道不遠人(도불원인)

정운종의 고전공부

한시

한시 작법 (漢詩 作法)

도원 정운종 2023. 11. 23. 13:48

<오언.칠언 절구(絶句)/ 율시(律詩)>
: 규칙이 정해진 근체시
• 오언절구 : 5자로 4줄 구성
• 칠언절구 : 7자로 4줄 구성
• 오언율시 : 5자로 4줄 구성이 2세트
• 칠언율시 : 7자로 4줄 구성이 2세트
* 4행(行)으로 된 것이 절구이고, 8구(句)이면 율시.
* 당나라 이전에 형성된 5.7언. 고시(古詩)는 형식이 자유로움.

<근체시 한시 작법(作法) >
1) 한자의 사성과 평측에 따라 배열하고 운자를 붙인다.
• 한자는 4가지 소리로 구분된다.
• 사성(평성, 상성, 거성, 입성) : 평성은 평성(낮은 소리) 상성, 거성, 입성은 측성(높은 소리)이다.
• 같은 운목에 해당하는 운자를 정해진 위치에 배열한다. (운목이 東이면, 소속된 工 弓 中 公 充 功  同 등의 운자를 쓸 수 있다.)

2) 글자의 높낮이에 따라 정해진 형식(위치)이 있다.
• 평기식 : 첫째 행의 둘째 글자가 반드시 평성으로 시작
• 측기식 : 첫째 행의 둘째 글자가 반드시 측성으로 시작

3) 한시 지을때 순서 :
• 형식을 정함
• 그 형식에 맞는 배열을 확인(평기식이냐 측기식이냐 선택)
• 운목 및 운자를 확인 (한시용 운자표)
• 평.측 위치에 맞게 글자를 배치 (아래그림. 平은 평성○ / 上,去,入은 측성●)
      : 글자의 평측은 옥편 및 한시용운자표에서 검색

※  평측 위치 배치 고려사항 (기본구성도)
- 구의 네 번째 글자가 평성○일때 앞뒤가 측성●이면 안됨. 구의 네 번째 글자가 측성●일때  앞뒤가 평성○이면 안됨.
- 구의 여섯 번째 글자가 평성○일때 측성●이면 안됨. 구의 여섯 번째 글자가 측성●일때 평성○이면 안됨(일부 허용)
- 구의 마지막 세글자가 모두 측성●이거나 평성○이면 안됨
- 구의 첫글자가 모두 측성●이거나 평성○이면 안됨
* 오언시인 경우 평평측측, 측측평평을 기본으로 삼아 1자를 보충하는 형식으로 평평측측평, 측측평평측, 평평평측측, 측측측평평의 4가지이며
측측평평평이나 평평측측측은 인정하지 않음.
* 절구는 4행이 기승전결(起承轉結)의 형태를 띄며, 압운(押韻)이 있고, 제1행와 제3행의 끝 자는 측성, 제2행과 제4행의 끝 자는 평성운이 됨.

<평성과 측성>
평, 상, 거, 입(平上去入) 4 성조(聲調)
- 평성(제1성)은 음의 높낮이의 변화가 없는 낮고 평평한 음
- 상성은 낮은 곳(低)에서 시작해 높은 데(高)로 올림(평성에서 끝을 약간 올림)
- 거성은 반고저고(半高-低-高 : 중간 정도의 높이에서 시작해 내리다가 끝을 올림)음으로 4성조 중 가장 장음.
-입성은 고저(高-低 )로 높은 위치에서 급격히 끝을 내리는 단음.
* 이 변화가 있는 상.거.입성을 측성이라 함.

※ 한시내용구성
* 대체로 1,2구에서는 경치를 묘사하고 3,4구에서 감정이나 정서 등을 표현함(반대도 가능)
* 내용 및 의미를 대구(對句)로 구성하면 좋음.
* 중복된 글자가 없도록 구성(같은 구나 연에서는 중복가능)
* 의미상 같은 글자나 단어를 피할 것
※ 율시는 함련과 경련이 대가 되어야 한다.
수련(首聯 1.2구)의 도입이후 함련(頷聯 3.4구)와 경련(頸聯 5.6구)는 대구가 이뤄져야 하며 미련(尾聯 6.7구)으로 마무리 함.
ㅡㅡㅡㅡㅡㅡㅡㅡ


================
☆ 운자표 [운목]

-上平聲
東 冬 江 支 微 魚 虞 齊 佳 灰 真 文 元 寒 刪
-下平聲
先 蕭 肴 豪 歌 麻 陽 庚 青 蒸 尤 侵 覃 鹽 咸

-上聲
董 腫 講 紙 尾 語 麌 薺 蟹 賄 軫 吻 阮 旱 潸 銑 篠 巧 皓 哿      馬 養 梗 迥 有 寢 感 琰 豏
-去聲
送 宋 絳 寘 未 御 遇 霽 泰 卦 隊 震 問 願 翰 諫 霰 嘯 效 號      箇 禡 漾 敬 徑 宥 沁 勘 豔 陷
-入聲
屋 沃 覺 質 物 月 曷 黠 屑 藥 陌 錫 職 緝 合 葉 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