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글 발음에 대한 오행 배치]
오행(五行) | 자음 | 모음 | 오음(五音)
목 ㄱ.ㅋ.ㄲ, ㅏ 아(牙) 각(角)
화 ㄴ.ㄷ.ㄹ.ㅌ, ㅗ 설(舌) 치(徵)
토 ㅁ.ㅂ.ㅍ, ㅡ.ㅣ 순(脣) 궁(宮) *
금 ㅅ.ㅈ.ㅊ, ㅓ 치(齒) 상(商)
수 ㅇ.ㅎ, ㅜ 후(喉) 우(羽) *
* '토.수'의 오행배치는 '훈민정음해례(訓民正音解例.세종때 발간)' 본 기준.
* 모음의 오행 분류는 '우유'는 수, '아야'는 목, '오요'는 화, '어여'는 금, '으이'는 토로 구분.
[작명이론 : 발음오행, 수리오행, 자원(字源)오행]
1. 발음오행 :한글 글자를 소리냄으로 발현되는 오행의 영향력을 적용 : 위 오행배치 참조
-. 한글 오행은 훈민정음 원리인 '훈민정음해례(訓民正音解例.세종때 발간)' 기준과 작명가들의 기준이 서로 다르다.
: 현재 많은 작명가들은 '훈민정음운해(訓民正音韻解.조선 영조때 발간)'를 기준하고 있으나 [순(脣)음을 토(水), 후(喉)음을 수(土)로 분류], 한글 창제원리를 적용하면 반대로 된다 [순(脣)음이 토(土), 후(喉)음이 수(水)로 분류].
2. 수리오행 :한자 획수에 다른 수에 따른 길흉의 기운을 적용
. 오행배속 : 목-1,2, 화-3,4, 토-5,6, 금-7,8, 수-9,10
가) 한자 획수 오행
ex) 홍길동(洪吉童): 홍(洪.10획)으로 수, 길(吉.6획)은 토, 동(童.12획)은 10을 제하고 2 목이 되어 수토목(水土木)이 된다.
나) 삼원(三元)오행 :성과 이름자의 획수를 오행으로 표시하여 천지인(天地人)으로 나눈다.
-. 천격 : 성씨 획수 또는 +1획 한다.
-. 인격 : 성씨와 이름 첫 글자의 획수를 합한 것
-. 지격 : 이름 두자를 합한 획수
ex) 홍길동(洪吉童) :홍(洪.10획),길(吉.6획),동(童.12획)으로, 삼원오행은 수토금(水土金)
. 천격 : 洪.10획으로 수
. 인격 : 洪.10획 + 吉.6획 = 16획으로 토,
. 지격 : 吉.6획 + 童.12획 = 18획으로, 금
다) 한글획수 오행 :한글의 획수에 따라 오행으로 구분.(일반적으로 한자 획수를 기준)
. ㄱㄴㅇ,ㅡㅣ:1획, ㄷㅅㅈㅋㄲ,ㅏㅓㅗㅜ:2획, ㄹㅁㅊㅎ,ㅑㅕㅛㅠ:3획, ㅂㅍㄸㅆ:4획...
3. 자원오행 : 글자가 가진 뜻에 따른 오행의 기운을 적용
-. 부수에 따른 오행분류 : 한자 부수를 기준하여 목화토금수 오행으로 분류(사전을 참고)
-. 글자 의미에 따른 분류 :
ex) 목:건(建)동(東), 화:견(見)가(佳), 토:경(京)봉(峯), 금:상(尙)현(現), 수:길(吉)범(凡)...등
4. 주역괘상 작명법 : 역상표출법이라고도 한다.
-. 원격(元格.이름 두자의 총획수)의 수리/8=내괘 (하괘),
정격(貞格.성이름 총획수)의 수리/8=외괘 (상괘), 원격+정격의 수리/6=변괘로 한다.
-. 주역괘상 작명법에서는 괘를 만들고, 인생의 전반은 본괘로,후반은 변괘로 판단한다.
5. 수리오행의 원형리정 : 초.중.말년운 과 인생총운을 말한다.
[작명시 고려사항]
-. 사주와 이름의 조화
. 사주팔자의 분석을 기초하여, 부족한 점을 보완하고 맞지 않는 한자는 피한다.
. 음양 오행의 조화가 중요하며 한쪽으로 치우치면 좋지 못하다.
-. 한자파자, 항렬자, 영어식 발음 등을 고려한다.
===========================================
*
[순음(脣音:ㅁㅂㅍ)과 후음(喉音:ㅇㅎ)의 소리오행]
'훈민정음해례(訓民正音解例)'과 ‘훈민정음운해(訓民正音韻解)’에서 순음과 후음의 소리오행 배치가 차이난다.
