道不遠人(도불원인)

정운종의 고전공부

동양의학 이야기 21

구당 기본침. 무극보양뜸 혈자리

[久堂 基本鍼穴] -. 後面 (8) : 곤륜(崑崙), 위중(委中), 신유(腎兪), 고황(膏肓), 천종(天宗), 천료(天髎), 풍지(風池), 천주(天柱) -. 前面 (7) : 태충(太衝), 양릉천(陽陵泉), 중완(中脘), 수삼리(手三里), 합곡(合谷), 지창(地倉), 동자료(瞳子髎) [무극보양뜸 혈자리] - 남성(12개 혈자리) : 족삼리, 곡지, 중완, 폐유, 고황, 백회, 기해, 관원 - 여성(13개 혈자리) : 족삼리, 곡지, 중완, 폐유, 고황, 백회, 중극, 수도 후면 1. 곤륜(崑崙) 屬經 : 足太陽膀胱經. 經火穴 位置 : 바깥 복사뼈 높이 올라와 있는 부위. 語源 : 원래 산 이름. 높고 큰 것을 상징. 作用 : 인체의 가장 높은 곳인 머리를 치료하는 주치. 穴性 : 祛太陽經邪. 理胞宮淸血. ..

백하수오, 적하수오, 이엽우피소 비교

구분 백수오(白首烏) 하수오(何首烏) 이엽우피소(耳葉牛皮) 이명 은조롱 적(赤)하수오 넓은잎큰조롱 분류 박주가리과 백미꽃속 마디풀과 마디풀속 박주가리과 백미꽃속 잎 단면이 매끄럽고 찢으면 하얀 진액이 나옴 박주가리와 비슷 단면이 거칠고 찢으면 하얀 진액이 나옴 꽃색 황록색, 꽃밭침이 젖혀지지 않음 흰색 황백색, 꽃밭침이 아래까지 젖혀짐 뿌리 껍질 박피시 황진액이 나오지 않음 고구마 모양 껍질 박피시 황진액이 나옴 뿌리 단면 무늬가 있음 꽃무늬 모양 무늬가 없음 특징 및 효능 [동의보감] .성질은 평하고 따듯하며 맛은 쓰고 떫고 독이 없다. .부인이 몸푼후 생긴 질병.적백대하 치료 .혈기를보하고 힘줄과 뼈를 튼튼하게 하고, 머리털을 검게한다. .얼굴빛을 좋게하고 늙지않게한다. -.하수오는 간과 신의 약, ..

초피나무(제피) 산초나무 구분

초피나무와 산초나무 비교 구분 초피나무(제피) 산초나무 줄기 가시 마주남 어긋남 주 이용부 열매껍질 열매 기름 개화 시기 봄(5-6월) 여름(8-9월) 수확 9월-10월 7월하-8월중순 잎 작은잎 10개 정도,물결모양 잎중간에 황록색 중무늬 작은잎 10개이상, 초피보다 매끈 잎의 톱니 물결모양의 톱니(3-5개) 자잘한 톱니 (초피보다 많음) 결실 줄기 중간 줄기 끝 꽃잎 없다 있다 열매 붉은 빛이 도는 갈색 녹색을 띤 갈색 맛.향 곁에만 가도 향기(모기 싫어함) 강열한 쏘는 맛 비벼야 약간향기 특징 및 효용 어독을 풀어주는 향신료(추어탕) 부종.치통.치주염,기생충에 효과 한습으로 인한 뼈마디가 아플때 암수딴그루, 습기에 약함. 열매껍질:복부냉증,회충.피부염 기름:나물무침.두부구이

