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中庸 第33章 -
詩曰 衣錦尙絅 惡其文之著也
故 君子之道 闇然而日章 小人之道 的然而日亡
君子之道 淡而不厭 簡而文 溫而理 知遠之近 知風之自 知微之顯 可與入德矣
(시왈 의금상경 오기문지저야 고 군자지도 암영이일장 소인지도 적연이일망 군자지도 담이불염 간이문 온이리 지원지근 지풍지자 지미지현 가여입덕의)
시경에, “비단 옷을 입고, 홑 겉옷을 걸치었다”고 하였으니, 그 문채의 드러남을 꺼려한 것이다. 고로 군자의 도는 어둑어둑하나 날로 밝아지고 소인의 도는 뚜렷하나 날로 사그라지는 것이다.
군자의 도는 담담하되 싫어지지 않고, 간결하면서도 문채가 있으며, 온화하면서도 조리가 있다. 심원한 이치가 가까움으로부터 임을 알고, 바람이 이는 곳의 근원을 알며, 미세함의 뚜렷해짐을 알면 가히 함께 덕으로 들어갈 수 있다.
….
詩云 予懷明德 不大聲以色 子曰 聲色之於以化民 末也
詩云 德輶如毛 毛猶有倫 上天之載無聲無臭 至矣.
(시운 여회명덕 부대성이색 자왈성색지어이화민 말야. 시운 덕유여모 모유유륜 상천지재무성무치 지의.)
시경에, “나는 밝은 덕을 그리나니 소리를 크게 하거나 안색으로 하지 않는다.”고 하였다. 공자께서도, “성과 색은 백성들을 교화시킴에 있어서는 말단이다.”고 하셨네. 시경에 “덕은 가볍기가 터럭과 같다.”고 하였는데 터럭은 그래도 비교될 데가 있지만 “상천의 일은 소리도 없고 냄새도 없다.”는 것이 지극한 것이라네.
----------------------------------------------------------------------------------------------------
-金剛經 26. 法身非相分 -
若以色見我 以音聲求我 是人行邪道 不能見如來
(약이색견아 이음성구아 시인행사도 불능견여래)
만약 모습에 의해서 나를 보게 하거나 음성에 의해서 나를 찾으려 한다면. 이 사람은 잘못된 길을 가는 것이라 결코 여래를 볼 수 없다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