百聯抄解 (花笑檻前.. ~ 花前酌酒..)
[百聯抄解]
조선 명종때 하서(河西) 김인후 선생(金麟厚, 1510~1560)이 편찬한 한시교재이다.
초학자에게 한시를 가르치기 위해 칠언시(七言詩)가운데 문장의 대련(對聯.聯句) 100개를 뽑아 한글 해석을 붙여 만든 책이다.
1. 花笑檻前聲未聽 화소함전성미청
鳥啼林下淚難看 조제임하누난간
꽃은 난간 앞에서 웃는데 소리는 들리지 않고
새는 수풀 속에서 우는데 눈물은 보이지 않네. - 이인로 破閑集
2. 花含春意無分別 화함춘의무분별
物感人情有淺深 물감인정유천심
봄뜻을 머금은 꽃들은 분별하는 마음이 없는데
경물을 느끼는 사람의 감정에는 얕고 깊음이 있구나. - 당, 白居易
3. 花因雨過紅將老 화인우과홍장로
柳被風欺綠漸除 유피풍기녹점제
꽃은 비가 지나감으로 인해 붉은 빛이 늘어가고
버들은 바람에 업신여김을 받으니 녹색 빛이 점점 낮아진다.
4. 花衰必有重開日 화쇠필유중개일
人老曾無更少年 인노증무갱소년
꽃은 시들어도 반드시 다시 필 날이 있지만
사람은 늙어도 일찌기 다시 소년이 될 수 없네. - 송 陳著
5. 花色淺深先後發 화색천심선후발
柳行高下古今栽 류항고하고금재
꽃빛이 옅고 짙음은 먼저 피고 뒤에 피기 때문이요
버들이 높고 낮은 것은 옛날과 지금에 심었기 때문이네. - 김정국 思齋集
6. 花不語言能引蝶 화불어언능인접
雨無門戶解關人 우무문호해관인
꽃은 말은 안해도 능히 나비를 끌어오고
비는 문호가 없어도 사람 가둘 줄을 안다네.
7. 花間蝶舞紛紛雪 화간접무분분설
柳上鶯飛片片金 류상앵비편편금
꽃사이에 나비가 춤추는 것이 어지러이 날리는 눈과 같고
버들 위에 꾀꼬리가 나는 것이 조각 조각 금덩어리 같네.
8. 花裏着碁紅照局 화리착기홍조국
竹間開酒碧迷樽 죽간개주벽미준
꽃 속에서 바둑을 두니 붉음이 바둑판에 비치고
대나무 사이에서 술자리를 펼치니 푸르름이 술동이에 아득하네.
9. 花落庭前憐不掃 화락정전련불소
月明窓外愛無眠 월명창외애무면
뜰앞에 꽃이 떨어졌어도 가련하여 쓸 수가 없고
창 밖에 달이 밝으니 사랑스러워 잠을 이루지 못하네.
10. 花前酌酒呑紅色 화전작주탄홍색
月下烹茶飮白光 월하팽다음백광
꽃 앞에서 술을 잔질하니 붉은 빛을 삼키는 듯하고
달아래 차를 달이니 흰달 빛을 마시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