토양학 기초

[토양유기물] ● 가축분묘 + 톱밥 --> 부식 (두엄.퇴비): 토양 개량효과 -. 비료 :식물이 필요로하는 물질. 필수영양소 . 다량원소 :% 단위, 미량원소 : ppm단위 (1% = 10,000 ppm, 0.01 % = 100 ppm) ● 식물 :90 %는 뿌리에서 흡수, 10% 잎으로 흡수 (옆면 살포이유) ● 유기물 : 분뇨,농약,유박 * 유박(油粕):기름짜고 남은 찌꺼기 (깨묵 :참기름 잔여물 등) 1) 살아있는 물질 무기물(탄소 제외한) * 복합비료 (NPK, 니트로젠(질소), 포스트로겐(인), 칼리(칼륨))은 무기물 2) 탄소가 함유 (포도당,과당,엽당,탄수화물.지방..) * 석유에서 빼내는 물질 (플라스틱, 석유..): 유기물임 ● 우리나라 토질 : PH(산도, Potential of Hy..

독맥(督脈)

​독맥은 하늘의 기운을 받는 맥이다. 남성적이고 양적인 에너지가 모인 경락이다. 독맥(督脈)의 독(督)는 모든 양경을 감독한다는 뜻으로, 인체 내 모든 양경의 기혈을 조절하고 뇌수, 신장, 정신상태를 주관한다. 인체의 배면과 머리의 정중앙 선을 따라 이동하고 척추의 아래에서부터 위로 순행하여 입으로 다다른다. 척추로 상행하기 때문에 대부분의 허리 질환에 관계하고, 뇌척수 신경과 관련이 있다. 독맥에는 혈이 28개가 있으며, 독맥 주변에 오장육부의 수혈이 있어 수혈을 잘다스리면 오장육부에 일어나는 다양한 병증들을 치료 할수가 있다. 독맥의 증후는 독맥의 기가 잘흐르지 않으면 척추가 뻣뻣하고 머리가 무겁고, 요부.배부.목덜미.성기.척추에 문제가 생길수가 있다. 독맥은 꼬리뼈 아래의 장강(長强)혈로부터 시작하..

임맥(任脈)

임맥은 땅의 기운을 받는 맥이다. 아랫입술부터 복부.정중앙을 따라 중단전과.하단전 회음까지 내려가고, 자율신경계와 비뇨생식기와 관련이 있는 경락이다. 몸의 앞쪽부분에 있는 식도.위장을 따라 흐른다. 임(任)자는 '담당하다'는 뜻을 포함하지만 아이밸 임(姙)과도 통하므로 여자의 생리(生理)와 관계가 있어 생명을 창조하고 유지하는 일을 주관한다. 임맥은 음의 성질을 가지고 있고, 성기와 항문사이의 회음혈에서부터 시작하여 아랫입술의 승장혈까지 이어지기 때문에 임맥이 발달한 사람은 아랫입술도 두툼하게 발달되어 있다. 사람뿐만 아니라 동물이나.어류.조류까지도 비슷한 유형을 지닌다. 여자는 달의 주기에 따라 한 달에 한 번씩 월경으로 피를 내보내기 때문에 항상 피가 부족하게 되어 임맥을 영양하지 못하므로, 여자들은..

기경팔맥 (奇經八脈)

기경팔맥 (奇經八脈) 기경팔맥은 12경맥과는 별도로 고유한 경혈을 가지고 있는 독맥(督脈)과 임맥(任脈)을 비롯하여 고유한 경혈이 없는 충맥(衝脈) · 대맥(帶脈) · 양교맥(陽蹻脈) · 음교맥(陰蹻脈) · 양유맥(陽維脈) · 음유맥(陰維脈) 등 8개의 맥을 말한다. 기경팔맥은 기항지부 [뇌(腦), 수(髓), 골(骨), 맥(脈), 담(膽), 여자포(女子胞)]와 연계되어 있다.기경팔맥의 특징은 장부와 직접적인 관계가 없고, 서로 간에 표리배합도 없이, 다만 기능상 12경맥의 부족한 부분을 보충하여 기혈의 운행을 조절하는 특수한 경맥이다. 기경의 특징은 장부(臟腑)와 직접적인 관계가 없고, 서로간에 표리배합(表裏配合)도 없이, 다만 기능상 12경맥의 부족을 보충하여 기혈(氣血)의 운행을 조절하는 특수한 경맥..

