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의 이야기

홀기(笏記)용어 및 석전제례 순서

도원 정운종 2024. 4. 26. 17:19

홀기(笏記) 용어

<헌관(獻官) 및 집사(執事)의 명칭(名稱)과 임무(任務)>

 

初獻官 (초헌관)분향과 강신을 행하고 첫 잔을 올리는 제관으로 제사의 주인이다.

亞獻官 (아헌관)두 번째 잔을 올리는 제관.

終獻官 (종헌관)세 번째 잔을 올리는 제관.

.西分獻官 (동서분헌관) : 종향위전에 분향.잔을 올리는 제관

堂上執禮 (당상집례):당상에서 홀기를 읽어 진행을 담당하는 제관.

堂下執禮 (당하집례):당하에서 해설을 담당하는 제관.

典祀 (전사. )제사에 제수를 준비하고 제상을 차리는 일을 맡은 제관,

大祝 (대축)축문을 읽는 제관.

謁者 (알자)()헌관을 안내하는 집사. : 아뢸 알

贊引 (찬인):제집사, 제생, 대축 안내하는 집사.  : 도울 찬

奉香 (봉향)()을 받드는 집사.

奉爐 (봉로)향로를 받드는 집사.

司樽 (사준)준소(樽所술통을 놓아두는 곳)에서 술을 잔에 따르는 집사. : 술통 준

奉爵 (봉작)준소에서 사준이 따른 술잔을 받아 헌관 에게 건네주는 집사.

奠爵 (전작)헌관에게서 술잔을 받아 신위 앞에 올리는 집사.

盥洗 (관세) : 손 씻는 그릇을 관리하는 이,  : 대야 관

贊唱 (찬창) : 집례를 도와 제례를 진행하는 이

執事 (집사) : 봉작과 전작의 역할을 하는 이

廟司 (묘사. 直日) : 의례의 지도와 감찰을 담당하는

諸生 (제생) : 의례에 참석한 모든 이

 

[釋奠笏記]

獻官 以下 各服 其服 (헌관 이하 각복 기복)

: 헌관 이하는 각기 예복을 입으시오

謁者引 初獻官 陞自東階 點視陳設 訖 還出 (알자인 초헌관 승자 동계 점시진설 흘 환출)

: 알자는 헌관을 인도하여 동계로 올라가 진설을 점검하고 나오시오. :이를 흘, 마칠 흘

執禮 廟司 謁者 贊引 先就 階間拜位 (집례 묘사 알자 찬인 선취 계간배위)

北向 四拜 訖 盥手 帨手 各 就位 (북향 사배 흘 관수 세수 각 취위), : 수건 세

: 집례 묘사 알자 찬인은 동쪽문으로 들어가 먼저 계단 아래 배위에서

북향하여 네 번 절하고 손을 씻고 닦은 후 각자 자리로 나아가시오

贊引 引大祝 傳香門前 奉祝板香櫃 引詣香所 降復位

(찬인 인 대축 전향문전 봉축판 향궤 인예향소 강복위)

: 찬인은 대축을 인도하여 전향문에 이르러 축판과 향궤를 받들어 향소에 올려놓고

돌아 나오시오. : 함 궤, : 이를 예. 다다를 예

 

時報擊鼓 (시보격고)

: 행사의 시작을 알리는 북을 치시오.

지금부터 ****년 춘기석전을 봉행하겠습니다 국민의례.

 

獻官及 諸執事 儒生 俱就 門外位 立 (헌관급 제집사 유생 구취 문외위 립)

: 헌관들과 모든 집사, 유생들은 문밖 위치에 서시오

贊引 引大祝及諸執事 入就 階間拜位 北向立 皆 四拜

(찬인 인대축급 제집사 입취 계간배위 북향립 개 사배)

: 찬인은 축과 제 집사를 인도하여 계단 아래 절할 자리에 북향하여 서시오.

모두 네 번 절하시오

 

鞠躬 跪 搢笏

-, -, -, -, 執笏 俯伏興 平身

(국궁 궤 진홀 배1흥 배2흥 배3흥 배4흥 집홀 부복흥 평신)

: 상체를 구부리고 꿇어 앉아 네 번 절한 후 일어나시오, : (사이에)꽂을 진

 

引詣 盥洗位 盥手 帨手 訖 各 就位 (인예 관세위 관수 세수 흘 각 취위)

: 손 씻는 자리에서 손을 씻고 닦은 후 각자 자리로 나아가시오

點燭 開櫝 啓蓋 開扉 降復位 (점촉 개독 계개 개비 강복위)

: 촛불을 밝히고, 신위의 독과 제수의 덮개를 열고 돌아 나오시오. :함 독

謁者引 獻官及 贊引引 分獻官 諸儒生入就 階間拜位 立定

(알자인 헌관급 찬인인 분헌관 제유생입취 계간배위 입정)

: 알자는 헌관을 인도하고 찬인은 분헌관 그리고 제유생을 인도하여 계단아래 절할 자리로 들어와 제자리에 서시오

謁者請 行事 (알자청 행사)

(謁者進 初獻官之左 白有司 謹具請 行事 알자 진 초헌관지좌 백유사 근구청 행사)

: 알자는 초헌관 왼쪽으로 나아가 제향준비가 다 되었음을 아뢰고 행사를 청하시오

獻官 以下 在位者 皆 四拜 (헌관 이하 재위자 개 사배)

: 헌관이하 모든 참석자는 모두 네 번 절하시오

(鞠躬 跪 搢笏 拜-, -, -, -興 執笏 俯伏興 平身)

(국궁 궤 진홀 배1흥 배2흥 배3흥 배4흥 집홀 부복흥 평신)

: 상체를 구부리고 꿇어 앉아 네 번 절한 후 일어나시오

 

<行 奠幣禮 (행 전폐례)>

폐백을 올리는 예를 행하겠습니다

 

謁者 引 初獻官 詣 盥洗位 北向 立 (알자 인 초헌관 예 관세위 북향 립)

: 알자는 초헌관을 인도하여 손 씻는 자리에 북쪽을 향해 서시오

搢笏 盥手 帨手 執笏 (진홀 관수 세수 집홀)

: 홀을 꽂고 손을 씻고 닦은 후 다시 홀을 잡으시오

引詣 大成至聖文宣王 神位前 北向立 獻官 跪 搢笏 (인예 대성지성문선왕 신위전 북향립 헌관 궤 진홀)

: 초헌관을 인도하여 대성지성문선왕 신위전에서 북쪽을 향해 서시오

꿇어앉아 홀을 꽂으시오

奉香 奉爐 進 獻官之 左右 相向 跪 (봉향 봉로 진 헌관지 좌우 상향 궤)

: 봉향 봉로는 헌관의 좌우에 서로 나아가 꿇어 앉으시오

獻官 三上香 (헌관 삼상향)

