千字文 - 故事成語

천자문 (千字文) 103 _ 親戚故舊 老少異糧

도원 정운종 2021. 12. 29. 13:07

친척고구 노소이량  親戚故舊 老少異糧

<親 친할 친 / 戚 친척(근심할) / 故 옛(연고) / 舊 옛 구

老 늙을 로 / 少 젊을 소 / 異 다를 이 / 糧 양식 량>

 

친족()과 외척()과 오랜() 친구()를 대접함은

늙고() 젊음()에 따라 음식()을 달리한다().

 

한자공부

: (설 립)자와 (나무 목)(볼 견). 감정적인 관계가 매우 ‘친밀하다’ 뜻과 눈앞에 보이는 아주 가까운 사람이라는 의미.

: 천간 무戊(반달 모양의 날이 달린 창), 아저씨 숙(콩 줄기콩이 여러 알 들어있는 콩깍지한 가족). 씨족을 상징하는 무기에서 '친척'.

: 예 고古(열 세대에 걸쳐 구전되다), 칠 복(들추어내다). 옛날 일을 들추어낸다는 데서연고’. 자는 아주 오래전에 있었던 전쟁 이야기를 들려준다는 ‘옛날’의 뜻에 자가 더해져 어떤 일의 ‘원인.이유’. 전쟁이 벌어지게 된 ‘이유’. 지금 자는 주로 ‘오래되다’자는 ‘옛날.옛일’을 뜻할 때가 많다.

: 풀많을 추(수리부엉이), 절구 구臼(둥지). (오랠 구)자와 음이 같다는 이유로 ‘오래되다’라는 뜻으로 가차(假借).

: 늙을로엄 로(노인), 비수 비匕(지팡이). 노인이 지팡이를 짚고 있는 모습에서늙다’.

: 4개의 작은 파편이 튀는 모습에서적다’. 작을 소小는 3개의 작은 파편 모습.

: 밭 전田(경계 사유물), 한가지 공共(양손으로 물건를 받든 모습공유물). 사유물과 공유물은 구별된다는 데서 '다르다'.

: 쌀 미米, 헤아릴 량量(깔대기로 포대에 곡식을 담는 모습). 곡식이 담겨있는 보따리양식’.

 

해설

옛부터 음식대접은 매우 중요한 일이었다. 노소에 따라 대접하는 음식 메뉴를 달리한다는 것으로, 나이 든 사람은 대체로 거친 음식은 피하고 부드럽게 익힌 고기가 좋고, 젊은 사람은 비교적 거친 음식도 잘 소화 시키므로, 남녀노소에 따라 음식 대접을 달리 한다는 것이다.

친척(親戚) 자기의 혈족이나 혼인 관계를 통해 혈연적으로 관계가 있는 일정한 범위의 사람들을 말한다. ()은 아버지 쪽 가족을()은 어머니 쪽 가족을 뜻한다()이 다른 일가붙이즉 고종내종외종이종 등을 포함하여 보통 8촌까지를 친척이라 부른다.

[논어(論語) 태백(太白)]편에 사람들을 상대하는 예(禮)에 대한 이야기이다. “子曰 恭而無禮則勞 愼而無禮則 勇而無禮則亂 直而無禮則絞. (자왈 공이무례즉로 신이무례즉시 용이무례즉란 직이무례즉교君子篤於親則民興於仁 故舊 不遺則民不偸 (군자매어친즉민흥어인 고구 불유즉민불투)

공자께서 말씀하셨다. "공손함(恭)도 예()가 없으면 헛수고가 되고(勞), 신중함(愼)도 예가 없으면 두려워하는 것(葸)이 되며, 용맹함(勇)도 예가 없으면 난폭한 것(亂)이 되고, 정직함(直)도 예가 없으면 박절한 것(絞)이 된다. 군자(君子)가 친척(親戚)들에게 후하게 대하면 백성들이 인애(仁愛)의 기풍을 일으키게 되고, 옛 친구(故舊)를 저버리지 않으면 백성들의 마음도 야박(野薄. )해지지 않는다."

노소이량(老少異糧)은 늙은이와 젊은이는 음식을 달리한다는 뜻으로 [예기(禮記) 왕제(王制)]편에 양로(養老)하는 법 구절이다.  

五十異 六十宿肉 七十貳膳 八十常珍 九十飮食不離寢 膳飮從於遊可也 (오십이장 육십숙육 칠십이선 팔십상진 구십음식불리침 선음종어유가야)

   50세는 양식(. 糧食)을 젊은 사람과는 달리하며, 60세는 미리 고기를 준비해서 고기반찬을 빼놓지 않는다.

   70세는 항상 맛좋은 반찬 두 가지는 올려야 하고, 80세는 항상 진미(珍味)가 있어야 한다.

   90세는 음식이 침소(寢所)에 항상 음식이 준비되어야 하며, 맛좋은 음식과 마실 것을 준비해서 그가 가는 곳에 따라다녀야 한다.” 

五十始衰 六十非肉不飽 七十非帛不煖 八十非人不煖 九十雖得人不煖矣. (오십시쇠  육십비육불포  칠십비백불난  팔십비인불난  구십수득인불난의)

50세가 되면 노쇠(老衰)하기 시작하며, 60세가 되면 고기가 아니면 배부르지 않고, 70세가 되면 비단이 아니면 따뜻하지 않으며, 80세가 되면 사람의 체온이 아니면 따뜻하지 않으며, 90세가 되면 사람의 체온을 얻었다 하더라도 따뜻해지지 않는다.

이처럼 노인에게는 젊은이와는 달리 음식을 달리하여 연하고 부드러운 고기반찬을 해 드리고 옷은 가볍고 부드러운 따뜻한 옷으로 해 드려야 한다는 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