道不遠人(도불원인)

정운종의 고전공부

사락정(四樂亭)

곽면우선생 연보 (郭俛宇先生 年譜)

도원 정운종 2021. 8. 13. 16:56

성명 : 곽종석(郭鍾錫)

생년 : 1846년(헌종 12) 6월 24일 ~ 1919년 8월 24일

자 : 명원(鳴遠), 연길(淵吉)

호 : 면우(俛宇), 유석(幼石)

본관 : 현풍(玄風)

개명 : 도(鋾)

특기사항 : 이진상(李震相)의 문인. 허유(許愈), 이종기(李種杞), 이승희(李承熙) 등과 교

 

행력

왕력 서기 간지 연호 연령 기사
헌종 12 1846 병오 道光 26 1 6 24, 丹城縣 沙月里 草浦村 寓舍에서 태어나다.
헌종 13 1847 정미 道光 27 2 부친을 따라 道坪으로 이사하다.
철종 1 1850 경술 道光 30 5 「十九史略」을 읽다.
철종 2 1851 신해 1 6 四書와 「詩經」을 읽다.
철종 3 1852 임자 2 7 「書經」을 읽다.
철종 8 1857 정사 7 12 8, 부친상을 당하다.
철종 10 1859 기미 9 14 「禮記」를 읽다.
철종 12 1861 신유 11 16 槐齋에서 독서하다.
철종 13 1862 임술 同治 1 17 모친을 모시고 立石里에 寓居하다.
고종 1 1864 갑자 同治 3 19 增廣 東堂試에 합격하다.
고종 2 1865 을축 同治 4 20 , 서울에 가서 會試에 응시하였으나, 낙방하다. ○ 朔寧崔氏 崔益祥의 딸과 혼인하다.
고종 3 1866 병인 同治 5 21 〈晦窩三圖〉를 짓다.
고종 4 1867 정묘 同治 6 22 , 三嘉 神旨坊으로 옮겨 우거하다.
고종 5 1868 무진 同治 7 23 演水寺에서 독서하다.
고종 6 1869 기사 同治 8 24 , 嶧洞으로 이사하고, 繹古齋를 짓다. ○ 처남인 崔孝根이 와서 배우다.
고종 7 1870 경오 同治 9 25 겨울, 星州 大浦에 가서 寒洲 李震相을 뵙다. ○ 〈四端十情經緯圖〉와 〈原古〉 75수를 짓다.
고종 8 1871 신미 同治 10 26 〈心動靜圖〉, 〈書韓南塘人心道心說後〉, 〈四端十情經緯圖說〉, 〈圃隱先生遺像贊〉을 짓다.
고종 9 1872 임신 同治 11 27 4, 許愈, 李正模, 夏와 龍山의 桐溪 鄭蘊 묘소에 참배하고, 晩歸亭을 둘러본 뒤에, 大浦로 가서 李震相을 뵙다. ○ 8, 모친의 명으로 鄕試에 응시하다. ○ 〈心出入集說〉, 〈書南秋江冷話後〉, 〈四端七情說〉, 〈四七雜記〉를 짓다.
고종 10 1873 계유 同治 12 28 3, 모친을 모시고 草浦로 돌아오다. 居處를草草亭이라 이름 짓다. ○ 〈心性雜記〉를 짓다.
고종 11 1874 갑술 同治 13 29 3, 增廣 初試에 응시했으나 試券을 내지 않고 돌아오다. ○ 7, 汶江을 유람하다. ○ 겨울, 墓訟 문제로 대구 감영에 가다. ○ 〈泰伯至德賦〉, 〈退陶先生十訓贊〉을 짓다.
고종 12 1875 을해 光緖 1 30 擧業을 그만두다.
고종 13 1876 병자 光緖 2 31 , 宜寧에 가서 李正模를 곡하다. ○ 〈學賊〉, 〈中庸大支辨〉을 짓다.
고종 14 1877 정축 光緖 3 32 山齋에서 「春秋」를 읽다. ○ 8, 許愈, 金鎭祜, 河龍濟 등과 頭流山을 유람하다. 李震相, 朴致馥, 金麟燮 등과 다시 두류산을 유람하다. ○ 겨울, 山天齋에서 會講하다. ○ 〈理訣〉을 짓다.
고종 15 1878 무인 光緖 4 33 8, 이진상을 뵙고, 李承熙와 感應菴에서 「理學綜要」를 校勘하다. 金鎭祜, 이승희 등과 善山의 採薇亭, 金烏山 등을 유람하고, 禪石寺에서 講學하다. ○ 安東에 가서 李敦禹, 金興洛을 방문하고, 大山書堂, 牧隱影堂, 石門亭, 金誠一의 墓, 愛日堂, 陶山書院, 李滉의 墓, 淸涼山 등을 둘러보다. ○ ‘俛宇라 號를 짓다.
고종 16 1879 기묘 光緖 5 34 金澤榮이 방문하다.