: 헌관은 향을 세 번 피워 올리시오

奉爐 奠爐 于 香卓 (봉로 전로 우 향탁)

: 봉로는 향합과 향로를 받들어 향탁 위에 올려 놓으시오

大祝 以 幣篚 授 初獻官 (대축 이 폐비 수 초헌관)

: 대축은 폐백 광주리를 받들어 헌관에게 주시오. : 대 광주리 비

初獻官 執幣 獻幣 以幣 授 大祝 (초헌관 집폐 헌폐 이폐 수 대축)

: 초헌관은 폐백을 받들어 헌폐 한 후 다시 대축에게 주시오

大祝 奠于 神位前 (대축 전우 신위전)

: 대축은 폐비를 받아 신위전에 올리시오

初獻官 執笏 俯伏 興 平身 (초헌관 집홀 부복 흥 평신)

: 초헌관은 홀을 잡고 부복하였다 일어나 몸을 바로 서시오

次詣 復聖公 神位前 獻官 跪 搢笏 (차예 복성공 신위전 헌관 궤 진홀)

: 다음은 복성공 신위전에 이르러 꿇어 앉으시고 홀을 꽂으시오

奉香 ~ 平身

次詣 宗聖公 神位前 獻官 跪 搢笏 (차예 종성공 신위전 헌관 궤 진홀)

: 다음은 종성공 신위전에 이르러 꿇어 앉으시고 홀을 꽂으시오

奉香 ~ 平身

次詣 述聖公 神位前 獻官 跪 搢笏 (차예 술성공 신위전 헌관 궤 진홀)

: 다음은 술성공 신위전에 이르러 꿇어 앉으시고 홀을 꽂으시오

奉香 ~ 平身

次詣 亞聖公 神位前 獻官 跪 搢笏 (인예 아성공 신위전 헌관 궤 진홀)

: 다음은 아성공 신위전에 꿇어 앉으시고 홀을 꽂으시오

奉香 ~ 平身

 

行 初獻禮 (행 초헌례)

: 초헌례를 행하겠습니다

謁者引 初獻官詣 大成至聖文宣王 樽所 西向立 (알자인 초헌관예 대성지성문선왕 준소 서향립)

: 알자는 초헌관을 인도하여 대성지성 문선왕 준소에 이르러 서쪽을 향해 서시오

司樽 擧冪 酌 醴齊 奉爵 以爵 受酒 (사준 거멱 작 예제 봉작 이작 수 주)

: 사준은 술독 덮개를 들고 예제를 뜨고 봉작은 잔에 술을 받으시오. : 덮을 멱

引詣 大成至聖文宣王 神位前北向立(獻官跪搢笏) (인예 대성지성문선왕 신위전북향립 (헌관 궤 진홀))

: 이어 헌관을 인도하여 대성지성 문선왕 신위전에서 북쪽을 향해 서시오( 헌관은 꿇어 앉아 홀을 꽂으시오)

奉爵 以爵 授 初獻官 (봉작 이작 수 초헌관)

: 봉작은 잔을 받들어 헌관에게 주시오

獻官 執爵 獻爵 以爵 授 奠爵 (헌관 집작 헌작 이작 수 전작)

: 헌관은 잔을 받아 헌작한 후 다시 전작에게 주시오

奠爵 奠于 神位前 第一坫 (전작 전우 신위전 제일점)

: 전작은 헌관 잔을 받아 신위전 첫 번째 점기에 올리시오. : 잔대 점

獻官 執笏 俯伏 興 平身 (헌관 집홀 부복 흥 평신)

: 헌관은 홀을 잡고 부복하였다 일어나 몸을 바로 서시오

謁者 引 初獻官 詣 配位 樽所 西向立 (알자 인 초헌관 예 배위 준소 서향립)

: 알자는 초헌관을 인도하여 배위준소에 이르러 서쪽을 향해 서시오

司樽 擧冪 酌 醴齊 奉爵 以爵 受酒 (사준 거멱 작 예제 봉작 이작 수주)

: 사준은 술독 덮개를 들고 예제를 뜨고 봉작은 잔에 술을 받으시오

引詣 復聖公 神位前 跪 搢笏 (인예 복성공 신위전 궤 진홀)

: 이어 헌관은 복성공 신위 전에 꿇어 앉아 홀을 꽂으시오

  -. 奉爵 以爵 授 初獻官 (봉작 이작 수 초헌관)

     봉작은 잔을 받들어 헌관에게 주시오

  -. 初獻官 執爵 獻爵 以爵 授 奠爵 (초헌관 집작 헌작 이작 수 전작)

    초헌관은 잔을 받아 헌작한 후 다시 전작에게 주시오

  -. 奠爵 奠于 神位前 第一坫 (전작 전우 신위전 제일점)

    전작은 잔을 받아 신위전 첫 번째 점기에 올리시오

  -. 初獻官 執笏 俯伏 興 平身 (초헌관 집홀 부복 흥 평신)

    초헌관은 홀을 잡고 부복하였다 일어나 몸을 바로 서시오

次詣 宗聖公 神位前 跪 搢笏 (차예 종성공 신위전 궤 진홀)

: 다음 종성공 신위 전에 꿇어 앉아 홀을 꽂으시오

   奉爵 ~ 平身 

次詣 述聖公 神位前 跪 搢笏 (차예 술성공 신위전 헌관 궤 진홀)

: 다음은 술성공 신위 전에 꿇어 앉아 홀을 꽂으시오

   奉爵 ~ 平身 

次詣 亞聖公 神位前 跪 搢笏 (차예 아성공 신위전 궤 진홀)

: 다음 헌관은 아성공 신위 전에 꿇어 앉아 홀을 꽂으시오

   奉爵 ~ 平身 

引詣 大成至聖文宣王神位前 北向立 (獻官 跪 搢笏) (인예 대성지성문선왕신위전 북향립(헌관 궤 진홀))

: 헌관은 대성지성문선왕신위전 앞으로 나아가 서시오  헌관은 꿇어 앉아 홀을 꽂으시오

大祝 進 初獻官 之左 東向跪 (대축진 초헌관 지좌 동향궤)

: 대축은 나아가 초헌관 왼쪽에서 동향하여 꿇어 앉으시오

獻官以下諸執事及 在位者 俯伏 (헌관이하 제 집사급 재위자 부복)

: 헌관이하 제집사 및 제위자는 꿇어 앉으시오

~(~)

: 축문을 읽으시오

讀祝 畢 (독축 필)

: 독축을 마쳤습니다.