팔맥교회혈(八脈交會穴)

팔맥교회혈(八脈交會穴)은 기경팔맥(奇經八脈)과 서로 만나는 여덟개의 혈(穴)로 손( 후계, 열결, 내관, 외관) 과 발(신맥, 조해, 족임읍, 공손)에 위치해 있다. 치료범위가 넓고 효과적인 혈(穴)자리로 임상에서 많이 사용된다. 팔맥교회혈(八脈交會穴) 八穴 通하고 있는 血脈 會合穴 내관(內關) _ 手厥陰심포경 陰維脈 心, 胸, 胃(內臟) 공손(公孫) _ 足太陰비경 衝 脈 후계(後谿) _ 手太陽소장경 督 脈 項部(목내자), 肩胛部, 耳, 內眼角(外經) 신맥(申脈) _ 足太陽방광경 陽蹻脈 외관(外關) _ 手少陽삼초경 陽維脈 項部(목외자), 肩胛部, 頰, 耳, 外眼角(外經) 임읍(臨泣) _ 足少陽담경 帶 脈 열결(列缺) _ 手太陰폐경 任 脈 咽喉, 胸膈(內臟) 조해(照海) _ 足少陰신경 陰蹻脈 1-1. 충맥..

12. 족궐음간경(足厥陰肝經) - 대돈(大敦).행간(行間).태충(太衝).중봉(中封).곡천(曲泉)

[족궐음간경(足厥陰肝經)] 간경(肝經)은 궐음경으로 아래에서 위쪽으로 즉 다리로부터 몸통을 향해서 올라간다. 간경의 이 흐름 때문에 간(肝)은 하초에 배속되어 관련 기능을 담당한다. 생식기를 지나 아랫배를 통과해서 위로 올라가는데 그 혈자리들을 선으로 이어보면 지그재그로 마치 나무가 돌면서 위로 자라나듯이 간경도 우리 몸을 둘둘 말 듯이 타고 올라가므로 하늘로 승천하는 용(龍) 모습이다. 간경은 나무, 용, 바람 등과 아주 깊은 관계를 맺어 족궐음간경(足厥陰肝經)이라고 이름 붙여진다. 궐음은 풍목(風木)인데 바람이 나무를 키우는 계절, 새싹들이 눈을 틔우고 땅을 뚫고 나오는 계절의 기운이다. 즉 봄날의 기운으로 가득 찬 경맥이고 대지(陰)의 기운을 받아 하늘(陽)로 뻗어 올라가는 나무다. '동의보감'에 ..

11. 족소양담경(足少陽膽經) - 양릉천(陽陵泉).양보(陽輔).족임읍(足臨泣).협계(俠谿).족규음(足竅陰)

담경은 몸의 측면을 흘러간다. 눈 바깥쪽 모서리에 있는 동자료(瞳子髎)에서 시작해 얼굴의 측면을 돌고 몸통과 다리의 측면을 따라 내려가서 넷째 발가락 끝 규음(竅陰)에서 끝난다. 몸의 측면부위, 특히 겨드랑이와 같은 곳이 아픈 경우엔 반드시 담경을 써서 치료하는 것이 기본이다. 담경은 위경, 방광경과 함께 몸에서 가장 많은 혈자리를 가지고 있는 경맥으로, 몸을 종(縱)으로 가로지르면서 기혈을 운행하는 통로이다. 위경은 몸의 앞쪽면을 통해 열을, 방광경은 몸 뒤쪽으로 한(寒)을 전달한다. 그리고 이 둘 사이에서 한열의 균형을 맞추는 역할을 담당하는 것은 담경이다. 한열의 균형을 맞추는 중심추가 되는 담(膽)은 간(肝)에 붙어 있는 작은 주머니로 간에서 만들어진 소화액, 즉 담즙이 담겨 있다.담의 주요 기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