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분 | 백수오(白首烏) | 하수오(何首烏) | 이엽우피소(耳葉牛皮) |
이명 | 은조롱 | 적(赤)하수오 | 넓은잎큰조롱 |
분류 | 박주가리과 백미꽃속 | 마디풀과 마디풀속 | 박주가리과 백미꽃속 |
잎 | 단면이 매끄럽고 찢으면 하얀 진액이 나옴 | 박주가리와 비슷 | 단면이 거칠고 찢으면 하얀 진액이 나옴 |
꽃색 | 황록색, 꽃밭침이 젖혀지지 않음 | 흰색 | 황백색, 꽃밭침이 아래까지 젖혀짐 |
뿌리 | 껍질 박피시 황진액이 나오지 않음 | 고구마 모양 | 껍질 박피시 황진액이 나옴 |
뿌리 단면 | 무늬가 있음 | 꽃무늬 모양 | 무늬가 없음 |
특징 및 효능 |
[동의보감] .성질은 평하고 따듯하며 맛은 쓰고 떫고 독이 없다. .부인이 몸푼후 생긴 질병.적백대하 치료 .혈기를보하고 힘줄과 뼈를 튼튼하게 하고, 머리털을 검게한다. .얼굴빛을 좋게하고 늙지않게한다. -.하수오는 간과 신의 약, 백수오는 기로 들어가고, 적하수오는 혈로 들어간다.[방약합편] -.백수오:고지혈증,동백경화증 완화 .맛은달고 약간 쓰며 약간 따뜻하고 간과 신을 깨끗하게 하고 근골을 강건하게 하며, 비장과 위장을 튼튼하게 하고 간의 해독작용을 돕는다.[중약사전] |
중국에서 들어옴(독성으로 사용불가) |
'동양의학 이야기 > 약초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초피나무(제피) 산초나무 구분 (0) | 2023.12.13 |
---|---|
토양학 기초 (0) | 2023.12.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