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의학 이야기

오행(五行) 원리, 적용

도원 정운종 2025. 5. 22. 16:13

[오행의 원리, 적용]

오행의 원리는 섭생 및 한의학 치료의 기본원리로 , 일상생활과 식생활에 적용 가능한 건강비결이다.

상생으로 조화를 이루고, 상극으로 균형을 잡는 지혜이다.

* 상생은 약효를 상승시키는 효과로 감기약 복용 시 생강차를 마시면 땀을 더 잘 내어 해열에 효과적이다. 반면 상극은 균형 조절의 원리로 불면증 약을 쓸 때 심화만 꺼주는 게 아니라 신장을 함께 보해줘야 부작용이 없다.

 

1. 오행배속 과 음식 활용

 

-. 오행의 목(木)은 인체 장부중 간. 담에 해당하고, 목이 주관하는 맛은 신맛(酸)이다.

-. 오행의 화(火)는 인체 장부중 심. 소장에 해당하고, 화가 주관하는 맛은 쓴맛(苦)이다.

-. 오행의 토(土)는 인체 장부중 비. 위에 해당하고, 토가 주관하는 맛은 단맛(甘)이다.

-. 오행의 금(金)은 인체 장부중 폐. 대장에 해당하고, 금이 주관하는 맛은 매운맛(辛)이다.

-. 오행의 수(水)는 인체 장부중 신장과 방광에 해당하고, 수가 주관하는 맛은 짠맛(鹹)이다.

 

-. 목(木) : 신맛 – 간 강화 – 매실, 유자, 시금치

-. 화(火) : 쓴맛 – 심장 보호 – 쑥, 연근, 치커리

-. 토(土) : 단맛 – 비위 보강 – 호박, 감자, 찹쌀

​-. 금(金) : 매운맛 – 폐 강화 – 무, 생강, 양파

-. 수(水) : 짠맛 – 신장 보강 – 미역, 다시마, 검은콩

* 봄철엔 ‘목’ 기운을 도우는 신맛으로 간을 보하고, 여름엔 ‘화’ 기운에 쓴맛과 차가운 성질의 식품으로 심화를 식혀준다.

 

 

<오행과 색깔>

-. 간,담이 약하면 녹색을 보거나, 싱싱한 샐러드.녹즙등 녹색 식품을 먹으면 간기능 개선에 도움된다.

-. 우울할 때 빨간 장미 꽃다발을 받으면 기분이 상쾌해진다.

-. 황색음식인 단호박을 먹으면 위장기능이 좋아진다.

-. 양기가 허하거나, 혈액순환이 안될 때 얼굴은 흰색을 띤다. 

-. 신장기능이 약하거나, 찬기운이 너무 많거나, 몸에 담이 있거나, 나쁜 피가 있는 경우 얼굴이 검어진다.

 

 

<오행 배속표>

구 분
목()
화()
토()
금()
수()
색깔(五色)
푸른색()
붉은색()
노랑색()
흰색()
검은색()
성질(五性)
생성
성장, 분열
조화, 완성
수렴, 결실
휴식, 응집
방위(方位)
동()
남()
중앙(中央)
서(西)
북()
신체(五體)
근육()
혈맥(血脈)
살()
털()
뼈()
맛(五味)
신맛()
쓴맛()
단맛()
매운맛()
짠맛()
감정(五情)
분노()
기쁨()
사려(思)
슬픔()
두려움()
오장(五臟)
간() :
심장() :
비장()
허파() :
콩팥() :
육부(六腑)
쓸개()
소장(小腸)
위(),삼초(三焦)
대장(大腸)
방광(膀胱)
정신(精神)
혼()
신()
뜻()
백() : 넋
정()
오관(五官)
눈()
혀()
입()
코()
귀()
오성(五聲)
각()
징()
궁()
상()
우()
계절(季節)
봄()
여름()
긴 여름(長夏)
가을()
겨울()
기후(氣候)
바람()
뜨거움()
습기(濕氣)
메마름(乾燥)
차가움()
기운(氣運)
기()
광명의 신()
뜻()
혈()
정()
 
 
 
 
 