고종 17 1880 경진 光緖 6 35 2, 모친상을 당하다.
고종 19 1882 임오 光緖 8 37 여름, 望楸亭에서 독서하다.
고종 20 1883 계미 光緖 9 38 5, 李道樞, 朴圭浩, 河龍濟 등과 金剛山을 유람하다. 왕래하는 길에 忠州의 忠愍祠, 江陵의 烏竹軒, 太白山 黃池, 紹修書院 등을 둘러보고, 酉谷으로 權璉夏를 방문하다. ○ 겨울, 가족을 데리고 順興으로 이사하여 小魯里에 사는 族人 郭承根의 집에서 겨울을 나다.
고종 21 1884 갑신 光緖 10 39 , 安東 春陽 筬山에 卜居하다.
고종 22 1885 을유 光緖 11 40 3, 夫人崔氏의 상을 당하다. 「太極圖說通書諺解」를 짓다.
고종 23 1886 병술 光緖 12 41 4, 淸涼山과 동해를 유람하다. ○ 眞城李氏 李虎文의 딸과 혼인하다. ○ 12, 星州에 가서 李震相을 곡하다.
고종 24 1887 정해 光緖 13 42 2, 이진상을 會葬하다. ○ 太白山 琴臺峯 아래로 이사하다. ○ 여름, 夏가 내방하다. ○ 〈勿川書堂記〉를 짓다.
고종 25 1888 무자 光緖 14 43 「蒙語」를 짓다.
고종 26 1889 기축 光緖 15 44 , 筬山으로 돌아와 살다. ○ 3, 高靈의 鍾山齋에서 許愈와 함께 鄕飮酒禮를 행하다. ○ 4, 居昌의 心亭에서 李種杞, 李承熙, 張錫英, 李斗勳 등과 會輔契 모임을 갖다. 某里를 방문한 뒤에, 葛川書堂에서 鄕飮酒禮를 행하다. ○ 5, 大浦에 머물며 「理學綜要」를 校正하다. ○ 6, 高靈의 盤龍寺에 머물다. 曺兢燮이 방문하여 배움을 청하다. ○ 8, 李種杞가 山寺로 방문하다. ○ 10, 玄風에 가서 道東書院을 배알하다.
고종 27 1890 경인 光緖 16 45 병을 조리하러 山寺에 들어가다.
고종 28 1891 신묘 光緖 17 46 崔琡民이 내방하다. ○ 〈柳省齋心說辨〉, 〈書洪思伯心說後〉를 짓다.
고종 29 1892 임진 光緖 18 47 村社에 月講의 規約을 마련하다. ○ 7, 權有淵과 陟州를 유람하다.
고종 30 1893 계사 光緖 19 48 〈五箴〉을 짓다.
고종 31 1894 갑오 光緖 20 49 2, 伯氏상을 당하다. ○ 12, 慶尙道 慰撫使 李重夏가 學行으로 薦擧하다.
고종 32 1895 을미 光緖 21 50 1, 比安 縣監에 제수되었으나, 나아가지 않다. ○ 8, 陶山에 가서 秋享禮에 참석하다. ○ 겨울, 지역의 선비들이 擧義하여 亞將으로 추대하였으나, 사양하다. 仁同 新月里에서 머물다.
고종 33 1896 병신 光緖 22 51 1, 居昌에 가서 이승희 등을 만나다. ○ 2, 姜龜相, , 이승희 등과 서울에 가서, 國權을 침탈한 日帝를 토벌해 주기를 청하는 글을 列國의 公館에 전하다. 거창에서 「寒洲集」의 刊役을 감독하다. ○ 10, 가족을 데리고 거창의 茶田으로 이사하다.
고종 34 1897 정유 光武 1 52 7, 장남 郭澶이 태어나다. ○ 〈三峯書堂記〉를 짓다.
고종 35 1898 무술 光武 2 53 3, 三峯書堂에서 會講하다. ○ 白蓮菴에서 허유, 장석영 등과 「四禮輯要」를 校勘하다. ○ 〈釋性〉, 〈釋知覺〉, 〈後天卦語〉를 짓다.
고종 36 1899 기해 光武 3 54 2, 招致의 敦諭가 있었으나, 상소를 올려 사양하다. ○ 3, 中樞院 議官에 제수되었으나 나아가지 않다. ○ 여름, 晉州 靑谷寺에서 「南冥集」을 교정하다. ○ 10, 金興洛을 곡하다. ○ 〈律呂相生紀數〉, 〈理氣論〉, 〈率禮旌閭十贊〉을 짓다.
고종 37 1900 경자 光武 4 55 白蓮庵에서 윤주하, 이승희, 장석영, 이두훈 등과 「사례집요」를 교정하다. ○ 8, 仁同에서 張福樞를 會葬하다. ○ 〈代服難〉, 〈易逆數說〉을 짓다.
