道不遠人(도불원인)

정운종의 고전공부

千字文 - 故事成語

천자문 (千字文) - 34

도원 정운종 2021. 8. 21. 19:41

사란사형 여송지성

似蘭斯馨 如松之盛

< 닮을 / 란초 / / 꽃다울

같을 / 소나무 / / 성할 >

 

군자의 지조는

() 같이() 이렇게() 향기롭고(),

소나무() 같이() () 하다().

  

  한자공부 

 

: 사람 이以(수저 같은 모습) 결합. '~에 따라’ ‘~때문에’라는 뜻이 었다. 이후 ‘같다.닮다.

: 가로막을 란闌이 결합. 가로막듯 갈라진 모습의  ‘.

: 기其(대나무를 엮어 만든 바구니) 도끼 근斤. 대나무 바구니는 생활 필요한 기본도구로서 지시대명사 '이것'.

: 향기 향香과 소리 (). 소리가 울려 퍼지듯 향기가 퍼져 나간다는 데서꽃답다.향기.

: 계집 녀女와 구口. 여자가 남자의 말에 잘 따르다 에서 '같다'로 가차.

: 나무 목木과 공평할 공公(). 잎의 색깔이 언제나 변치 않는 소나무.

: 사람의 발을 나타내어가다. 문장에서는 연결하는 어조사 역할.

: 그릇 명皿과 이룰 성成(성城, 쌓아올리다). 접시에 제사 음식을 높이 쌓는다는 데서성하다.

 

해설 

난초의 향기는 군자의 덕화(德化)를 상징한다. 향기가 그윽하게 멀리까지 퍼지는 것과 같이 군자의 언행은 남에게 선한 영향을 미친다. 

사시사철 푸른 소나무는 군자의 절개를 나타낸다. 공자는 "날씨가 추워진 연후에야 소나무와 측백나무가 돋보이는 것을 알수 있다. 세한연후지송백지후조 (歳寒然後知松柏之後凋)" 라 했다. 추사의 세한도 (歲寒圖) 그림도 이를 표현한 것이다.

'千字文 - 故事成語' 카테고리의 다른 글

천자문 (千字文) - 36  (0) 2021.08.31
천자문 (千字文) - 35  (0) 2021.08.21
천자문 (千字文) - 33  (0) 2021.08.21
천자문 (千字文) - 32  (0) 2021.08.21
천자문(千字文) - 31  (0) 2021.08.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