大學之道, 在明明德, 在親民, 在止於至善,
知止而后有定, 定而后能靜, 靜而后能安, 安而后能慮, 慮而后能得,
物有本末, 事有終始, 知所先後則近道矣,
대학지도, 재명명덕, 재신민, 재지어지선,
지지이후유정, 정이후능정, 정이후능안, 안이후능려, 려이후능득.
물유본말, 사유종시, 지소선후, 즉근도의
[대학]의 도는 명덕(明德)을 밝히는 데 있고, 백성을 새롭게 하는 것(新民)에 있으며, 지극히 선한 경지(至善)에서 머무는 데(止) 있다 . 머무를 데를 안 뒤에야 정함이 있고, 정한 뒤에야 동요되지 않을 수 있으며(靜), 동요되지 않은 뒤에야 편안할(安) 수 있다. 편안한 뒤에야 생각할 수 있고(廉), 생각한 뒤에야 얻을(得) 수 있다. 물에는 근본과 말단이 있고, 일에는 시초와 종결이 있으니, 먼저 하고 나중에 할 것을 알면 도에 가까워질 것이다.
古之欲明明德於天下者, 先治其國, 欲治其國者先齊其家, 欲齊其家者先修其身,
欲修其身者先正其心, 欲正其心者先誠其意, 欲誠其意者先致其知, 致知在格物 物格而后知至,
고지욕명명덕어천하자, 선치기국, 욕치기국자, 선제기가, 욕제기가자, 선수기신,
욕수기신자, 선정기심, 욕정기심자, 선성기의, 욕성기의자, 선치기지. 치지재격물, 격물이후지지.
옛날 명덕을 천하에 밝히려는 사람은 먼저 그 집안을 바로 잡았고, 그 집안을 바로 잡으려는 사람은 먼저 그 몸을 닦았고, 그 몸을 닦으려는 사람은 먼저 그 마음을 바르게 하였고, 그 마음을 바르게 하려는 사람은 먼저 그 뜻을 참되게 했고, 그 뜻을 참되게 하려는 사람은 먼저 그 앎을 투철히 했으니, 앎을 투철히 함은 사물의 이치를 구명하는 데 있다.
知至而后意誠, 意誠而后心正, 心正而后身修, 身修而后家齊, 家齊而后國治, 國治而后天下平,
지지이후의성, 의성이후심정, 심정이후신수, 신수이후가제, 가제이후국치, 국치이후천하평
사물의 이치가 구명된 뒤에라야 앎이 투철하여지고, 앎이 투철하여진 뒤에라야 뜻이 진실하여지고, 뜻이 진실하여진 뒤에라야 마음이 바르게 되고, 마음이 바르게 된 뒤에라야 몸이 닦아지고, 몸이 닦아진 뒤에라야 집안이 바로 잡히고, 집안이 바로 잡히고 난 뒤에라야 나라가 다스려지고, 나라가 다스려진 뒤에라야 천하가 화평하게 된다.
自天子以至於庶人, 壹是皆以修身爲本, 其亂本而末治者否矣, 其所厚者薄而其所薄者厚未之有也.
자천자이지서인, 일시, 개이수신위본. 기본난이말치자, 부의. 기소후자박, 이기소박자후, 미지유야.
천자로부터 서민에 이르기까지 한 결 같이 다 몸을 닦는 것으로써 근본을 삼는다. 그 근본이 어지러우면 말단이 다스려지는 법이 없으며, 후하게 해야 할 데에 박하게 하고, 박하게 해야 할 데에 후하게 할 사람은 없는 것이다.
----------------
或曰敬, 若何以用力耶, 朱子曰, 程子嘗以主一無適言之, 嘗以整齊嚴肅言之,
어떤 사람이 묻기를 "경이란 어떻게 힘써야 하는 것인가?" 하였더니, 주자는 말하였다. "정자는 일찍이 '주일무적', 즉 정신을 통일하여 흐트러짐이 없는 것이라 하기도 하고, 또 '정제엄숙', 즉 몸가짐을 가지런히 하고 마음을 엄숙히 하는 것이라고도 했다."
門人射氏之說則, 有所謂常惺惺法者焉, 尹氏之說則有其心收斂, 不容一物者焉云云,
문인인 사씨의 설로는 이른바 "항상 경계하여 깨달으려는 방법"이며, 윤씨의 설로는 "그 마음을 단속하여 한 가지의 잡념도 용납하지 않는 것"이라 운운하였다.