獻官 執笏 俯伏 興 平身 (헌관 집홀 부복 흥 평신)

: 헌관은 홀을 잡고 부복하여 일어나 바로 서시오

諸執事及 在位者 興 平身 (제 집사급 재위자 흥 평신)

: 집사를 비롯한 재위자들은 몸을 바로 하시오

謁者引 初獻官 降復位 贊引引 大祝 降復位 (알자인 초헌관 강복위 찬인인 대축 강복위)

: 알자와 찬인은 초헌관과 대축을 인도하여 제자리로 돌아가시오

 

行 亞獻禮 (행 아헌례)

: 아헌례를 행하겠습니다

謁者 引 亞獻官 詣 盥洗位 北向立 (알자 인 아헌관 예 관세위 북향립)

알자는 아헌관을 인도하여 손 씻는 자리로 나와 북쪽을 향해 서시오

~

 

行 終獻禮兼分獻禮 (행 종헌례겸분헌례)

: 종헌례겸 분헌례를 행하겠습니다

謁者 引 終獻官 (알자 인 종헌관 ~)

: 알자는 종헌관과 분헌관을 인도하여

~

 

行 飮福受胙禮 (행 음복수조례)

: 음복례를 행하겠습니다. : 음복 고기 조

贊引引大祝詣 大成至聖文宣王樽所以爵酌 罍福酒

(찬인 인대축예 대성지성문선왕준소이작작 뢰복주) : 술독 뢰

: 찬인은 대축을 인도하여 대성지성문선왕 준소에 이르러 술을 떠서 뢰복주 잔에 따르시오

又引 大祝 持俎 進減 神位前 俎肉 (우인 대축 지조 진감 신위전 조육)

: 또 대축을 인도하여 신위전에 이르러 조육을 도마에 올리시오. : 도마조

謁者 引 初獻官 詣 飮福位 西向立 跪 搢笏 (알자 인 초헌관 승예 음복위 서향립 궤 진홀)

: 알자는 초헌관을 인도하여 음복위에 오르시어 서향하여 꿇어앉아 홀을 꽂으시오

贊引引大祝 進獻官之左 北向跪 以爵授 獻官 (찬인인대축 진헌관지좌 북향궤 이작수 헌관)

: 대축은 헌관 왼쪽으로 나아가 북향하여 꿇어앉아 잔을 헌관에게 드리시오

初獻官 授爵 飮卒爵 大祝 受 虛作 復於坫 (초헌관 수작 음졸작 대축 수 허작 복어점)

: 초헌관은 잔을 받아 다 마시면 대축은 빈 잔을 받아 점기에 올려 놓으시오

大祝 以俎授 獻官 (대축 북향궤 이조수 헌관)

: 대축은 다시 조육을 헌관에게 드리시오

獻官 受俎 以授奠爵 奠爵 受俎 降自東階 出置於門外

(헌관 수조 이수전작 전작 수조 강자동계 출치어문외)

: 헌관은 조육을 받아 전작에게 주면 전작은 받아 동쪽 계단으로 문 밖에 내놓으시오

獻官 執笏 俯伏 興 平身 (헌관 집홀 부복 흥 평신)

: 헌관은 홀을 잡고 부복하였다 일어나 몸을 바로 서시오

謁者 引 初獻官 降復位 (알자 인 초헌관 강복위)

: 알자는 초헌관을 인도하여 자리로 돌아가시오

四拜 獻官 及 皆四拜 (사배 헌관급 개사배)

: 헌관은 모두 네 번 절하시오

鞠躬 跪 搢笏 拜-興 拜-興 拜-興 拜-興 執笏 俯伏 興 平身

(국궁 궤 진홀 배1흥 배2흥 배3흥 배4흥 부복 흥 평신)

상체를 구부리고 꿇어 앉아 절한후 몸을 일으키기 4회 반복, 일어나시오

贊引引大祝 昇 籩豆 少移故處 訖 降復位 (찬인인 대축 승 변두 소이고처 흘 강복위)

: 축은 들어가 변두를 조금씩 옮겨 바로 놓고 자리로 돌아가시오

獻官 以下 在位者 皆四拜 (헌관 이하 재위자 개사배)

: 헌관을 비롯하여 유생 재위자는 모두 네 번 절하시오

鞠躬 跪 搢笏 拜興 拜興 拜興 拜興 執笏 俯伏 興平身

(국궁 궤 진홀 배1흥 배2흥 배3흥 배4흥 집홀 부복 흥 평신)

상체를 구부리고 꿇어 앉은 후 절한후 몸을 일으키기 4회 반복,일어나시오

 

行 望瘞禮 (행 망예례)

망예례를 행하겠습니다. : 묻을 예

謁者 引 初獻官 詣 望瘞位 北向立 (알자 인 초헌관 예 망예위 북향립)

: 알자는 초헌관을 인도하여 망예할 자리에서 북향하여 서시오

贊引引 大祝 陞 以篚取 祝文及幣 降自西階 置於坎 (찬인인 대축 승 이비취 축문급폐 강자서계 치어감)

: 찬인은 대축을 인도하여 광주리에 축문과 폐백을 거두어 서쪽 계단으로 내려가 구덩이에 두시오

焚祝文 置土半坎 (분축문 치토반감)

: 축문을 불사르고 흙으로 반쯤 묻으시오

謁者 引 初獻官 降復位 (알자 인 초헌관 강복위)

: 알자는 초헌관을 인도하여 자리로 돌아가시오

贊引引 大祝 降復位 (찬인인 대축 강복위)

: 찬인은 대축을 인솔하여 제자리로 돌아 가시오

謁者 進 初獻官之左 白 禮畢 (알자 진 초헌관지좌 백 예필)

: 알자는 초헌관 왼쪽으로 나아가 예를 잘 마쳤다고 아뢰시오

謁者引 獻官 及 在位者 以次 出 (알자인 헌관급 재위자 이차 출)

: 알자는 헌관 이하 재위자를 차례로 인솔하여 나가시오

廟司 大祝及 諸執事 昇 閉櫝.消燈.閉扉 以 復就 階間拜位 四拜 以 出

 (묘사 대축급 제집사 승 폐독,소등,폐비 이 부취 계간배위 사배 이 출)

: 묘사 대축과 제집사는 올라 독을 닫고 불을끄고 문을 닫고  다시 섬돌사이 절할 자리에 나아가 네 번 절하고 나가시오

執禮 謁者 贊引 就 階間拜位 四拜以出 (집례 알자 찬인 취 계간배위 사배 이출)

: 집례와 알자 찬인은 섬돌사이 절할 자리에 나아가 4배 하고 나가시오

 

[成均館 大聖殿 位牌奉安圖]

=====================

<석전제(釋奠祭) 홀기(笏記)>

 

行禮始作 : 행례시작

贊引 引儒生 入就門外位 : 찬인 인유생 입취문외위

(찬인은 유생을 인도하여 삼문밖에)

謁者 引獻官 俱就門外位 : 알자 인헌관 구취문외위

(알자는 헌관을 인도하여 함께 문밖에)

執禮 分定記 朗讀 : 집례 분정기 낭독

贊引 引儒生 入就門內位 北向立 : 찬인 인유생 입취문내위 북향립(찬인은 유생을 인도하여. 문안의 자리로. 북쪽을 향해서고)

