道不遠人(도불원인)

정운종의 고전공부

한자(漢字) 이야기

10天干 12地支 한자 생성원리

도원 정운종 2020. 7. 18. 14:08

10 12支의 한자 생성원리를 통해 내포되어 있는 뜻에 대해 알아본다.

10天干 : ()·을()·병()·정()·무()·기()·경()·신()·임()·계()

 

-. 甲 : 싹이 싹트면서 씨앗껍질을 뒤집어 쓰고 있는 모양을 본뜬 글자로, 싹이 나기 시작한다. 처음, 제일, 씨 껍질의 단단함. 갑옷 (갑골문: 작은 미늘 조각을 연결하면 중앙은 十자 형태)

    . 밭 한가운데(田) 뿌린 씨앗이 땅 밑으로 뿌리를 내린다는 뜻을 형상화. 甲은 탁(坼. 터질/쪼개질 탁)이다. 곧 껍질을 깨고 생명을 눈뜨게 하는 힘이다. 생(生)과 기(起)에 해당되고 시동의 의미이며, 인체로는 머리를 상징, 시작.개척,상승.우두머리를 의미한다.

-. 乙 : 초봄에 초목이 싹틀 때 웅크리며 나오는 모양, 굽어진 또는 새의 뜻을 가짐

    . 삐걱거릴 알(軋)의 뜻이 함축되어 있다. 만물이 이제 막 껍질에서 나와 흙과 마찰을 빚으며 땅을 비집고 올라오니 흙더미 우뚝할 을이다. 땅을 뚫고 나오느라 구부러진 모양이 산도를 빠져 나오는 태아처럼 산고를 겪는 것이다. 생명력이 뛰어나다.

-. 丙 : 물고기 꼬리지느러미 형상, 제사에 사용되는 탁자 모양 (갑골문), 제사상은 북쪽에서 남쪽으로 배치)

    . 밝을 병(炳)이라 만물이 분명하게 모습을 드러내는 것이다. 병화(丙火)는 태양이며 빛으로 만물을 양육하는 힘과 에너지의 원천이다.

-. 丁 : 나무가 장성한 모양, 장정, 일꾼을 뜻, 못의 형상 (갑골문), 못정()

    . 정정(壯丁)의 상이다. 강할 강(强)으로 만물이 힘이 있는 여름의 무성한 기운으로 나무가 맹렬하게 줄기와 잎을 펼치는 모습으로 청년기를 상진한다.

-. 戊 : 무성하다, 도끼형 창의 형상 (갑골문), 우거질 무(), 창과()

    . 정( 丁)의 맹렬함 뒤에 찾아온 무성할 무(茂)이다. 높고 넓으며 굳어있는 땅이다.

-. 己 : 사람 배, , 자신, 구불거리는 긴 끈 모양, 굽은 것을 바로잡아 일으키는, 일으킬 기(), 벼리기()

    . 벼리 기(紀)로 무성함 뒤에 와 바깥으로 생장해 가는 것을 멈추고 자기 몸을 충실하게 하는 운동성과 뱃속 아이를 잉태한 임신부 모습이다.

-. 庚 : 변화하다, 곡식을 찧는 절구공이, 탈곡기 모양을 형상 (갑골문)

    . 단단할 견(堅)으로 만물이 수렴되어 열매가 된 것이다. 생명의 완성을 촉진하고 보호하여 지금까지 과정을 결산하고 새로운 질서를 창조하는 과정이다.

-. 辛 : 혹독한 상황, 괴롭다. 노예 이마에 문신을 넣는 바늘 모양 (갑골문)

    . 새로울 신(新)으로 꽃핀 자리에서 경금(庚金)으로 결실을 맺은 열매가 새로워 진다는 뜻이다. 만물이 성숙하여 극제(剋制)를 받는 것으로 아픔, 열매를 거둠의 의미를 갖는다.

-. 壬 : 실타래 모양 (갑골문), 실타래에 실이 감긴 모양, 임신하다 (), 북쪽의 별과 땅을 연결 (음이 극에 달해 양이 생김), 맏길임()

    . 아기밸 임(妊)으로, 음양이 합하여 새 씨앗을 잉태한다는 의미이다. 열매가 익어 씨앗이 되고, 그 씨앗이 땅속에서 다시 새로운 생명을 잉태하는 것으로 , 안으로 끌어안고 있는 모습이다.

-. 癸 : 측량하다, 걸어서 화살로 길이를 재다 (필발머리 + 화살), 헤아릴 규(), 북방의 물이 사방으로 흐르다. 冬葵(아욱규)

    . 헤아릴 규(揆)로 만물의 때와 순서를 헤아려서 다시 살아나고 양육되는 의미이다. 땅속에서 길러지던 씨앗이 다시 태어날 때를 기다리는 것을 의미한다. 

