨겁다' 뜻의 볕 양昜. 물이 끓다.
▶ 해설
은나라 시조 탕(湯)임금은 폭군으로 이름난 하나라 걸(桀)왕을 정벌하고 새 왕조를 세웠다.
주 무왕 발(發)은 문왕을 도와 은나라 주(紂)왕을 물리치고 주나라를 세웠다.
고대중국 역사는 요순시대에서 하.은.주 삼대 이후 춘추전국시대로 이어진다. 은나라가 주나라보다 앞서지만 천자문에서는 운율을 더 좋게하기위해 주발은탕으로 이야기한다.
弔民伐罪 周發殷湯
조민벌죄 주발은탕
弔 조문할 조/民 백성 민/伐 칠 벌/罪 허물 죄
周 두루 주/發 필 발/殷 은나라 은/湯 끓을 탕
백성(民)을 위로하고(弔) 죄인(罪)을 처벌(伐)했으니,
주나라(周) 무왕 발(發)과 은나라(殷) 시조 탕(湯)왕이다.
▶ 한자공부
弔 : 활 궁弓과 뚫을 곤丨이 결합. 고대 장례풍습에
시신을 숲에 버리는 경우가 있었다. 조문객들은 맹수로 부터 보호하기위해 활을 가지고다녔다.
民 : 고대 노예들에게 한쪽 눈을 찔러 도망가지 못하게 한 모습에서 유래. 이후 일반 백성을 뜻.
伐 : 창 과戈 사람 인. 창으로 사람을 찌르는 '베다', '치다'.
罪 : 아닐 비非(그릇된 일)와 그물 망罒(걸려들다). 죄를 지은 이를 그물로 잡는다 뜻.
周 : 논밭의 둘레를 표현한 것에서 '두르다'.
發 : 등질 발癶과 활 궁弓, 창 수殳가 결합.도망가는 이에게 화살을 '쏘다'. 간체자发.속자発.
殷 : 몽둥이 수殳와 몸 신身. 무기를 들고 성대하게 춤추다. 성하다는 뜻.
湯 : 물 수와 '뜨겁다' 뜻의 볕 양昜. 물이 끓다.
▶ 해설
은나라 시조 탕(湯)임금은 폭군으로 이름난 하나라 걸(桀)왕을 정벌하고 새 왕조를 세웠다.
주 무왕 발(發)은 문왕을 도와 은나라 주(紂)왕을 물리치고 주나라를 세웠다.
고대중국 역사는 요순시대에서 하.은.주 삼대 이후 춘추전국시대로 이어진다. 은나라가 주나라보다 앞서지만 천자문에서는 운율을 더 좋게하기위해 주발은탕으로 이야기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