謁者 引獻官 入就門內位 西向立 : 알자 인헌관 입취문내위 서향립(알자는 헌관을 인도하여. 문안의 자리로. 서쪽을 향해서고)

贊引 引祝官 及諸執事 階間拜位 北向立 皆四拜 : 찬인 인축관 급제집사 계간배위 북향립 개사배(찬인은 축관과 모든 집사를 인도하여. 계간의 배위로 가서. 북향으로 서고. 사배하고)

贊引 引祝官 及諸執事 詣盥洗位 盥手 帨手 各就位 : 찬인 인축관 급제집사 예관 세위 관수 세수 각취위(찬인은 축관 및 모든 집사를 인도하여. 관세위로 나아가. 손을씻고. 수건으로 씻고. 각자의 위치로)

諸執事 點燭 開櫝 啓蓋 開扉 各就位 : 제집사 점촉 개독 계개 개비 각취위(모든 집사는 촛불을 켜고. 독을열고. 예찬을 덮는 복지를 거두고. 문짝을 열고. 각자의 위치로)

司樽 詣爵洗位 洗爵 拭爵 訖置於篚奉 詣樽所置於坫上 : 사준 예작세위 세작 식작 흘치어비봉 예준소치어점상(사준은 작세위로 가서. 술잔을 씻고. 수건으로 닦고. 대광주리에 담고. 준소로 가서 잔대위에 두고)

謁者 各引獻官 及分獻官 入就位 : 알자 각인헌관 급분헌관 입취위(알자는 헌관과 분헌관을 인도하여. 정해진 자리로)

謁者 進初獻官之左 白獻官 謹具請行事 : 알자 진초헌관지좌 백헌관 근구청행사(알자는 초헌관의 왼편에 나아가. 헌관에게 준비가 되었음을 알리고. 삼가 갖추었기로 행사를 청함)

獻官以下 在位者 皆四拜 : 헌관이하 재위자 개사배

(헌관이하 모든 참석자는 모두 사배함)

 

行奠幣禮-행전폐례 : 예물을 드리는 제례

(예물=비단. 면포. 종이 등-고대에는 아주 귀한 물건)

謁者 引初獻官 詣盥洗位 搢笏 盥手 帨手 執笏 : 알자 인초헌관 예관세위 진홀 관수 세수 집홀

(알자는 초헌관을 인도하여. 손씻는 자리로 나아가. 홀을꽂고. 손을씻고. 수건에 손씻고. 홀을잡고)

次詣 大成至聖文宣王神位前 北向跪 搢笏 : 차예 대성지성문선왕신위전 북향궤 진홀

(다음은 대성지성문선왕 신위앞에 나아가. 북쪽을 향해 꿇어앉고. 홀을꽂고)

奉香奉爐 進初獻官之 左右相向跪 : 봉향봉로 진초헌관지 좌우상향궤

(봉향과 봉로는 초헌관의 좌우로 서로 마주보고 꿇어앉고)

三上香 : 삼상향 (향을 세 번 사르고)

奉爐 奠爐于 香卓 : 봉로 전로우 향탁

(봉로는 향로를 향탁에 올리고)

祝官 以幣篚 授初獻官 : 축관 이폐비 수초헌관

(축관은 페백을 담은 광주리를 초헌관에게 주고)

初獻官 執幣 獻幣 以幣 授祝官 : 초헌관 집폐 헌폐 이폐 수축관

(초헌관은 폐비를 잡아 헌폐하고. 폐비를 축관에게 주고)

祝官 奠于神位前 : 축관 전우신위전

(축관은 폐비를 신위전에 올리고)

初獻官 執笏 俛伏興平身 : 초헌관 집홀 면복흥평신

(초헌관은 홀을잡고. 엎드렸다 일어나고)

 

次詣 復聖公 神位前跪 搢笏 : 차예 복성공 신위전궤 진홀

(다음은 복성공 신위전으로 나아가 꿇어앉고. 홀을꽂고)

奉香 奉爐 進初獻官之 左右相向跪 : 봉향봉로 진초헌관지 좌우상향궤

(봉향과 봉로는 초헌관의 좌우로 서로 마주보고 꿇어앉고)

三上香 : 삼상향 (향을 세 번 사르고)

奉爐 奠爐于 香卓 : 봉로 전로우 향탁

(봉로는 향로를 향탁에 올리고)

祝官 以幣篚 授初獻官 : 축관 이폐비 수초헌관

(축관은 폐백을 담은 광주리를 초헌관에게 주고)

初獻官 執幣 獻幣 以幣 授祝官 : 초헌관 집폐 헌폐 이폐 수축관

(초헌관은 폐비를 잡아 헌폐하고. 폐비를 축관에게 주고)

祝官 奠于神位前 : 축관 전우신위전

(축관은 폐비를 신위전에 올리고)

初獻官 執笏 俛伏興平身 : 초헌관 집홀 면복흥평신

(초헌관은 홀을잡고. 엎드렸다 일어나고)

 

次詣 宗聖公 神位前跪 搢笏 : 차예 종성공 신위전궤 진홀

(다음은 종성공 신위전으로 나아가 꿇어앉고. 홀을꽂고)

奉香 奉爐 進初獻官之 左右相向跪 : 봉향봉로 진초헌관지 좌우상향궤

(봉향과 봉로는 초헌관의 좌우로 서로 마주보고. 꿇어앉고)

三上香 : 삼상향 (향을 세 번 사르고)

奉爐 奠爐于 香卓 : 봉로 전로우 향탁

(봉로는. 향로를 향탁에 올리고)

祝官 以幣篚 授初獻官 : 축관 이폐비 수초헌관

(축관은 페백을 담은 광주리를 초헌관에게 주고)

初獻官 執幣 獻幣 以幣 授祝官 : 초헌관 집폐 헌폐 이폐 수축관

(초헌관은 폐비를 잡아 헌폐하고. 폐비를 축관에게 주고)

祝官 奠于神位前 : 축관 전우신위전

(축관은 폐비를 신위전에 올리고)

初獻官 執笏 俛伏興平身 : 초헌관 집홀 면복흥평신

(초헌관은 홀을잡고. 엎드렸다 일어나고)

 

次詣 述聖公 神位前跪 搢笏 : 차예 술성공 신위전궤 진홀

(다음은 술성공 신위전으로 나아가 꿇어앉고. 홀을꽂고)

奉香 奉爐 進初獻官之 左右相向跪 : 봉향봉로 진초헌관지 좌우상향궤

(봉향과 봉로는 초헌관의 좌우로 서로 마주보고. 꿇어앉고)

三上香 : 삼상향

(향을 세 번 사르고)

奉爐 奠爐于 香卓 : 봉로 전로우 향탁

(봉로는 향로를 향탁에 올리고)

