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 소(所)는
집 호(戶)와 도끼 근(斤)의 합이다.
戶자는 갑골문에 외닫이 문 형상(대문은 門), 斤자는 도끼 형상의 도구이므로,
합쳐진 所는 작은 문을 만들어 생긴 공간 즉 장소를 강조한 '그곳.그것'을 뜻하고.
바 유(攸)는
사람 인(人)과 등글월문(攵(=攴.칠복.일을 하다.회초리로 치다)와 물수(水(氵, 氺.물)의 생략형(省略形)의 합자(合字)로,
사람을 수중에서 수영시킴의 뜻이라 합니다.즉 행동을 강조한 글자로 이해 된다.
주역 뇌수해(雷水解) 괘상.
解 利西南 无所往 其來復吉 有攸往 夙吉
解. 서남쪽이 길하다. 가는 바(장소)가 없이 돌아와 회복하는 것이 길하다. 가는 바(행동)가 빠르므로 길하다.로 해석해봅니다.
집 호(戶)와 도끼 근(斤)의 합이다.
戶자는 갑골문에 외닫이 문 형상(대문은 門), 斤자는 도끼 형상의 도구이므로,
합쳐진 所는 작은 문을 만들어 생긴 공간 즉 장소를 강조한 '그곳.그것'을 뜻하고.
바 유(攸)는
사람 인(人)과 등글월문(攵(=攴.칠복.일을 하다.회초리로 치다)와 물수(水(氵, 氺.물)의 생략형(省略形)의 합자(合字)로,
사람을 수중에서 수영시킴의 뜻이라 합니다.즉 행동을 강조한 글자로 이해 된다.
주역 뇌수해(雷水解) 괘상.
解 利西南 无所往 其來復吉 有攸往 夙吉
解. 서남쪽이 길하다. 가는 바(장소)가 없이 돌아와 회복하는 것이 길하다. 가는 바(행동)가 빠르므로 길하다.로 해석해봅니다.
'고전단상' 카테고리의 다른 글
明心寶鑑 _ 韓國篇1 [三國時代] (0) | 2024.08.11 |
---|---|
內明者敬 外斷者義 (내명자경 외단자의) (1) | 2023.02.21 |
남명 조식선생의 정자이름_산해정,뇌룡사,계부당,산천재 (0) | 2020.12.14 |
블로그 명판(名板) 도불원인(道不遠人)에 붙여 (0) | 2020.07.16 |
유학(儒學). 인(仁) (0) | 2019.12.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