道不遠人(도불원인)

정운종의 고전공부

千字文 - 故事成語

천자문 (千字文) 63 _ 戶封八縣 家給千兵

도원 정운종 2021. 10. 18. 20:07

호봉팔현 가급천병
戶封八縣 家給千兵
<戶 집 호 / 封 봉할 봉 / 八 여덟 팔 / 縣 고을 현
家 집 가 / 給 줄 급 / 千 일천 천 / 兵 병사 병>

제후에게 여덟(八) 현(縣)의 집(戶)를 다스리도록 봉하고(封)
그들의 집(家)에는 천 명(千)의 병사(兵)를 주었다(給).

▶ 한자공부
戶 : 외닫이 문의 모습을 나타낸 데서 '집'.
封 : 흙 토土와 마디 촌寸. 흙을 수북히 쌓는 모습에서 '쌓다' 뜻. 흙더미로 경계로 삼아서 '경계', '(영토를) 봉하다'.
八 : 열 십十에 미치지 못한다는 데서 '여덟'을 뜻한다. 부수로 쓰일 때는 '나누다'의 뜻으로 쓰인다.
縣 : 고을 현県(솥 정鼎의 변형, 제사 때 사용하는 솥)과 맬 계系. 제사를 통해 사람들을 결속시킨다는 데서 '고을'을 뜻. 줄로 솥 같은 물건을 매다는 모습으로 해석하여 '매달다'.
家 : 집 면宀과 돼지 시(豕). 집에서 돼지를 기른다는 데서 '집'.
給 : 가는실 멱糸과 합할 합合(뚜껑을 덮은 그릇 → 더하다, 합하다). 긴 실을 만들기 위해서는 다른 실을 계속 이어야 한다는 데서 ‘주다’.
千 : 사람 인人(갑골문에서 천 단위를 나타냄)과 한 일一이 결합. '일천'.
兵 : 도끼 근斤과 받들 공廾. 도끼를 양손으로 들고 있는 모습에서 '병사'.

▶ 해설
제후에 대한 처우를 이야기 한다.

한漢나라는 천하를 통일한 후 공신들을 제후로 책봉하여 여덟 현의 민호民戶에서 세금을 걷을 수 있도록 했다. 제후는 저마다 천 명의 병사로 호위 받았다.

호戶는 외짝문을 말하는데, 외짝문은 일반 백성이 사는 가정의 문을 뜻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