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자문 - 17]
鳴鳳在樹 白駒食場
명봉재수 백구식장
<鳴 울 명 / 鳳 봉황 봉 / 在 있을 재 / 樹 나무 수
白 흰 백 / 駒 망아지 구 / 食 밥 식 / 場 마당 장 >
봉황(鳳)이 나무(樹)에 앉아(在) 노래하고(鳴),
흰(白) 망아지(駒)는 들판(場)에서 풀을 뜯는다(食).
▶ 한자공부
鳴 : 새 조鳥와 입 구口 결합. 새가 '울다'.
鳳 : 새 조鳥와 '크다' 뜻을 가진 무릇 범凡이 결합하여 '봉황'
在 : 흙 토土와 음과 재주 재才(새싹 모양)이 결합하여 재주가 '있다'.
樹 : 나무 목 木과 하인 주尌(손으로 물건을 세운 모양, 주→수)가 결합하여 '나무'.
白 : 햇빛이 위를 향하여 비추는 모양에서 '희다.밝다'.
駒 : 말 마馬와 음을 나타내는 글귀 구句가 결합하여 망아지
場 : 흙 토土와 볕 양昜(양→장)이 결합. 昜은 햇볕이 제단을 비추고 있는 모습으로 場자는 마당에 햇볕이 내리쬐는 모습.
▶ 해설
성현이나 훌륭한 임금이 나타나면 봉황이 날아든다고 했다.
흰 망아지는 어진사람이 타고 다니는 말이다. 즉 현자가 등장함을 뜻한다.
봉황의 앞부분은 기러기, 뒤는 기린, 뱀의 목, 물고기의 꼬리, 황새의 이마, 원앙새의 깃, 용의 무늬, 호랑이의 등, 제비의 턱, 닭의 부리를 가졌으며, 오색(五色)을 갖추고 있다 했다.
용은 뿔이 사슴과 비슷하고, 머리는 낙타, 눈은 토끼, 목은 뱀, 배는 조개, 비늘은 물고기, 발톱은 매, 손바닥은 범, 귀는 소와 비슷하다.
봉황과 용이 수많은 동물의 조합으로 만들어진 것은 고대 여러 부족들이 통일되는 과정에서 각 부족의 토템을 합쳐 상상의 동물을 만들었다고 한다. 봉황과 용은 포용과 조화의 산물이다.
'千字文 - 故事成語' 카테고리의 다른 글
천자문 (千字文) - 19 (0) | 2021.07.18 |
---|---|
천자문 (千字文) - 18 (0) | 2021.07.18 |
천자문 (千字文) - 16 (0) | 2021.07.18 |
천자문 (千字文) - 15 (0) | 2021.07.18 |
천자문 (千字文) - 14 (0) | 2021.07.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