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노량(鷺梁)진 : 노돌. 노루목 -> 노량
. 노루(목) : 노루목처럼 좁고 가는 샛강이 있던 곳, 장항(獐노루장, 목項)의 옛지명이 노루목
. 돌 : 도랑 (좁고 가는 개울: 울돌목,손돌목) -> 량(梁 좁은해협: 칠천량,명량)
. 노루목이 노량으로 변천. 한자로 표기는 왜가리 로(鷺)사용.
-. 영등(永登)포 : 긴 등성이가 연결되는 곳. 영등포 <- 영등(긴등)개 <-누릉개
. 유사한 지명 : 거제 영등곶, 구영리 (긴 산줄기로 이어진 곳), 장등 (長登)
. 개 : 포(浦), 물이 드나드는 곳.
-. 살피재 : 경계표(살피)가 있는 고개, 상도동/봉천동 경계표가 있는.
. 살피 : 구별짓는 표, 경계표 옛말
. 유사한 지명 전피현(箭皮峴. 화살 ‘전’을 빌려쓴 이두식 표현)
. 고개가 높아 살펴가다, 고달프고 슬픈 삶 이라는 설도 있고.
-. 구로(九老)동 : 구로 <- 구루<- 굴 <- 골(골짜기)
. 옛지명 : 구루목골. 굴목골
. 구레 : 지대가 낮아 물이 괴어 있는 땅,
. 고래실 : 바닥이 깊고 물길이 좋아 기름진 논(구레논, 구레들, 구레골)
. 아홉 노인이 장수하며 살았다는 설도 있고.
-. 서초동 : 서초리 (서릿불) <- 상초리. 반초리
. 물이 서리어 (구불구불) 흐르는 벌판.
. 서초<-서릿풀<-서릿불 <-서릿벌판 : 우면산/서리풀공원(현)에서 물이 서리어 흐르는 벌(들)
. 서리다. : 국수,새끼 등을 동그랗게 포개 감는다. (굽다. 구불구불하다). 김이 서리다.
. 옛 한자지명 ‘상초리’ : ‘서리’음을 빌려 서리 상(霜). 또는 ‘반초리’:서리반(盤.서릴반.쟁반반)사용.
. 반포(盤浦)동 : 옛 지명 ‘서릿개’, 반포천 : 서리서리 흐르는 개울로 인해 상습 침수지역.
-. 질마재 : 안현(鞍峴. 안장안, 고개현)
. 질마 : 소 등에 얹어 물건을 운반할 때 쓰는 연장 (길마)
. 안산과 인왕산 사이 고개가 안장 또는 질마 모양.
-. 돈암(敦岩)동 : 되내미 <- 되너미 고개 (현 미아리 고개)
. 되(뙤)놈이 넘어 가는 고개, 뙤 놈 : 병자호란때 청군, 그 이전 여진족 사신
. 적유현(狄踰峴 오랑케 적. 넘을유), 적유령산맥, 김천 왜너미재(倭踰峴. 왜국 사신이 넘나들던)
-. 동작(銅雀)동 <- 동재기 고개. 동적 고개
. 골짜기 동(洞) or 한강변 검붉은 구리(銅)빛 나는 돌이 많은 곳.
-. 우면(牛眠)동 : 움안동 <- 우마니 or 우면(牛眠. 소가 잠자는 모습)
. 구마니 : 굼안이. 골짜기 안쪽.
-. 석촌(石村)동 : 돌마리 (옛이름), 강.산에서 돌아 앉은 마을.
or 물이 돌아 흐르는 곳 (옛 한강은 석촌호수로 물이 크게 돌아 흘렀음)
. 인천 간석(間石)동. 간촌
-. 도곡 (道谷) : <- 독골 <- 독구리 마을 <- 돌부리 마을, 매봉산 자락에 돌부리가 많은 지역
<참고 자료 : “우리말 땅이름”-윤재철 저>
-. 석관( 石串)동 : 천장산의 동쪽 줄기가 돌을 겹겹이 꿰어놓은 듯하다고 하여 '돌곶이'라고 불렀고 그것을 한자로 돌 석(石)자와 꿸 관(串)자를 사용하여 석관이라 한 것에서 유래되었다.
-. 길음( 吉音)동 : ‘기리묵골’ 또는 ‘기레미골’로 불렀는데, 골짜기가 길게 놓여 있는 동네라는 뜻이다. 이를 한자화하여 길음동(吉音洞)이 되었다고 전해진다. 비가 많이 오면 이 일대가 물이 많이 차고 길이 질다고 하여 ‘기리미골’ 또는 ‘지리미골’로 불리었다고도 한다.
-. 돈암(敦岩)동 : 미아리고개는 조선시대 여진인(되놈) 무리가 한양으로 들어올 때 이용했던 길이어서 ‘되너미고개’라고 불렸는데, 이를 한자로 돈암현(敦岩峴)이라고 하였다. 또는 이곳을 넘어가다가 밥을 다시 먹게 된다, 되먹게 된다 하여 ‘되너미고개’라고 불렸다는 설도 있다.
<참고 : 성북문화원>
'우리말 어원' 카테고리의 다른 글
남사(南沙)리, 사월(沙月)리, 사도실 유래 (0) | 2023.06.25 |
---|---|
"알면 정든다." - 우리나라 지명 유래 (1) | 2023.02.02 |
"알면 정든다" - 산청 남사마을 주변 이름 유래 (2) | 2023.01.29 |
마니산 참성단 (塹星壇) (0) | 2022.10.02 |
까치 설날 유래 (1) | 2022.01.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