敬者一心之主宰而萬事之本根也, 知其所以用力之方, 則知小學之不能無賴於此, 以爲始知小學之賴此以始, 則夫大學之不能無賴於此以爲終者, 可以一以貫之而無賴矣,
경이란 한 마음의 주재이며, 만사의 근본인 것이다. 그 힘쓰는 방법을 알면 [소학]이 이것에 의지하고서야 시작될 수 있음을 알게 되며, [소학]이 이것에 의지하고서 시작되는 것임을 알면 [대학]이 이것에 의지하여야만 끝맺을 수 있는 것도 일관하여 의심하지 않게 된다.
蓋此心則立, 由是格物致知, 以盡事物之理, 則所謂尊德性而道問學, 由是誠意正心以修其身, 則所謂先立其大者而小者不能奪,
원래 이 마음이 이미 있게 되면, 이 경에 의하여 사물을 밝히고, 앎을 투철히 하여 사물의 이치를 모두 궁구하면, 이것이 이른바 덕성을 놓이고 학문을 일삼는 것이다. 경에 의하여 뜻을 진실히 하고 마음을 바로 잡아 자신의 몸을 닦으면, 이것이 이른바 "먼저 그 큰 것을 세우면 작은 것도 빼앗기지 않을 수 있다"는 것이다.
由是齊家治國而及乎天下, 則所謂修己以安百姓, 篤恭而天下平, 是皆未始一日而離乎敬也, 然則敬之一字, 豈非聖學始終之要也哉.
경에 의하면 집안을 바로잡고 나라를 다스리며 천하에까지 미치면, 이것이 이른바 "자기 자신을 닦아서 백성들을 편안하게 한다"는 것이고, "공손한 태도를 독실히 하여 천하가 화평하여 진다"는 것이다. 이상의 모든 것이 다 하루라도 "경"을 떠나서는 이루어지지 않는 것이다. 그러므로 어찌 경이라는 한 글자가 성학의 시작과 끝맺음에 걸친 일관된 요건이 아니겠는가!
○右孔氏遺書之首章, 國初臣權近, 作此圖, 章下所引或問通論大小學之義說, 見小學圖下, 然非但二說當通看, 幷與上下八圖皆當通此二圖而看,
위의 글은 공자가 남긴 첫 장입니다. 국초의 신하 권근이 근래에 이 그림을 만들었습니다. 장 아래에 인용한 [혹문]의 [대학]과 [소학]을 통론한 설은 [소학도] 아래서 소개하였습니다. 그러나 다만 이 두 설만 통하여 볼 것이 아니라, 상하의 여덟 그림도 모두 마땅히 이 두 그림과 통하여서 보아야 합니다.
皆上二圖是求端, 擴充, 體天盡道極致之處, 爲小學大學之標準本源, 下六圖是明善誠身崇德廣業用力之處, 爲小學大學之田地事功,
대저 위의 두 그림은 실마리를 구하여 확충하고, 하늘을 본받아 도를 다하는 극치 점으로 [소학]과 [대학]의 포준 및 본원이 되는 것입니다. 아래의 여섯 그림은 선을 밝히고 자신을 참되게 하며, 덕을 높이고 학업을 넓히며, 힘을 기울여야 할 점으로 [소학], [대학]의 근거이자 공효가 되는 것입니다.
而敬者又徹上徹下著工收效, 皆常從事而勿失者也, 故朱子之說如彼, 而今玆十圖皆以敬爲主焉, 太極圖說言靜不言敬, 朱子註中言敬以補之.
그리고 경이란 상하에 다 통하는 것으로서, 공부를 착수하는 데서나 그 공부의 효과를 거두는 데서나 항상 실천하여 잃지 말아야 할 것입니다. 그러므로 주자의 말이 위와 같았으며, 이제 이 [십도]도 모두 경을 위주로 하였습니다. [태극설]에서는 정만 말하고 경은 말하지 않았는데, 주자가 주해하는 가운데 서경을 말하여 보충하였습니다.
'고전단상' 카테고리의 다른 글
聖學十圖(성학십도)6_心統性情圖 (심통성정도) (0) | 2018.11.12 |
---|---|
聖學十圖(성학십도) 5_ 白鹿洞規圖(백록동규도) (0) | 2018.11.11 |
聖學十圖(성학십도)3 _ 小學圖(소학도) (0) | 2018.11.06 |
활인심방(活人心方)_거병연수육자결(去病延壽六字訣) (0) | 2018.10.23 |
활인심방(活人心方)_도인법(導引法) (0) | 2018.10.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