고종 38 1901 신축 光武 5 56 가을, 문인들과 泗川으로 가서 南海를 유람하고, 李楨의 「龜巖集」을 교정하다. ○ ‘幼石이라 號를 짓다. ○ 〈主宰說〉을 짓다.
고종 39 1902 임인 光武 6 57 6, 李種杞를 곡하다. ○ 9, 龍山에 있는 桐溪 鄭蘊의 舊宅에 가서 薦菊에 참석하다. ○ 겨울, 6品에 陞資되다.
고종 40 1903 계묘 光武 7 58 1, 차남 郭 태어나다. 賓客과 門生을 수용하기 위해 如齋를 짓다. ○ 2, 通政大夫에 超陞되다. ○ 6, 秘書院 丞이 되다. ○ 7, 招致의 敦諭를 받다. ○ 8, 召命에 응하여 上京하다. 28일 저녁, 咸寧殿에서 白衣로 入對한 뒤에, 밤에 다시 章服을 갖추어 입고 獨對하다. 29, 議政府 參贊에 제수되었으나, 곧 사직소를 올리다. ○ 9 3, 入對하다. 8, 正學을 숭상하고, 民心을 결집하며, 軍制를 확정하고, 財用을 절약할 것을 내용으로 箚子를 올리다. 12, 弘文館經筵官 兼 侍講院書筵官에 제수되다. 13, 辭職疏를 올리다. 15, 交隣과 復讐에 대한 秘密箚子를 올리다. 22, 〈經筵箴〉과 〈書筵箴〉을 製進하다. 23, 귀향하다.
고종 41 1904 갑진 光武 8 59 2, 상소하여 外交와 內修에 대해 논하다. ○ 여름, 許愈를 곡하다. ○ 9, 河亘明, 朴肇鉉, 朴圭浩와 丹城의 集賢山을 유람하다. 晉州의 伊山齋에 모여 「朱子語類」의 重刊을 논의하다. 招致의 諭旨를 받았으나, 상소를 올려 사양하다. ○ 11, 純明妃의 挽章을 製進하고, 服制를 改正할 것을 상소하다.
고종 42 1905 을사 光武 9 60 , 「朱子語類」의 刊所인 大源寺에 가다. ○ 10, 상소를 올려 日本의 保護條約을 거절하고 國體를 바로잡을 것을 청하다. 朝廷에 나오라는 召命을 받다. ○ 11, 소명에 응하여 上京하는 도중에 脅約의 소식을 듣고서, 賊臣을 誅罰하고 천하의 公法에 호소할 것을 청하는 상소를 올리다. 서울에 도착하여 請對의 상소를 올렸으나, 請對에 대한 批答을 받지 못하자 귀향하다.
고종 43 1906 병오 光武 10 61 2, 崔益鉉이 함께 擧義하자는 편지를 보내왔으나, 答書를 보내 사양하다. ○ 12, 夏를 곡하다.
순종 1 1907 정미 隆熙 1 62 樂育齋 義務所 會長의 직임을 사양하다.
순종 2 1908 무신 隆熙 2 63 〈寒洲李先生行狀〉을 짓다. ○ 沿海州로 亡命하는 李承熙를 전송하다.
순종 4 1910 경술 隆熙 4 65 7, 合邦의 소식을 듣고, 통곡한 뒤에 여러 날 동안 食飮을 폐하다.
1911 신해 66 陶潛과 金履祥의 節義를 본받겠다는 의미로 이름을’, 자를淵吉로 바꾸다.
1912 임자 67 〈南冥曺先生墓誌銘〉을 짓다. ○ 張錫英과 「春秋集傳」을 교정하다.
1913 계축 68 活字로 간행된 「寒洲集」을 다시 校正ㆍ刪削하다.
1914 갑인 69 여름, 「綱目分類」를 편집하다. ○ 「增補韻考」를 편집하다.
1915 을묘 70 學生들을 수용하기 위해 如齋의 동쪽에 寅齋를 짓다.
1916 병진 71 李承熙를 곡하다.
1917 정사 72 鄭暄의 「學圃集」을 교정하다.
1918 무오 73 가을, 이승희의 「大溪集」을 교정하다.
1919 기미 74 2, 金昌淑을 上海로 보내어 儒林代表 137인이 署名한 獨立請願書를 巴里講和會議에 發送하도록 하다. 이 일로 大丘 監獄에 구속되다. ○ 4, 2년형을 선고받다. ○ 6, 병으로 석방되다. ○ 8 24, 졸하다. ○ 10, 居昌郡 加祚面 廣星里 文載山에 장사 지내다.
1924 갑자 11, 加祚面 栗里 慕德山으로 遷葬하다.
1925 을축 11, 서울에서 鉛活字로 문집이 간행되다.

기사전거年譜, 行狀(河謙鎭 撰, 晦峯遺書 卷47) 등에 의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