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愛蓮說 (애련설)]
-周敦頤(송)-
水陸草木之花 可愛者甚蕃 (수륙초목지화 가애자심번)
물과 땅에 피는 초목의 꽃들에는 사랑스러운 것이 매우 많다
晉陶淵明 獨愛菊 自李唐來 世人甚愛牡丹 (진도연명 독애국 자이당래 세인심애모란)
진의 도연명은 유독 국화를 좋아했고,
당의 이백 이래로 세상 사람들은 모란을 매우 사랑하였다.
予獨愛蓮之出於泥而不染 (여독애련지출어니이불염)
하지만 나는 오직 연꽃을 좋아한다.
진흙에서 나왔어도 더럽혀지지 않고,
濯淸漣而不夭 (탁청연이불요)
맑은 잔물결에 씻겨도 교태롭지도 않고
中通外直 不蔓不枝 (중통외직 불만부지)
속은 비고 밖은 곧으며,
덩굴을 뻗지 않고 가지도 치지 않으며
香遠益淸 亭亭淨植 (향원익청 정정 정식)
향기는 멀어질수록 더욱 맑고,
곧고 깨끗하게 자라,
可遠觀而不可褻翫焉 (가원관이불가설완언)
멀리서 바라볼 수만 있을 뿐, 가벼이 희롱할 수 없다네.
予謂 菊花之隱逸者也 (여위 국화지은일자야)
나는 국화를 꽃 중의 은둔자라 하고,
牡丹花之富貴者也 (모란화지부귀자야)
모란을 꽃 중의 부귀자라 하며
蓮花之君子者也 (연화지군자자야)
연꽃을 꽃 중의 군자라 한다.
噫 菊之愛 陶後鮮有聞 (희 국지애 도후선유문)
아~ 국화를 좋아하는 사람은 도연명 이후에 들어보기 어렵네.
蓮之愛 同予者 何人 (연지애 동여자 하인)
연꽃을 좋아하는 나와 같은 사람은 누구인가
牡丹之愛 宜乎衆矣 (모란지애 의호중의)
모란을 좋아하는 사람이야 마땅히 많이 있을 것이다.
[愛蓮說]
-周敦頤-
水陸草木之花 可愛者甚蕃
晉陶淵明 獨愛菊 自李唐來 世人甚愛牡丹,
予獨愛蓮之出於泥而不染 濯淸漣而不夭 中通外直 不蔓不枝,
香遠益淸 亭亭淨植 可遠觀而不可褻翫焉
予謂 菊花之隱逸者也 牡丹花之富貴者也 蓮花之君子者也
噫 菊之愛 陶後鮮有聞 蓮之愛 同予者 何人 牡丹之愛 宜乎衆矣
'한시' 카테고리의 다른 글
沙月(사월) - 李白의 시에서 (0) | 2020.09.24 |
---|---|
偶成(우성).勸學文(권학문).醉下祝融峯(취하축융봉).觀書有感(관서유감) (0) | 2019.11.04 |
봄시 (0) | 2019.03.29 |
讀書山月夕二首/雨過蘇端/喜晴/戱題階前芍藥 (0) | 2019.02.12 |
月下獨酌/將進酒 (0) | 2019.02.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