 
천간(天干)
갑(), 을()
병(), 정()
무(), 기()
경(), 신()
임(), 계()
지지(地支)
인(),묘()
사(),오()
진(辰),술(戌),
축(丑),미(未)
신(),유()
해(),자()
숫자
3,8
2,7
5,10
4,9
1,6
사단(四端)
인()
예()
신()
의()
지()
상징 동물
청룡(靑龍)
주작(朱雀)
-
백호(白虎)
현무(玄武)
천도(天道)
원(元)
형(亨)
통합(統合)
리(利)
정(貞)
한글 발음
ㄱ, ㅋ
ㄴ, ㄷ, ㄹ, ㅌ
ㅇ, ㅎ
ㅅ, ㅈ, ㅊ
ㅁ, ㅂ, ㅍ
성씨(姓氏)
徐, 成, 黃, 元, 韓, 南, 張, 柳, 申, 安, 梁, 蔣, 方, 杜, 河, 白, 楊, 片, 慶, 郭, 盧, 裵, 文, 王, 班, 陰, 晋, 邵
金, 趙, 朴, 崔, 兪, 孔, 高, 車, 康, 劉, 廉, 朱, 陸, 洪, 薰, 固, 虞, 鼎, 周, 延, 火, 秋, 簡, 曺
吳, 呂, 禹, 奇, 許, 蘇, 馬, 魯, 曾, 余, 千, 孟, 卞, 卜, 梅, 尙 魚, 瘦, 龍, 皐, 牟, 毛, 南宮, 皇甫, 鮮于
李, 尹, 鄭, 姜, 蔡, 羅, 愼, 辛, 丁, 全, 邊, 池, 石, 陳, 吉, 玉, 卓, 薛, 咸, 具, 秦, 唐, 宣, 段, 燈, 陛, 董
宋, 權, 閔, 任, 林, 嚴, 孫, 皮, 丘, 都, 田, 沈, 奉, 明, 貢, 牛, 甘, 玄, 陶, 睦, 再, 仇, 童, 東方

 

2. 상생.상극의 원리

1) 상생(相生. 서로 돕는 관계)

-.목생화(木生火) : 나무가 타서 불을 도운다. 간(肝)은 심장(心)을 도운다.

예: 스트레스 받은 간을 해독하면 심장 두근거림이 줄어듬(감초차, 청간탕)

-.화생토(火生土) : 불이 흙을 빚어 도자기를 만든다, 심장 에너지가 비위(脾胃)를 도와준다.

예: 마음이 안정되면 소화가 잘 된다.(대추,황기 죽)

-.토생금(土生金) : 흙이 광물을 만든다. 폐는 비의 운화(運化) 기능에 의하여 만들어진 수곡지기(水穀之氣)를 받아야 자기 기능을 원만히 수행한다.

예: 위가 튼튼해야 기침도 덜 해요.(인삼, 백출, 복령)

-.금생수(金生水) : 금속에서 물방울이 응결되듯, 폐가 신장을 도와줍니다.

예: 숨이 깊어지면 방광기능도 좋아진다:맥문동, 오미자차

-.수생목(水生木) : 물이 나무를 자라게 하듯, 신장은 간을 도와준다.

예: 콩팥을 보하면 눈도 밝아지고 피로가 덜하다. (구기자, 하수오, 복분자)

2) 상극(相剋,제어하는 관계)

-.목극토(木剋土) : 나무뿌리가 흙에서 자란다. 간이 너무 강하면 소화기가 눌린다.

예: 스트레스를 많이 받으면 소화가 안된다.(간 → 비 억제, 청간환+건비탕)

-. 화극금(火剋金) : 불이 금속을 녹인다.심화가 과하면 폐를 상하게 한다.

예: 더울 때 숨이 가빠지고 기관지가 약해짐 (심화 청열, 연자육, 연꽃차)

-.토극수(土剋水) : 흙이 물길을 막는다.

비위가 너무 강하면 신장이 눌린다.

예: 위장약을 과용하면 오히려 하체 부종 생김 (평위산에 이수약 추가)

-.금극목(金剋木) : 도끼로 나무를 자른다. 폐가 강하면 간의 유연성이 약화된다.

예: 잦은 기침 후 눈 피로, 분노 증가 (윤폐+청간병행)

-.수극화(水剋火) : 물이 불을 끈다. 신장이 너무 강하면 심장의 열이 식는다.

예: 지나친 한약 복용으로 냉증, 두근거림 (신장보하면서 심기보충 필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