훈민정음해례본에는 입술소리(순음)인 'ㅁㅂㅍ'은 토(土), 목구멍 소리(후음)인 'ㅇㅎ'은 수(水)로 되어 있고,
반대로 훈민정음운해에는 입술소리(순음)인 'ㅁㅂㅍ'은 수(水), 목구멍 소리(후음)인 'ㅇㅎ'은 토(土)로 되어 있다.
-. 후음이 수(水), 순음이 토(土)라는 주장 : 해례본 근거
목구멍은 입 안의 깊은 곳에 있고, 젖어 있으니 오행으로 보면 물水이다. 입술은 모나지만 합해 지므로 오행의 흙土에 해당한다.
-. 후음이 토(土), 순음이 수(水)라는 주장 : 운해 근거
‘ㅇㅎ’은 목구멍의 울림소리로서 모든 발음에 공통적으로 적용되는 중성적 성격인 토(土)로 분류된다. 흙, 황토, 언덕 등이 토로 표현된다. ‘ㅁㅂㅍ’은 자음 발음상 입술의 개폐과정에서 필연적으로 수분을 필요로 하기 때문에 수(水)오행으로 본다. 물, 비, 파도 등이 수로 표현된다.
현재까지 대부분의 이름짓는 기준(작명법)은 훈민정음운해에 근거하고 있다.
*. 훈민정음해례(訓民正音解例)
1446년 세종대왕때 반포된 훈민정음이 어떻게 만들었는지에 대해 기록되어있다.
태극설(太極說)과 음양오행설(陰陽五行說)로 설명되는 우주의 구성 원리가 한글창제에도 적용하고 있음을 설명한다. 한글 자음은 인체의 발음기관 모양과 음양오행 원리를 따르고, 모음은 천지인 삼재(三才)의 원리를 적용했다.
-. 자음 28자 : 아음 'ㄱ'은 혀뿌리가 목구멍을 막는 모양, 설음 'ㄴ'은 혀가 입천장에 붙는 모양, 순음 'ㅁ'은 입의 모양, 치음 'ㅅ'은 이의 모양, 후음 'ㅇ'은 목구멍의 모양을 각각 본떠 만들었다. 'ㄱㅋ', 'ㄴㄷㅌ', 'ㅁㅂㅍ', 'ㅅㅈㅊ', 'ㅇㅎ'과 같이 획을 더하여 소리가 거세짐을 나타냈다.
발음은 오음(五音)인 궁상각치우(宮商角徵羽)에 맞게 오행을 배치한다.
: 어금니 소리(牙音.角) ㄱ ㅋ은 목(木), 혓소리(舌音.徵) ㄴ ㄷ ㅌ 은 화(火) ㄹ은 반설음(창제 당시), 입술 소리(脣音.宮) ㅁ ㅂ ㅍ은 토(土), 잇소리(齒音.商) ㅅ ㅈ ㅊ은 금(金), 목구멍 소리(喉音.羽) ㅇ ㅎ은 수(水).
아설순치후는 목화토금수 상생(相生)의 순이 된다.
-. 모음의 오행 구분 :
양성, 음성, 중성모음으로 구분되며, 양성모음은 ‘아어오요’, 음성모음은 ‘어여우유’, 중성모음은 ‘으이’ 이다. 양성모음은 밝고 명랑한 느낌을, 음성모음은 어둡고 신중한 느낌을, 중성모음은 중간이다.
오행으로 분류는 '우유'는 수, '아야'는 목, '오요'는 화, '어여'는 금, '으이'는 토로 구분된다.
*. 훈민정음운해(訓民正音韻解)
1750년(영조 26)에 조선후기 학자인 신경준이 음운원리를 도해·설명한 책이다.
한자음으로 송나라 소옹(邵雍)의 ‘황극경세성음창화도(皇極經世聲音唱和圖)’를 본보기로 하여, 일종의 발음기호인 운도(韻圖)를 작성해서 훈민정음의 음운을 음운학으로 소개하였다.
훈민정음의 음운원리를 자모의 오행 상형설(五行象形說)·발음기관 상형설·순설(脣舌)작용 상형설로 구분해 설명했으며, 훈민정음을 가지고 한자음을 밝히고 있다. 훈민정음을 초·중·종성으로 나누고 이들을 한자음을 충실하게 나타낼 수 있는 문자로 정리, 이를 도해로 만들었다. 책의 종결부분에서는 훈민정음과 한자음의 관계를 설명했다.
'나의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2월 February 어원 (0) | 2023.02.01 |
---|---|
薑黃(강황)과 鬱金(울금) (0) | 2022.02.10 |
드라마 태종 이방원-낙마씬 (0) | 2022.01.23 |
조선왕조 계보 / 유네스코 등록 조선 왕릉 (0) | 2021.12.18 |
남사마을 풍수(風水)이야기 (0) | 2020.11.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