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말 어원

마니산 참성단 (塹星壇)

도원 정운종 2022. 10. 2. 16:28

10.3 개천절을 앞두고 고향 친구들과 강화도 마니산에 올랐어요.
간만에 열린 함허동천-참성단 코스의 섬 능선 호방함을 만끽했지요. 정상 참성단에는 분재해 놓은 것 같은 천연기념물 소사나무가 비범해 보였어요.
참성단 뜻을 한자를 통해 이해해 봅니다.
첨성단(瞻星壇:볼첨.별성.제단 단/별을 관찰하는 단)인 줄 알았지만 아니었고, 참성단(參聖壇:참배할 참.성인 성.제단 단/단군 성인을 참배하는 단)도 아니었어요.
알고보니 참성단 (塹星壇:구덩이  참.별성.제단단)이네요. 왜 구덩이(참호) 참 塹자를 쓸까요?
하늘에서 본 참성단 자료사진 모습이  "둥글게 쌓은 참호 위에 사각의 제단" 모양이더군요 (옛 기록에도 그렇고). 단군이 하늘에 제를 올리는 제단이 "둥근 경계에 솟은(별을 관찰하는 단처럼) 사각의 단"모양이라 참호 참.별 성을 썼을 것이라 짐작 되네요. 즉 참성단은 오래된 사상인 천원지방(天圓地方:하늘은 둥글고 땅은 모난. 한국식 정원 특징에도 남아있는)을 나타낸 형상이고 이름이라 생각되네요.

자료사진 - 위에서 본 참성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