祝官 以幣篚 授初獻官 : 축관 이폐비 수초헌관

(축관은 페백을 담은 광주리를 초헌관에게 주고)

初獻官 執幣 獻幣 以幣 授祝官 : 초헌관 집폐 헌폐 이폐 수축관

(초헌관은 폐비를 잡아 헌폐하고. 폐비를 축관에게 주고)

祝官 奠于神位前 : 축관 전우신위전

(축관은 폐비를 신위전에 올리고)

初獻官 執笏 俛伏興平身 : 초헌관 집홀 면복흥 평신

(초헌관은 홀을잡고. 엎드렸다 일어나고)

 

次詣 亞聖公 神位前跪 搢笏 : 차예 아성공 신위전궤 진홀

(다음은 아성공 신위전으로 나아가. 꿇어앉고. 홀을꽂고)

奉香 奉爐 進初獻官之 左右相向跪 : 봉향봉로 진초헌관지 좌우상향궤

(봉향과 봉로는 초헌관의 좌우로 서로 마주보고. 꿇어앉고)

三上香 : 삼상향

(향을 세 번 사르고)

奉爐 奠爐于 香卓 : 봉로 전로우 향탁

(봉로는 향로를 향탁에 올리고)

祝官 以幣篚 授初獻官 : 축관 이폐비 수초헌관

(축관은 페백을 담은 광주리를 초헌관에게 주고)

初獻官 執幣 獻幣 以幣 授祝官 : 초헌관 집폐 헌폐 이폐 수축관

(초헌관은 폐비를 잡아 헌폐하고. 폐비를 축관에게 주고)

祝官 奠于神位前 : 축관 전우신위전

(축관은 폐비를 신위전에 올리고)

初獻官 執笏 俛伏興平身 : 초헌관 집홀 면복흥평신

(초헌관은 홀을잡고. 엎드렸다 일어나고)

 

謁者 贊引 各引初獻官 祝官 降復位 : 알자 찬인 각인초헌관 급축관 강복위

(알자와 찬인은 초헌관과 축관을 인도하여 제자리로)

 

行初獻禮-행초헌례=초헌관이 드리는 제례

謁者 引初獻官 詣大成至聖文宣王 樽所 西向立 : 알자 인초헌관 예대성지성문선왕 준소 서향립

(알자는 초헌관을 인도하여. 대성지성문선왕 준소로 나아가. 서쪽을 향해서고)

次詣 大成至聖文宣王神位前 北向立跪 搢笏 : 차예 대성지성문선왕신위전 북향립궤 진홀

(다음은 대성지성문선왕의 신위전에 나아가. 북쪽을 향해 섯다가 꿇어앉고. 홀을꽂고)

司樽擧冪 酌醴齊 : 사준거멱 작예제

(사준은 술통을 열고. 예제를 뜨고)

奉爵 以爵 受爵 授初獻官 : 봉작 이작 수작 수초헌관

(봉작은 술잔을 받아. 초헌관에게 주고)

初獻官 執爵 獻爵 以爵 授奠爵=초헌관 집작 헌작 이작 수전작

(초헌관은 술잔을 잡아 헌작하고. 잔을 전작에게 주고)

奠爵 奠于神位前 : 전작 전우신위전

(전작은 신위전에 올리고)

初獻官 執笏 俛復興平身 : 초헌관 집홀 면복흥평신

(초헌관은 홀을잡고. 부복하였다가 일어나고)

謁者 引初獻官 詣配位樽所 西向立 : 알자 인초헌관 예배위준소 서향립

(알자는 초헌관을 인도하여. 배위의 준소로 나아가. 서쪽을 향해 서고)

 

次詣 復聖公 神位前 北向立跪 搢笏 : 차예 복성공 신위전 북향립궤 진홀

(다음은 복성공 신위전에 나아가. 북쪽을 향해 섯다가. 꿇어앉고. 홀을꽂고)

司樽擧冪 酌醴齊 : 사준거멱 작예제

(사준은 술통을 열고. 예제를 뜨고)

奉爵 以爵 受爵 授初獻官 : 봉작 이작 수작 수초헌관

(봉작은 술잔을 받아. 초헌관에게 주고)

初獻官 執爵 獻爵 以爵 授奠爵 : 초헌관 집작 헌작 이작 수전작

(초헌관은 술잔을 잡아 헌작하고. 잔을 전작에게 주고)

奠爵 奠于神位前 : 전작 전우신위전

(전작은 신위전에 올리고)

初獻官 執笏 俛復興平身 : 초헌관 집홀 면복흥평신

(초헌관은 홀을잡고. 부복하였다가 일어나고)

 

次詣 宗聖公 神位前 北向立跪 搢笏 : 차예 종성공 신위전 북향

립궤 진홀

(다음은 종성공 신위전에 나아가. 북쪽을 향해 섯다가. 꿇어앉고. 홀을꽂고)

司樽擧冪 酌醴齊 : 사준거멱 작예제

(사준은 술통을 열고. 예제를 뜨고)

奉爵 以爵 受爵 授初獻官 : 봉작 이작 수작 수초헌관

(봉작은 술잔을 받아. 초헌관에게 주고)

初獻官 執爵 獻爵 以爵 授奠爵 : 초헌관 집작 헌작 이작 수전작

(초헌관은 술잔을 잡아 헌작하고. 잔을 전작에게 주고)

奠爵 奠于神位前 : 전작 전우신위전

(전작은 신위전에 올리고)

初獻官 執笏 俛復興平身 : 초헌관 집홀 면복흥평신

(초헌관은 홀을잡고. 부복하였다가 일어나고)

 

次詣 述聖公 神位前 北向立跪 搢笏 : 차예 술성공 신위전 북향립궤 진홀

(다음은 술성공 신위전에 나아가. 북쪽을 향해 섯다가. 꿇어앉고. 홀을꽂고)

司樽擧冪 酌醴齊 : 사준거멱 작예제

(사준은 술통을 열고. 예제를 뜨고)

奉爵 以爵 受爵 授初獻官 : 봉작 이작 수작 수초헌관

(봉작은 술잔을 받아. 초헌관에게 주고)

初獻官 執爵 獻爵 以爵 授奠爵 : 초헌관 집작 헌작 이작 수전작

(초헌관은 술잔을 잡아 헌작하고. 잔을 전작에게 주고)

奠爵 奠于神位前 : 전작 전우신위전

(전작은 신위전에 올리고)

初獻官 執笏 俛復興平身 : 초헌관 집홀 면복흥평신

(초헌관은 홀을잡고. 부복하였다가 일어나고)

 

次詣 亞聖公 神位前 北向立跪 搢笏 : 차예 아성공 신위전 북향립궤 진홀

(다음은 아성공 신위전에 나아가. 북쪽을 향해 섯다가. 꿇어앉고. 홀을꽂고)

司樽擧冪 酌醴齊 : 사준거멱 작예제

(사준은 술통을 열고. 예제를 뜨고)

