道不遠人(도불원인)

정운종의 고전공부

격물치지 (格物致知) 7

도산서당(陶山書堂) 현판의 서(書)와 새

[도산서당(陶山書堂) 현판의 서(書)와 새] 도산서원(陶山書院)내 도산서당(陶山書堂)의 현판 글은 퇴계선생이 직접 쓰신 것이라 한다. 서당(書堂)의 글서(書)자 아래 가로 왈(曰)자 안에 새 한마리가 보인다. 성리학은 물론 한문에도 일가를 이루신 퇴계선생의 글씨가 재미있다고 생각하다가, 문득 도산서당 현판에 후학들에게 전달하고자 하는 어떤 비밀 메시지가 있지 않을까 하여 그 뜻을 추정해 본다. 새는 알에서 부화(孵化)하고 날기까지 과정은 공부하는 이들에게 시사하는 바가 크다. 알이 부화하기 까지 어미새가 품고 온기를 골고루 유지 해야한다. 이윽고 새끼 부리가 야물어질 쯤 안에서 껍질을 두드리면 밖에서는 어미새가 쪼아주어 알을 깨고 나온다. 학생은 스스로 노력하고 스승은 도와주어 알에서 깨어 나오게 하는 ..

코로나19 와 백신종류

코로나 바이러스와 코로나 19의 백신종류에 대해 알아본다. 이 바이러스는 사람이나 동물에서 호흡기 질환을 일으키는 바이러스로 감기를 일으키는 원인 바이러스 중 하나로, 현미경으로 관찰했을 때 코로나(원 둘레에 방사형으로 빛이 퍼지는 형태) 모양이라서 붙여진 이름이다. 2003년 사스(중증 급성 호흡기 증후군)와 2015년 메르스(중동 호흡기 증후군)가 이 코로나 바이러스로 인한 것이었다. 코로나 바이러스의 확산은 일반적으로 동물에서 비롯된 것으로 보고 있으며 환자의 침방울 등의 분비물을 통하여 감염된다고 알려졌다. Covid 19 신종 바이러스는 2019년 말 처음 인체 감염이 확인됐다는 의미에서 '코로나-19'로 명명되었다. 지금까지 알려진 코로나 바이러스와는 성질이 달라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로 분류된..

백신 (Vaccine)

백신(vaccine)이란 ? 백신은 체내에서 인공으로 면역 작용을 유도하기 위해 독성을 제거하거나 약화시킨 항원을 말한다. 건강한 사람이면 누구나 스스로 획득할 ‘자연면역’기능을 가지는데, 아직 면역력을 갖추지 못한 신생아나 면역력이 감소한 노인의 경우에는 인위로 면역력을 높이기도 하는데, 이를 ‘인공 면역’이라고 한다. 인공 면역의 대표적인 예가 ‘백신’ 접종이다. 19세기에 미생물이 여러 질병의 원인이 된다는 것을 알게 되었고, 어떤 감염증에 대해 인공으로 면역을 얻기 위해 약화시키거나 죽인 미생물 또는 약화시킨 독성 물질을 ‘백신’이라고 한다. 백신은 프랑스의 미생물학자 파스퇴르(Luis Pasteur)가 붙인 이름이다. 영국의 외과의사 제너(Edward Jenner)는 천연두 예방접종의 창시자로 ..

콜레라와 코로나

코로나 시국에 아이들 어릴때 보던 과학 만화책.생물 교과서를 꺼내 보게 된다. 과거 인류에게 큰 위협적인 존재였던 세균성 역병인 콜레라에 대해 알아보고 작금에 창궐하는 바이러스 역병인 코로나19의 미래도 예상해 본다. 먼저 세균(박테리아)과 바이러스의 차이를 알아본다. 가장 큰 차이는 형태이다. 세균(박테리아)은 학교에서 흔히 사용하는 광학현미경으로도 충분히 볼 수 있지만, 바이러스는 세균보다 훨씬 작아 지름이 300나노미터 이하다. 가장 작은 것은 20나노미터에 불과해 전자빔과 전자렌즈를 사용하는 정밀한 전자현미경으로만 볼 수 있다. 박테리아는 핵과 여러 작은 기관 등을 갖추고 체세포가 분열하듯이 핵을 증식시키고 분리시켜 그 수를 늘려간다. 그러나 바이러스는 스스로 영양분과 자손을 만들어내지도 못하기 ..

자동차 배기량.토크.RPM.마력

자동차 구입시 차량의 성능을 비교하는데 이때 많이 듣게되는 "배기량.토크(torque).RPM.마력(출력)"의 정의 및 서로 관계에 대해서 오래전 배운지식을 동원해서 알아본다. -. 배기량(cc) : 내연기관 엔진의 피스톤이 실린더 내에서 1회 왕복 했을 때 배출한 공기의 체적으로, 엔진 배기량=실런더 단면적x스트로크x기통수가 된다. 단위는 체적을 나타내는cc나 리터로 표시한다. -. 토크(torque.돌리는 힘) :모터나 엔진이 회전운동 할때 "얼마나 센 힘으로 물체를 돌릴수 있는가"가 토크이다. ​이해하기 쉽게 고층빌딩 공사에 사용하는 타워크레인을 생각해 보면 크레인 끝에 달린 물건의 무게와 크레인 팔의 길이에 비례해서 들어 올리는 힘(토크)가 크다. 단순하게 10kg을 1m 거리에서 들어올릴때 토크..

윤달의 결정 - 무중치윤법(無中置閏法)

[윤달의 결정 방법] : 무중치윤법(無中置閏法, 24절기의 중기가 없는 달을 윤달로 정함) 음력 1개월은 29.53088일이고, 순태음력의 1년 길이는 12*29.53088=354.3671일이다. 이는, 양력인 1 태양년 365.2422일보다 약 11일(10.8751일)일 짧다. 따라서 3년이 지나면 음력 날짜는 태양의 움직임과 약 33일, 한달 차이가 나게 되어 날짜와 계절의 차이가 많아진다. 음력에서는 이 차이를 없애고, 날짜와 계절을 맞추기 위해 윤달을 도입하여 1년을 13달로 한다. 음력은 태양의 움직임과 3년과 약 한달의 차이가 나므로 윤달은 대체로 3년에 한번 들게 된다. (정확하게는 19년에 7번의 윤달) 음력에서 윤달을 도입하는 방법은 24절기의 12중기에 의한다. 24절기의 각기 사이는 ..

복(伏)날 계산법

말복날은 어떻게 정해지나요. 8월11일 올해 말복을 맞이하여 복(伏)날 계산법을 알아봅니다. 매번 들을 때는 이해되다가 1년이후 잊어버리곤 하여 적어봅니다. 초.중.말복 삼복은 사계절을 세분한 24절기는 아닙니다. 그러나 양력 기준의 24절기와 각 일진을 조합하여 계산되므로 일정한 날이 아닌 매년 다른날이 됩니다. 그 원리를 알아봅니다. 먼저 초복(初伏)은 하지 이후 세번째 경일(庚日)로 정하고, 초복 10일 후인 네번째 경일을 중복(中伏), 그리고 중복 10 (또는 20)일 이후를 말복(末伏)이라 하지요.-- 말복은 입추 이후 첫째 경일이어야 하므로 중복이후 20일이 될때가 있음.-- 그럼 경일은 뭘까요. 60간지에 의해 매일 일진(日辰)에 경(庚)자가 든 날을 말하는데, 일진은 '10간'인 '갑을병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