道不遠人(도불원인)

정운종의 고전공부

전체 글 423

정태수 선생 공적비

유도회 단성지부회장과 단성향교 전교등을 역임하신 수헌(守軒) 정태수(鄭泰守) 선생 공적비 제막식이 산청 단성면 석대마을 석용재(石龍齋)에서 거행되었다. 단성 신안정사의 신입 학도로서 마을 형님들과 행사를 참관하였다. 요즘시대에 공적비를 세우는 것이 조금은 낯설지만, 훌륭한 덕을 베푼 분에게 후학들이 뜻을 모아 비를 세워 기리는 것은 2023년 현재에 사는 이에게는 새롭고 아름답게 보였다. 한문학자 허권수 선생께서 쓰신 수헌선생의 약력과 한글 4구로 맺은 비문을 지역 유림들이 낭독하였다. 비문과 공덕비 고유문이 큰 울림으로 퍼져나가는 것 같았다.

나의 이야기 2023.11.25

한시 작법 (漢詩 作法)

: 규칙이 정해진 근체시 • 오언절구 : 5자로 4줄 구성 • 칠언절구 : 7자로 4줄 구성 • 오언율시 : 5자로 4줄 구성이 2세트 • 칠언율시 : 7자로 4줄 구성이 2세트 * 4행(行)으로 된 것이 절구이고, 8구(句)이면 율시. * 당나라 이전에 형성된 5.7언. 고시(古詩)는 형식이 자유로움. 1) 한자의 사성과 평측에 따라 배열하고 운자를 붙인다. • 한자는 4가지 소리로 구분된다. • 사성(평성, 상성, 거성, 입성) : 평성은 평성(낮은 소리) 상성, 거성, 입성은 측성(높은 소리)이다. • 같은 운목에 해당하는 운자를 정해진 위치에 배열한다. (운목이 東이면, 소속된 工 弓 中 公 充 功 同 등의 운자를 쓸 수 있다.) 2) 글자의 높낮이에 따라 정해진 형식(위치)이 있다. • 평기식 ..

한시 2023.11.23

遊老園戱題.白雲.村舍秋夜.貧家女.偶吟

- 逋翁 李允源 醉臥花前君莫嗔 園中桃李幾時春 曾是王孫歌舞地 不知來者復誰人 취와화전군막진 원중도리기시춘 증시왕손가무지 부지래자부수인 취해 꽃밭에 누웠다 나무라지 마오. 정원의 복숭나무는 몇 번째 봄이런가. 일찍이 왕손들이 즐기던 곳인데 누가 다시 찾아올지 모르겠네. - 松隱 石之屹 송은 석지흘 泠泠溪水入雲聞 南北東西盡白雲 客到白雲迷去向 木蓮花落自紛紛 영영계수입운문 남북동서진백운 객도백운미거향 목련화락자분분 산뜻한 계곡물 소리 구름속에서 들리네 사방이 흰 구름으로 덮여 나그네 흰 구름속에서 길을 헤메는데 목련꽃 분분히 떨어지네. - 犁邨 朴壽徵 이촌 박수징 喔喔鷄聲動客情 秋風旅館夢難成 開門望見山川色 月上東天萬壑明 악악계성동객정 추풍여관몽난성 개문망견산천색 월상동천만학명 꼬꼬댁 대는 닭소리가 객정을 일으키네 ..

한시 2023.11.21

V. 개론 (槪論) 161 - 193

161. 말년이 아름답다. 日旣暮 而猶煙霞絢爛 일기모 이유연하현란 歲將晩 而更橙橘芳馨 세장만이갱등귤방형. 故末路晩年 君子更宜精神百倍 고말로만년 군자갱의정신백배. 날이 이미 저물었으나 오히려 안개와 노을이 현란하고, 한해가 거의 끝나가지만 등자나무와 귤나무가 더욱 향기롭다. 따라서 말로와 말년에 이를 수록 군자는 정신을 백 배 가다듬어야 한다. -. 猶 : 오히려 유, 煙霞 : 안개와 노을, 絢 : 무늬 현. 끈 순 162. 가득참을 조심해라. 居盈滿者 如水之將溢未溢 切忌再加一滴 處危急者 如木之將折未折 切忌再加一搦. 거영만자 여수지장일미일 절기재가일적 처위급자 여목지장절미절 절기재가일닉 가득 찬 곳에 있는 사람은 마치 물이 넘치려 하면서도 아직 넘치지 않은 상황과 같아 단 한 방울 물이라도 다시 더하는 것..

독맥(督脈)

​독맥은 하늘의 기운을 받는 맥이다. 남성적이고 양적인 에너지가 모인 경락이다. 독맥(督脈)의 독(督)는 모든 양경을 감독한다는 뜻으로, 인체 내 모든 양경의 기혈을 조절하고 뇌수, 신장, 정신상태를 주관한다. 인체의 배면과 머리의 정중앙 선을 따라 이동하고 척추의 아래에서부터 위로 순행하여 입으로 다다른다. 척추로 상행하기 때문에 대부분의 허리 질환에 관계하고, 뇌척수 신경과 관련이 있다. 독맥에는 혈이 28개가 있으며, 독맥 주변에 오장육부의 수혈이 있어 수혈을 잘다스리면 오장육부에 일어나는 다양한 병증들을 치료 할수가 있다. 독맥의 증후는 독맥의 기가 잘흐르지 않으면 척추가 뻣뻣하고 머리가 무겁고, 요부.배부.목덜미.성기.척추에 문제가 생길수가 있다. 독맥은 꼬리뼈 아래의 장강(長强)혈로부터 시작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