奉爵 以爵 受爵 授初獻官 : 봉작 이작 수작 수초헌관

(봉작은 술잔을 받아. 초헌관에게 주고)

初獻官 執爵 獻爵 以爵 授奠爵 : 초헌관 집작 헌작 이작 수전작

(초헌관은 술잔을 잡아 헌작하고. 잔을 전작에게 주고)

奠爵 奠于神位前 : 전작 전우신위전

(전작은 신위전에 올리고)

初獻官 執笏 俛復興平身 : 초헌관 집홀 면복흥평신

(초헌관은 홀을 잡고. 부복하였다가 일어나고)

 

次詣 大成至聖文宣王 神位前 北向立跪 搢笏 : 차예 대성지성문선왕 신위전 북향립궤 진홀

(다음은 대성지성문선왕 신위 앞에 나아가. 북향하고 꿇어앉고. 홀을꽂고)

贊引 引祝官 進初獻官之左 東向立跪 : 찬인 인축관 진초헌관지좌 동향립궤

(찬인은 축관을 인도하여. 초헌관의 좌편에 나아가. 동향하여 서고. 꿇어앉고)

獻官以下 諸執事 在位者 俯伏 : 헌관이하 제집사 재위자 부복

(헌관이하 모든 집사와 참석자는 부복하고)

讀祝=독축(축문을 읽고)

讀祝畢 : 독축필(독축을 마치고)

初獻官 執笏 俛伏興平身 : 초헌관 집홀 면복흥평신

(초헌관은 홀을잡고. 부복하였다가 일어나고)

諸執事 及在位者 興平身 : 제집사 급재위자 흥평신

(모든 집사와 참석자는 일어나고)

謁者 贊引 各引 初獻官 祝官 降復位 : 알자 찬인 각인 초헌관 축관 강복위

(알자와 찬인은 초헌관과 축관을 인도하여. 제자리로)

 

行亞獻禮-행아헌례(아헌관이 드리는 제례)

謁者 引亞獻官 詣盥洗位 搢笏 盥手 帨手 執笏 : 알자 인아헌관 예관세위 진홀 관수 세수 집홀

(알자는 아헌관을 인도하여. 관세위로 가고. 홀을꽂고. 손을씻고. 수건으로 손씻고. 홀을잡고)

次詣 大成至聖文宣王 樽所 西向立 : 차예 대성지성문선왕 준소 서향립

(다음은 대성지성문선왕 준소로 나아가. 서쪽을 향해서고)

次詣 大成至聖文宣王神位前 北向立跪 搢笏 : 차예 대성지성문선왕신위전 북향립궤 진홀

(다음은 대성지성문선왕 신위전에 나아가. 북쪽을 향해 섯다가. 꿇어앉고. 홀을꽂고)

司樽擧冪 酌盎齊 : 사준거멱 작앙제

(사준은 술통을 열고. 앙제를 뜨고)

奉爵 以爵 受爵 授亞獻官 : 봉작 이작 수작 수아헌관

(봉작은 술잔을 받아. 아헌관에게 주고)

亞獻官 執爵 獻爵 以爵 授奠爵 : 아헌관 집작 헌작 이작 수전작

(아헌관은 술잔을 잡아 헌작하고. 잔을 전작에게 주고)

奠爵 奠于神位前 : 전작 전우신위전

(전작은 신위전에 올리고)

亞獻官 執笏 俛復興平身 : 아헌관 집홀 면복흥평신

(아헌관은 홀을잡고. 부복하였다가 일어나고)

謁者 引亞獻官 詣配位樽所 西向立 : 알자 인아헌관 예배위준소 서향립

(알자는 아헌관을 인도하여. 배위의 준소로 나아가 서쪽을 향해서고)

 

次詣 復聖公 神位前 北向立跪 搢笏 : 차예 복성공 신위전 북향립궤 진홀

(다음은 복성공 신위전에 나아가. 북쪽을 향해 섯다가. 꿇어앉고. 홀을꽂고)

司樽擧冪 酌盎齊 : 사준거멱 작앙제

(사준은 술통을 열고. 앙제를 뜨고)

奉爵 以爵 受爵 授亞獻官 : 봉작 이작 수작 수아헌관

(봉작은 술잔을 받아. 아헌관에게 주고)

亞獻官 執爵 獻爵 以爵 授奠爵 : 아헌관 집작 헌작 이작 수전작

(아헌관은 술잔을 잡아 헌작하고. 잔을 전작에게 주고)

奠爵 奠于神位前 : 전작 전우신위전

(전작은 신위전에 올리고)

亞獻官 執笏 俛復興平身 : 아헌관 집홀 면복흥평신

(아헌관은 홀을잡고. 부복하였다가 일어나고)

 

次詣 宗聖公 神位前 北向立跪 搢笏 : 차예 종성공 신위전 북향립궤 진홀

(다음은 종성공 신위전에 나아가. 북쪽을 향해 섯다가. 꿇어앉고. 홀을꽂고)

司樽擧冪 酌盎齊 : 사준거멱 작앙제

(사준은 술통을 열고. 앙제를 뜨고)

奉爵 以爵 受爵 授亞獻官 : 봉작 이작 수작 수아헌관

(봉작은 술잔을 받아. 아헌관에게 주고)

亞獻官 執爵 獻爵 以爵 授奠爵 : 아헌관 집작 헌작 이작 수전작

(아헌관은 술잔을 잡아 헌작하고. 잔을 전작에게 주고)

奠爵 奠于神位前 : 전작 전우신위전

(전작은 신위전에 올리고)

亞獻官 執笏 俛復興平身 : 아헌관 집홀 면복흥평신

(아헌관은 홀을잡고. 부복하였다가 일어나고)

 

次詣 述聖公 神位前 北向立跪 搢笏 : 차예 술성공 신위전 북향립궤 진홀

(다음은 술성공 신위전에 나아가. 북쪽을 향해 섯다가. 꿇어앉고. 홀을꽂고)

司樽擧冪 酌盎齊 : 사준거멱 작앙제

(사준은 술통을 열고. 앙제를 뜨고)

奉爵 以爵 受爵 授亞獻官 : 봉작 이작 수작 수아헌관

(봉작은 술잔을 받아. 아헌관에게 주고)

亞獻官 執爵 獻爵 以爵 授奠爵 : 아헌관 집작 헌작 이작 수전작

(아헌관은 술잔을 잡아 헌작하고. 잔을 전작에게 주고)

奠爵 奠于神位前 : 전작 전우신위전

(전작은 신위전에 올리고)

亞獻官 執笏 俛復興平身 : 초헌관 집홀 면복흥평신

(아헌관은 홀을 잡고. 부복하였다가 일어나고)

 

次詣 亞聖公 神位前 北向立跪 搢笏 : 차예 아성공 신위전 북향립궤 진홀

(다음은 아성공 신위전에 나아가. 북쪽을 향해 섯다가. 꿇어앉고. 홀을꽂고)

