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선정인 (禪靜印)
부처가 선정에 든 것을 상징하는 것으로 결가부좌한 상의 수인.
손바닥을 펴고 배꼽 아래 단전에다 가볍게 두 손을 포개서 앉아있는 상.
삼마지인(三摩地印) 또는 삼매인(三昧印)이라고 함.
2. 항마촉지인(降魔觸地印)
부처의 깨달음에 이르는 순간 즉 ‘득도’ 혹은 ‘성도’를 상징하는 수인.
석가가 보리수 아래에서 수행하고 있을 때 악귀의 유혹을 물리친 증인으로 지신(地神)을 불러 자신의 깨달음을 증명하였다는 내용에서 유래. 왼손은 가볍게 손바닥을 위로 향하게 하여 배꼽 아래 놓고, 오른손은 무릎 밑으로 늘어뜨리면서 다섯 손가락을 편 모양. 석굴암과 여러 사찰의 대웅전에서 많이 볼수 있음.
3. 전법륜인(轉法輪印)
부처가 득도한 후에 녹야원(鹿野苑)에서 최초의 제자들과 중생들에게 설법할 때의 수인. 양손을 가슴 앞에 올린 채 왼쪽 손바닥은 안으로, 오른쪽 손바닥은 밖으로 향하게 하고 각각 엄지손가락과 집게손가락을 맞붙여 마치 불교의 법륜(法輪)을 상징하는 것 같은 모양. 우리나라 절에서 항마촉진인과 더불어 가장 많이 사용되는 수인.
4. 시무외인(施無畏印)과 여원인(與願印)
손을 어깨 위로 올리고 손바닥을 펴 중생의 모든 두려움을 없애준다고 하는 모습.
여원인은 시무외인과 반대로 손을 아래로 내려서 손바닥을 보여주는 모든 중생의 소원을 들어준다는 것 의미를 내포.
우리나라 삼국시대 입상 불상에서 가장 많이 보이고 인도의 초기 불상에서 가장 많이 보여주는 수인.
5. 지권인(智拳印)
통일신라 이후부터 나타나는 고려시대의 대표적인 불상 모습.
삼신불이나 화엄종 사찰에서 모시는 비로자나불을 나타내는 특정 수인.
비로자나불은 부처 중에 부처이며, 비로자나불 자체가 "광명, 빛"을 나타내는 것으로 화엄경의 주존불.
이 지권인이 상징하는 것은 이(理)와 지(智), 중생과 부처, 미혹함과 깨달음이 원래는 하나라는 뜻의 수인.
6. 천지인 (天地印)
아기 부처가 오른손은 하늘을, 왼손은 땅을 가리키는 모습.
"천상천하 유아독존 삼계개고 아당안지(天上天下唯我獨尊 三界皆苦 我當安之).이 세상에서 내가 너희를 편하게 할께."하는 부처님.
7. 약기인(藥器印)
약사보살. 약사불이 손에 작은 약이 든 용기를 들고 있는 모습. 서산 마애 삼존불의 한 불상.
'불교 (佛敎)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성철스님 일대기] (0) | 2025.04.29 |
---|---|
[겁외사(劫外寺), 율은고거(栗隱故居)] (1) | 2025.04.29 |
사벌등안 (捨筏登岸) (0) | 2021.11.26 |
참선법 (參禪法) _ 수식관(數息觀) (0) | 2021.07.08 |
십우도 (十牛圖) (0) | 2021.01.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