 

<천간의 오행 木火土金水 배속>
       木 火 土 金 水
양 + 甲 丙 戊 庚 壬
음 - 乙 丁 己 辛 癸

 

12地支 : (,)·축(,)·인(,호랑이)·묘(,토끼)·진(,)·사(,)·오(,)·미(,)·신(,원숭이)·유(,)·술(,)·해(,돼지)

-. 子 : 손벌린 아이 모습, 자식, 싹트다, 다산, 새끼 낳을자(), (앞 발가락4, 뒷발5로 양), 양기가 시작하다, 11월 동지.

    . 이이벨 잉(孕)이니, 양기가 비로소 삭트게 됨을 말한다. 모든 생명의 근원으로 씨앗, 종자의 의미를 가진다. 

-. 丑 : 새 발톱 모양(갑골문), 물건을 잡은 모양, (묶을뉴,수갑추), 소굽 앞쪽이 갈리는 우제목(偶蹄目). 소 위4개로 되새김질. 12월에는 농기구를 묶고 농사일을 못하다.

    . 맺을 뉴(紐)자가 어원으로, 뭔가 묶고 매듭짓는 뜻과 연결하다는 뜻을 갖는다.

-. 寅 : 화살이 과녁을 깊게 뚫고 지나간 모양. 깊다. 1월 입춘 땅속 깊은 곳에서 움직이다.

    . 펼칠 연(演)으로 얽어낸 것(紐)을 이끌어 신장(伸長) 시켜 옮기게 하는의미이다.

-. 卯 : 문을 활짝 열어둔 모양, 땅속 양쪽2개 토끼굴 모양, 움교(), 2월 싹이 트다.

    . 봄에 만물이 땅 위로 올라오느라 애쓰는 뜻이 있다.

-. 辰 : 호미모양 농기구, 농사농(),새벽, 조개모양, 변화, , 음력3월 곡우절 농사시작, 용은 발가락 5

    . 우레 진(震)으로 봄 절기 청명과 곡우 사이로 습토(土)를 의미한다.

-. 巳 : 태아, 이미()태아가 들어섰다. 음력 4, 개화

    . 아지랑이가 하늘로 올라가는 모습이 뱀과 같고, 일어날 기(起)를 포함하고, 입하와 소만사이의 농번기에 해당한다.

-. 午 : 절구공이 (杵 공이저), 정오, , 음양이 바뀜. 강한양성, 화성, 음력5월 하지.

    . 화살 (矢) 촉 모양의 광선을 의미한다. 여름 망종과 하지사이의 기간으로 하지가 지나면 습기가 생기고 공기중의 음기로 인해 다습한 더위를 느끼는 시기이다.

-. 未 : 나뭇잎이 무성한 모양 (木 윗쪽에 획추가), 머리에 털이 무성한 양모양. 음력 6

   . 맛 미(味)자 의미로 만물이 맛이 들기 시작하는 시기이다. 양이 쇠하기 시작하여 목의 성장이 한계에 달해 성장이 멈추는 시기이다. 

-. 申 : 번개불이 줄을 긋듯 뻗히다, 펴다, 펼伸,귀신神, 원숭이가 나뭇가지에 손을 뻗은 모양.

   . 절구(臼)질 하며 알맹이를 결실하는 모습을 포함한다. 낙과시기에 해당하여 버릴 것과 취할 것을 구분하는 시기이다.

-. 酉 : 술 항아리 모양, 술酒, 물을 대다, 술 마시는 모습과 닭이 물 먹을 때 모습(한모금 입에 넣고 고개들어 하늘을 보며 목목을 넘김), 음력8월 추장酋 (술단지+열다八)이 술을 처리.

    . 백로와 추분사이로 뭔가 매듭을 짓는다는 수확하는 계절을 의미한다.

-. 戌 : 도끼형상 창 모양, 무성할 茂, 창과 불로 하다. 지킬 수(), 음력9, 서리가 내려 초목이 시듬.

    . 곡식을 타작하여 성(城) 처럼 쌓아둔 모습을 본뜬 것이다. 늦가을 한로와 상강사이의 계절에 해당한다.

-. 亥 : 씨앗 근본 核, 씨방 (배젖), 돼지, 돼지豕(도축한 돼지모양), 새길刻 (칼로 가공한 돼지 모양), 음이 가장 성한 음력 10, 돼지는 음이 성한 동물.

    . 씨 핵(核)은 수확한 것을 자루에 넣어 보관하는 의미이다. 계절은 겨울이고 입동과 소설의 절기에 해당한다.

 

<지지의 음양과 체용>

구분    자  축  인  묘  진  사  오  미  신  유  술  해

쳬(體)  +    -    +    -    +    -    +    -    +    -    +    -

용(用)  -     -    +    -    +   +    -     -    +    -    +    +  

오행   水   土  木  木  土  火  火  土  金  金  土  水 

음력   11  12   1    2    3   4    5   6    7   8    9   10  

'한자(漢字)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과감(果敢)한 꼭지  (0) 2025.06.28
한자 구성원리 - 六書  (0) 2025.04.26
茶(=荼) 차, 다  (1) 2024.12.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