司樽擧冪 酌盎齊 : 사준거멱 작앙제

(사준은 술통을 열고. 앙제를 뜨고)

奉爵 以爵 受爵 授亞憲官 : 봉작 이작 수작 수아헌관

(봉작은 술잔을 받아. 아헌관에게 주고)

亞獻官 執爵 獻爵 以爵 授奠爵 : 아헌관 집작 헌작 이작 수전작

(아헌관은 술잔을 잡아 헌작하고. 잔을 전작에게 주고)

奠爵 奠于神位前 : 전작 전우신위전

(전작은 신위전에 올리고)

亞獻官 執笏 俛復興平身 : 아헌관 집홀 면복흥평신

(아헌관은 홀을잡고. 부복하였다가 일어나고)

謁者 引亞獻官 降復位 : 알자 인아헌관 강복위

(알자는 아헌관을 인도하여. 제자리로)

 

行終獻禮-행종헌례(종헌관이 드리는 제례)

謁者 引終獻官 詣盥洗位 搢笏 盥手 帨手 執笏 : 알자 인종헌관 예관세위 진홀 관수 세수 집홀

(알자는 종헌관을 인도하여 관세위로 나아가. 홀을꽂고. 손을씻고. 수건으로 손씻고. 홀을잡고)

次詣 大成至聖文宣王樽所 西向立 : 인예 대성지성문선왕 준소 서향립

(다음은 대성지성문선왕 준소로 나아가. 서쪽을 향해서고)

次詣 大成至聖文宣王神位前 北向立跪 搢笏 : 차예 대성지성문선왕신위전 북향립궤 진홀

(다음은 대성지성문선왕 신위전에 나아가. 북쪽을 향해 섯다가. 꿇어앉고. 홀을꽂고)

司樽擧冪 酌淸酒 : 사준거멱 작청주

(사준은 술통을 열고. 청주를 뜨고)

奉爵 以爵 受爵 授終獻官 : 봉작 이작 수작 수종헌관

(봉작은 술잔을 받아 종헌관에게 주고)

終獻官 執爵 獻爵 以爵 授奠爵 : 종헌관 집작 헌작 이작 수전작

(종헌관은 술잔을 잡아 헌작하고. 잔을 전작에게 주고)

奠爵 奠于神位前 : 전작 전우신위전

(전작은 신위전에 올리고)

終獻官 執笏 俛復興平身 : 종헌관 집홀 면복흥평신

(종헌관은 홀을잡고. 부복하였다가 일어나고)

謁者 引終獻官 詣配位樽所 西向立 : 알자 인종헌관 예배위 진준소 서향립

(알자는 종헌관을 인도하여. 배위의 준소로 나아가 서쪽을 향해서고)

 

次詣 復聖公 神位前 北向立跪 搢笏 : 차예 복성공 신위전 북향립궤 진홀

(다음은 복성공 신위전에 나아가. 북쪽을 향해 섯다가. 꿇어앉고. 홀을꽂고)

司樽擧冪 酌淸酒 : 사준거멱 작청주

(사준은 술통을 열고. 청주를 뜨고)

奉爵 以爵 受爵 授終獻官 : 봉작 이작 수작 수종헌관

(봉작은 술잔을 받아. 종헌관에게 주고)

終獻官 執爵 獻爵 以爵 授奠爵 : 종헌관 집작 헌작 이작 수전작

(종헌관은 술잔을 잡아 헌작하고. 잔을 전작에게 주고)

奠爵 奠于神位前 : 전작 전우신위전

(전작은 신위전에 올리고)

終獻官 執笏 俛復興平身 : 종헌관 집홀 면복흥평신

(종헌관은 홀을 잡고. 부복하였다가 일어나고)

 

次詣 宗聖公 神位前 北向立跪 搢笏 : 차예 종성공 신위전 북향립궤 진홀

(다음은 종성공 신위전에 나아가. 북쪽을 향해 섯다가. 꿇어앉고. 홀을꽂고)

司樽擧冪 酌淸酒 : 사준거멱 작청주

(사준은 술통을 열고. 청주를 뜨고)

奉爵 以爵 受爵 授終憲官 : 봉작 이작 수작 수종헌관

(봉작은 술잔을 받아. 종헌관에게 주고)

終獻官 執爵 獻爵 以爵 授奠爵 : 종헌관 집작 헌작 이작 수전작

(종헌관은 술잔을 잡아 헌작하고. 잔을 전작에게 주고)

奠爵 奠于神位前 : 전작 전우신위전

(전작은 신위전에 올리고)

終獻官 執笏 俛復興平身 : 종헌관 집홀 면복흥평신

(종헌관은 홀을잡고. 부복하였다가 일어나고)

 

次詣 述聖公 神位前 北向立跪 搢笏 : 차예 술성공 신위전 북향립궤 진홀

(다음은 술성공 신위전에 나아가. 북쪽을 향해 섯다가. 꿇어앉고. 홀을꽂고)

司樽擧冪 酌淸酒 : 사준거멱 작청주

(사준은 술통을 열고. 청주를 뜨고)

奉爵 以爵 受爵 授終獻官 : 봉작 이작 수작 수종헌관

(봉작은 술잔을 받아. 종헌관에게 주고)

終獻官 執爵 獻爵 以爵 授奠爵 : 종헌관 집작 헌작 이작 수전작

(종헌관은 술잔을 잡아 헌작하고. 잔을 전작에게 주고)

奠爵 奠于神位前 : 전작 전우신위전

(전작은 신위전에 올리고)

終獻官 執笏 俛復興平身 : 종헌관 집홀 면복흥평신

(종헌관은 홀을잡고. 부복하였다가 일어나고)

 

次詣 亞聖公 神位前 北向立跪 搢笏 : 차예 아성공 신위전 북향립궤 진홀

(다음은 아성공 신위전에 나아가. 북쪽을 향해 섯다가. 꿇어앉고. 홀을꽂고)

司樽擧冪 酌淸酒 : 사준거멱 작청주

(사준은 술통을 열고. 청주를 뜨고)

奉爵 以爵 受爵 授終獻官 : 봉작 이작 수작 수종헌관

(봉작은 술잔을 받아. 종헌관에게 주고)

終獻官 執爵 獻爵 以爵 授奠爵 : 종헌관 집작 헌작 이작 수전작

(종헌관은 술잔을 잡아 헌작하고. 잔을 전작에게 주고)

奠爵 奠于神位前 : 전작 전우신위전

(전작은 신위전에 올리고)

終獻官 執笏 俛復興平身 : 종헌관 집홀 면복흥평신

(종헌관은 홀을잡고. 부복하였다가 일어나고)

 

謁者 引終獻官 降復位 : 알자 인종헌관 강복위

(알자는 종헌관을 인도하여. 제자리로)

