道不遠人(도불원인)

정운종의 고전공부

한자(漢字) 이야기 3

한자 구성원리 - 六書

[한자 구성원리 - 六書]한자는 제작 체계는 여섯 가지로 분류하는데, 이를 육서(六書)라고 한다. 1. 象形(상형)문자 - 사물의 모양 그대로 본뜬 글자, 거의 부수글자에 포함됨 - 日(날 일), 月(달 월), 山(뫼 산), 木(나무 목), 母(어미 모), 口(입 구), 弓(활 궁), 斤(도끼 근), 女(여자 녀), 朋(벗 붕), 刀(칼 도), 米 (쌀 미) 등2. 指事(지사)문자 - 기호와 부호의 도형적인 추상적인 개념을 사용하여 만든 글자 - 上(위 상), 下(아래 하), 一(한 일), 本(근본 본), 太(클 태) 등3. 會意(회의)문자 - 두 글자 이상의 글자를 합쳐서, 조합된 글자가 가지는 뜻들과 연관된 새로운 뜻의 글자를 만드는 방법. - 男(사내 남), 見(볼 견), 好(좋을 호), 林(수풀..

茶(=荼) 차, 다

차 茶(=荼) '차' '다'의 두 가지로 발음되고, ‘차’나 ‘차나무’ 뜻하는 茶자는 荼에서 一 한 획이 탈락한 글자이다. 글자아래 木(나무 목)을 朩처럼 쓰는 이유가 원래 木 자가 아닌 余 자에서 유래한 부분이기 때문이다. 다경(茶經)을 쓴 당(唐)나라 육우(陸羽)가 만들은 글자로 중국에서는 양자강 이남은 '다'로 양자강 이북은 '차'로 발음한다고 한다.茶자는 찻잎을 뜻하는 艹(풀 초)자와 작은 집을 뜻하는 余(나 여)자가 결합한 모습이므로 '소박한 집에서 차를 즐긴다'로 풀이 할 수 있다. '쓴 풀 도'라는 별도의 훈음도 있다.

10天干 12地支 한자 생성원리

10干 12支의 한자 생성원리를 통해 내포되어 있는 뜻에 대해 알아본다. 10天干 : 갑(甲)·을(乙)·병(丙)·정(丁)·무(戊)·기(己)·경(庚)·신(辛)·임(壬)·계(癸) -. 甲 : 싹이 싹트면서 씨앗껍질을 뒤집어 쓰고 있는 모양을 본뜬 글자로, 싹이 나기 시작한다. 처음, 제일, 씨 껍질의 단단함. 갑옷 (갑골문: 작은 미늘 조각을 연결하면 중앙은 十자 형태) . 밭 한가운데(田) 뿌린 씨앗이 땅 밑으로 뿌리를 내린다는 뜻을 형상화. 甲은 탁(坼. 터질/쪼개질 탁)이다. 곧 껍질을 깨고 생명을 눈뜨게 하는 힘이다. 생(生)과 기(起)에 해당되고 시동의 의미이며, 인체로는 머리를 상징, 시작.개척,상승.우두머리를 의미한다. -. 乙 : 초봄에 초목이 싹틀 때 웅크리며 나오는 모양, 굽어진 또는 새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