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1. 輕揭畵簾容乳燕 경게화렴용유연
暗垂珠淚送情人 암수주루송정인
그림 그려진 주렴을 살짝 들어 새끼치는 제비를 들이고
남 몰래 구슬 같은 눈물 흘리며 정든 임을 보내는구나. 簾 :발 렴
72. 花迎暖日粧春色 화영난일장춘색
竹帶淸風掃月光 죽대청풍소월광
꽃은 따사로운 날을 맞아 봄빛을 단장하고
대는 맑은 바람을 띠어 달빛을 쓸고있네.
73. 郊外雨餘生草綠 교외우여생초록
檻前風起落花紅 함전풍기낙화홍
들밖에 비가 흠뻑 내려 풀에는 푸르름이 생겨나고
난간 앞에 바람불어 지는 꽃이 붉구나. 檻 : 난간 함
74. 霜著幽林紅葉落 상착유림홍엽락
雨餘深院綠苔生 우여심원록태생
서리가 그윽한 숲에 내려 붉은 잎이 떨어지고
비 온 뒤 깊은 뜰에 푸른 이끼 돋는구나. 著 : 붙을 착, 나타날 저
75. 月作利刀裁樹影 월작리도재수영
春爲神筆畵山形 춘위신필화산형
달은 날카로운 칼이 되어 나무 그림자를 재단하고
봄은 신기로운 붓이 되어 산 모양을 그려내네.
76. 竹根迸地龍腰曲 죽근병지용요곡
蕉葉當窓鳳尾長 초엽당창봉미장
대나무 뿌리가 땅에 솟으니 용 허리 굽은 듯하고
파초 잎이 창에 맞닥치니 봉황 꼬리 긴 듯하네. 迸 : 솟을 병, 달아날 병
77. 耕田野叟埋春色 경전야수매춘색
汲水山僧斗月光 급수산승두월광
밭을 가는 들 할아버지는 봄빛을 묻고
물을 긷는 산승은 달빛을 되는구나. 叟 : 늙은이 수
78. 聲痛杜鵑啼落月 성통두견제낙월
態娟籬菊慰殘秋 태연리국위잔추
소리 슬픈 두견새는 지는 달을 향해 울고
모양 고운 울타리의 국화는 남은 가을을 위로하네. 娟 : 고울 연, 籬 :울타리 리
79. 遲醉客欺先醉客 지취객기선취객
半開花笑未開花 반개화소미개화
더디게 취한 손님은 먼저 취한 손님을 놀리고
반쯤 핀 꽃은 아직 피지 않은 꽃을 조롱하네.
80. 庭畔竹枝經雪茂 정반죽지경설무
檻前桐葉望秋零 함전동엽망추령
뜰 가의 대나무 가지는 눈 속에서 무성하고
난간 앞 오동잎은 가을을 맞아 떨어지네.
'한시 > 百聯抄解 (백련초해)' 카테고리의 다른 글
百聯抄解 9 (山含落照..~纔攲復正..) (0) | 2024.07.12 |
---|---|
百聯抄解 8 (鶯兒趁蝶..~龍歸曉洞..) (2) | 2024.07.12 |
百聯抄解 6 (珠簾半捲..~庭畔脩篁..) (0) | 2024.06.23 |
百聯抄解 5 (獨鞭山影..~ 垂柳一村..) (1) | 2024.06.19 |
百聯抄解 4 (垂柳綠均..~身立風端..) (0) | 2024.06.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