 

行分獻禮(분헌관이 드리는 제례)

謁者 贊引 各引分獻官 詣盥洗位 搢笏 盥手 帨手 執笏 : 알자 찬인 각인분헌관 예관세위 진홀 관수 세수 집홀

(알자와 찬인은 각자 분헌관을 인도하여. 손씻는 자리로 가서. 홀을꽂고. 손을씻고. 수건으로 씻고. 홀을잡고)

次詣 引東西分獻官 從享位樽所 西向立 : 차예 인동서분헌관 종향위준소 서향립

(다음은 동서 분헌관을 인도하여. 종향위 준소에 나아가 서쪽을 향해서고)

次詣 各從享位 神位前 各向立跪 搢笏 : 차예 각종향위 신위전 각향립궤 진홀

(다음은 각 종향위 신위전으로 나아가. 각각 방향에 맞게서고. 꿇어앉고. 홀을꽂고)

分獻官 三上香 : 분헌관 삼상향

(분헌관은 향을 세 번 사르고)

各奉爐 奠爐于 香卓 : 각봉로 전로우 향탁

(각 봉로는 향로를 향탁에 올리고)

分獻官 酌獻 如上儀 : 분헌관 작헌 여상의

(분헌관은 위의 의식과 같이 술잔을 올리고)

分獻官 俛復興平身 : 분헌관 면복흥평신

(분헌관은 몸을 구부렸다. 일어나고)

謁者 贊引 各引分獻官 降復位 : 알자 찬인 각인 분헌관 강복위

(알자와 찬인은 각각의 분헌관을 인도하여 제자리로)

 

行飮福禮-행음복례 : 복을 마시는 제례

贊引 引祝官 詣文宣王 樽所 以爵 爵罍 福酒 : 찬인 인축관 예문선왕 준소 이작 작뢰 복주

(찬인은 축관을 인도하여. 문선왕 준소로 나아가. 술잔에 복주를 뜨고)

祝官 持俎進減 神位前 胙肉 : 축관 지조진감 신위전 조육

(축관은 도마를 들고 신위전으로 가서. 제사지낸 고기를 덜어내고)

謁者 引初獻官 詣飮福位 西向立跪 搢笏 : 알자 인초헌관 예음복위 서향립궤 진홀

(알자는 초헌관을 인도하여. 음복위에 나아가 서향하고. 끓어앉고. 홀을꽂고)

贊引 引祝官 進初獻官之左 北向跪 : 찬인 인축관 진초헌관지좌 북향궤

(찬인은 축관을 인도하여. 초헌관의 왼편에 나아가 북향으로 꿇어앉고)

以爵 授初獻官 : 이작 수초헌관

(술잔을 초헌관에게 주고)

初獻官 受爵 飮卒爵 : 초헌관 수작 음졸작

(초헌관은 술잔을 받아 다 마시고)

祝官 受虛爵 復於坫 : 축관 수허작 복어점

(축관은 빈 잔을 받아. 잔대에 두고)

祝官 以俎 授初獻官 : 축관 이조 수초헌관

(축관은 도마를 초헌관에게 주고)

初獻官 受俎 以授執事 : 초헌관 수조 이수집사

(초헌관은 도마를 받아. 집사에게 주고)

執事受俎 降自東階 出門 : 집사수조 강자동계 출문

(집사는 도마를 받아. 동쪽 계단을 이용하여. 문밖으로 나가고)

獻官執笏 俛復興平身 : 헌관집홀 면복흥평신

(헌관은 홀을 잡고. 엎드렸다 몸을 일으키고)

 

謁者 贊引 各引 初獻官 祝官 降復位=알자 찬인 각인 초헌관 축관 강복위

(알자와 찬인은 각각 초헌관과 축관을 인도하여. 제자리로)

獻官以下 在位者 皆四拜 : 헌관이하 재위자 개사배

(헌관이하 모든 참석자는 모두 사배함)

 

撤籩豆 : 철변두(제물을 거둠)

贊引 引祝官 撤籩豆 各一少移 : 찬인 인축관 철변두 각일소이

(찬인은 축관을 인도하여. 변과 두 제기를 거두고. 각각 조금씩 옮김)

降復位 : 강복위(제자리로)

獻官以下 在位者 皆四拜 : 헌관이하 재위자 개사배

(헌관이하 모든 참석자는 모두 사배함)

 

行望燎禮-행망료례(축문 등을 태우는 례)

謁者 引初獻官 詣望燎位 北向立. 執禮 帥贊者 詣望燎位 西向立 : 알자 인초헌관 예망료위 북향립 집례 수찬자 예망료위 서향립

(알자는 초헌관을 인도하여 태우는 자리로 나아가. 북쪽을 향해 서고. 집례는 도운자를 거느리고 망료위의 서향에 서고)

贊引 引祝官 以篚取祝 及幣 降自西階 置於坎 : 찬인 인축관 이비취축 급폐 강자서계 치어감

(찬인은 축관을 인도하여. 대광주리에 축문과 폐백을 담아. 서쪽 계단으로 내려가. 구덩이에 넣고)

可燎 置土半坎 : 가료 치토반감

(축문과 폐백을 불사른 후. 흙으로 반쯤 묻고)

謁者 引初獻官 復位 : 알자 인초헌관 복위

(알자는 초헌관을 인도하여 제자리로)

贊引 引祝官 執禮 贊者 復位 : 찬인 인축관 집례 찬자 복위

(찬인은 축관과 집례 찬자를 인도하여. 제자리로)

謁者 進初獻官之左 白禮畢 : 알자 진초헌관지좌 백예필

(알자는 초헌관의 왼편에 나아가 예필을 아뢰고)

謁者 贊引 各引獻官 及在位者 出 : 알자 찬인 각인헌관 급재위자 출

(알자와 찬인은 각각 인도한 헌관 및 참석자는 다 나가고)

贊引 引祝官 及諸執事 俱復 階間拜位 四拜 : 찬인 인축관 급제집사 구복 계간배위 사배

(찬인은 축관과 모든 집사를 인도하여. 다시 계간의 절하는 자리고 가서 사배하고)

贊引 引祝官 及諸執事 以次出 : 찬인 인축관 급제집사 이차출

(친인은 축관과 모든 집사를 인도하여 차례로 나가고)

典祀官 帥其屬 撤禮饌 閉櫝 消燈 閉扉 : 전사관 수기속 철예찬 폐독 소등 폐비

(전사관은 그 소속을 거느리고. 예찬을 거두고. 독을덮고. 불을끄고. 문짝을 닫고)

執禮 帥典祀官 及謁者 贊引 俱復 階間拜位 四拜 訖以次出 : 집례 수전사관 급알자 찬인 구복 계간배위 사배 흘이차출

(집례는 전사관 및 알자 찬인을 거느리고. 다시 계간의 배위로 가서. 사배를 하고 차례로 나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