道不遠人(도불원인)

정운종의 고전공부

동양의학 이야기

독맥(督脈)

도원 정운종 2023. 10. 31. 17:41

<독맥(督脈)>
​독맥은 하늘의 기운을 받는 맥이다. 남성적이고 양적인 에너지가 모인 경락이다.
독맥(督脈)의 독(督)는 모든 양경을 감독한다는 뜻으로, 인체 내 모든 양경의 기혈을 조절하고 뇌수, 신장, 정신상태를 주관한다. 인체의 배면과 머리의 정중앙 선을 따라 이동하고 척추의 아래에서부터 위로 순행하여 입으로 다다른다. 척추로 상행하기 때문에 대부분의 허리 질환에 관계하고, 뇌척수 신경과 관련이 있다. 

독맥에는 혈이 28개가 있으며, 독맥 주변에 오장육부의 수혈이 있어 수혈을 잘다스리면 오장육부에 일어나는 다양한 병증들을 치료 할수가 있다. 독맥의 증후는 독맥의 기가 잘흐르지 않으면 척추가 뻣뻣하고 머리가 무겁고, 요부.배부.목덜미.성기.척추에 문제가 생길수가 있다. 
독맥은 꼬리뼈 아래의 장강(長强)혈로부터 시작하여.윗입술의 인중을 거쳐 은교혈까지 이르므로, 독맥이 발달되면 윗입술이 발달되며 양의 기를 가졌다. 능동적이며 공격적인 기운을 가진 사자.호랑이 같은 맹수류, 독수리, 매등 윗턱이 강한 동물이다. 독사도 윗턱의 양쪽 독니가 담겨져 있다. 

-. 장강 : 미골 끝단과 항문의 연결선의 중간 점에 위치. 장(長)은 우두머리의 뜻이며 순환하여 끝이 없음을 이르러 장이라

하고, 강은 강하다는 뜻 움직여 쉬지 않는 것을 강이라 한다. 따라서 장강은 심신을 강건하게하고 장생시키는 혈이라는 뜻을 갖는다. 치질, 탈항, 음낭습진, 정신분열증에 쓰인다.
-. 요유 : 미골 끝단에서 위로 1촌 떨어진 곳. 요유는 허리에 있는 유혈이라는 뜻이며 허리에서 가장 많은 사기가 출입하는 혈이다. 요추통, 설사, 변비, 이질, 간질, 월경불순, 하지마비 치료에 쓰인다.  

-. 요양관 : 제 4 요추 극돌 아래로 오목,한 곳. 관원혈의 뒤쪽에 있는데, 이 혈은 독맥에 속하지만 원양 원음이 모이는 곳이므로 양관이라 이름한다. 요통, 좌골신경통, 루머티즘, 관절염, 하지마비.

-. 명문 : 명문이라는 것은 생명력이 가장 중심인 문이다. 선천이 원기가 명문으로 출입하여 건강을 유지하는 혈이다.

   요통, 요부염좌, 척수질환, 급성위급증.

-. 근축 : 제 9흉추 아래에 있어 그 맥기가 간유와 서로 상통하는데 간은 근을 주관하므로 간이 병들면 근육이 위축된다.

   늑막염, 요배신경통, 전간, 히스테리, 늑간신경통.

-. 지양 : 7요추의 아래에 독맥 상에 있는데 등은 양(陽)이고 독맥은 모든 양(陽)을 다스린다. 양의 증상을 제거하는 혈이다. 이 혈이 양중의 양이 되므로 지양이라 칭한다. 기관지염, 폐렴, 천식, 위통, 간염, 담낭염.

-. 신도 : 제 5흉추의 아래에 있어 심장과 만나고 심은 신장을 관장하므로 이 혈은 심기가 통하는 길이 되어 심장의 증세를 관할하므로 신도라 한다. 뇌신경쇠약, 뇌일혈, 열성질환, 심질환.

-. 신주 : 몸의 중요한 뼈대가 된다. 등의 제 3흉추 아래 양방에는 폐유가 있어 전신의 맥기를 관장하고 양쪽 양 유두 사이는 단중으로 종기가 나오는 곳이다. 폐가 제 3추에 매여있어 아래로는 척수에 통하고 위로는 뇌에 통한다. 신도의 기를 이어받아 독맥을 따라 상승하게 하여 바르고 또 곧게해주므로 신주라 한다. 뇌척추질환, 히스테리, 호흡기질환

-. 대추 : 제 1흉추상의 함요처로 어깨높이에 있다. 뒷목 어깨의 제일 큰 척추 뼈가 되며 모든 양경락이 대추혈에서 만난다.

   발열, 정신분열증, 폐기종, 인후염.

-. 아문 : 뒷목 중앙부 머리뼈와 목이 만나는 곳에서 아래로 약 1cm 지점이다. 아문혈 좌우에 약 2∼3cm 굵기의 ‘승모근’이란 근육의 바깥 경계점이 천주혈이다. 언어장해나 두통에 효과가 좋다. 두통.언어장애.척수염.발음을 순조롭게

- 풍부 : 목덜미 머리털이 돋은 경계(발제)에서 1촌 위에 위치. 감기에 따른 두통, 머리 무거움, 코막힘, 콧물, 발열, 중풍 고혈압, 불면증, 기억력감퇴, 비염등에 효과.

-. 백회 : 오른쪽, 왼쪽 귀에서 올라온 선과 독맥선이 교차되는 지점에 위치. 손가락 끝으로 누르면 우묵하게 들어간 듯한 곳,  수족삼양경과 독맥이 모이는 혈이 되어 신체 내의 여러경맥이 모이는 혈이라는 뜻에서 백회라고 명명했다. 두뇌를 맑게하는 효능과 함께 눈의 피로와 코막힘으로 인한 두통, 의명, 어깨결림 등에 효과. 두통, 어지러움, 쇼크, 고혈압, 불면

-. 상성 : 이마부 발제에서 1촌 들어간 함요처로 마치 별이 그 위에 있는 것 같으므로 상성이라 한다. 상성이라는 것은 오장의 정기가 위로 머리에 모여 코, 눈, 머리의 이상증상에 사용되는 혈이다. 두통, 비염, 비출혈 

-. 수구(인중) : 콧날 아래의 도랑 중앙에 있고 수양명경이 가운데 끼어 있어서 경수가 교합되므로 수구라고 한다.

지기는 입(口)에 통하고 천기는 코(鼻)에 통하는데 이 혈은 입과 코의 중간에 있다. 당뇨병, 뇌충혈, 뇌빈혈, 얼굴풍증, 히스테리, 정신분열증 

-. 은교 : 입술 안쪽 잇몸에 앞니의 뿌리 부분에 있다. 임맥, 독맥, 족양명의 교회 하는 곳이므로

은교라고 이름하였다.구내염, 치통출혈, 정신과질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