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윷점]
우리민족은 전통적으로 고대로부터 조선말까지 설날에 윷놀이를 하고 윷점을 친 것으로 알려졌다.
이순신 장군의 "난중일기" (1592~1596년)에도 14차례 척자점(윷점)을 친 기록이 있으며,
조선후대 실학자 유득공의 “경도잡지”(1784년)에는 당시 민간에서 행해지던 윷점 해석에 대해 상세하게 수록해 놓았다.
윷점 얻는 방법 : 윷을 세 번 던져 나오는 수로 해석한다. 1(도), 2(개), 3(글), 4(윷,모)
[윶점 풀이]
111(도도도): 어린아이가 자애로운 어머니를 만났다. (아유자모:兒見慈母)
-어린 아이가 포근하고 편안한 어머니를 만나듯 힘들고 어려운 일이 끝나고 앞날이 편안해진다는 의미로 만사형통이다
112(도도개): 쥐가 창고에 들었다. (서입창중:鼠入倉中)
-헛간은 곡식 등을하는 장소로 쥐가 창고 보관에 드는 것은 집안의 재물이 조금씩 빠져 나가는 형국으로 손재수 조심 (쥐의 관점에서는 먹을 걱정없이 풍족하다)
113(도도글): 어두운 밤에 촛불을 얻었다. (혼야득촉:昏夜得燭)
-어려운 상황에서 귀인의 도움을 받아 뜻한 일이 잘 풀려나가는 형국이나 서두르면 실패할 수 있다.
114(도도윷(모)): 파리가 봄을 만났다. (창승봉춘:蒼蠅遇春)
-봄철은 파리에게는 먹을거리가 충분하지 않으나 앞으로 차차 좋아질 것이란 의미로 서두르지 말고 여유를 가지면 좋아진다.
121: 큰 물이 거슬러 흐른다. (대수역류:大水逆流)
- 큰 물줄기가 거꾸로 흐르는 것은 어려운 일을 시작한다는 의미로, 이것을 극복하면 크게 성공을 이룰 수 있다.
122: 죄 있는 가운데 공을 세웠다. (죄중입공:罪中立功)
- 뜻하지 않는 횡재를 얻을 수 있는 징조다.
123: 나비가 등잔을 쳤다. (비아박등:飛蛾撲燈)
- 나비는 부부간의 화합과 평안한 의미를 가지는 상징물인데, 무리하게 욕심을 부리다 궁지에 빠질 징조다.
124: 쇠가 불을 만났다. (금철우화:金鐵遇火)
- 쇠가 불을 만났을 때 생활용구로 탈바꿈하는 것처럼 올 한해 자신을 희생하면 좋은 기회와 결과가 온다는 의미.
131: 학이 깃을 잃었다. (학실우편:鶴失羽翼)
- 학이 날개를 잃는다는 뜻으로 뜻한 바는 있으나 잘 이루어지지 않을 징조다.
132: 주린 이가 먹을 것을 얻었다. (기자득식:飢者得食)
- 굶주린 자가 밥을 얻는 것으로 어려운 경제 사정이 펴질 징조다.
133: 용이 큰 바다에 들었다. (용입대해:龍入大海)
- 자신이 가진 역량을 마음껏 펼칠 수 있는 기회로 금년에 소망을 모두 이룰 징조다.
134: 거북이가 대밭에 들었다. (구입광중:龜入筐中)
- 물에 사는 거북이가 광주리 속으로 들어가므로 힘들고 어려운 환경으로 바뀔 징조다.
141: 나무 뿌리가 없다. (수목무근:樹木無根)
- 나무의 뿌리가 없으니 곧 하는 일이 실패한다는 의미다.
142: 죽은 이가 다시 살았다. (사생복생:死者復生)
- 죽은 이가 다시 살아나듯 기적 같은 일이 일어나 어려운 처지를 벗어나게 도와준다.
143: 추운 이가 옷을 얻었다. (한자득의:寒者得衣)
- 귀인의 도움으로 어려움을 헤쳐 나갈 수 있는 좋은 운세다.
144: 가난한 사람이 보배를 얻었다. (빈인득보:貧入得寶)
- 가난한 사람이 보배를 얻었다.
211: 해가 구름 속에 들었다. (일입운중:日入雲中)
- 자신이 뜻한 바가 남의 훼방으로 이루어지지 못할 운세로 주변사람과 잘 지내야 한다.
212: 장마 때에 해를 보았다. (임천견일:霖天見日)
- 장마에 해를 보기 어렵듯, 모두 다 어려운 처지지만 본인에게는 좋은 일이 생길 운세다.
213: 활이 살을 잃었다. (궁실익전:弓失翼箭)
- 활이 화살을 잃는다는 뜻으로 사소한 실수로 큰일을 망칠 수 있는 불길한 형국이다.
214: 새가 날개가 없다. (조무우한:鳥無羽翰)
- 자신이 뜻한 바가 주변의 도움이 없어 잘 이루어지지 않을 징조다.
221: 약한 말이 짐이 무겁다. (약마타중:弱馬駄重)
- 미리미리 모든 일을 준비하지 않으면 큰 낭패를 볼 수 있는 형국으로 유비무환이다.
222: 학이 하늘에 올랐다. (학등우천:鶴登于天)
- 자신의 희망과 의지가 이루어질 징조다.
223: 주린 매가 고기를 얻었다. (기응득육:飢鷹得肉)
- 오랜 고생 끝에 계획한 일들이 성공을 할 운세다.
224: 수레에 두 바퀴가 없다. (거무양륜:車無兩輪)
- 뜻한 바는 있지만 도와주는 이가 없어 잘 이루어지지 않는 형국.
231: 어린아이가 젖을 얻었다. (영야득유:嬰兒得乳)
- 올 한해 풍족하고 편안하게 살 징조다.
232: 중한 병에 약을 얻었다. (중병득약:重病得藥)
- 어렵고 힘든 상황에서 귀인을 만나 뜻한 바가 이루어지는 형국.
233: 나비가 꽃을 얻었다. (호접득화:蝴蝶得花)
- 자신이 뜻한 바가 모두 원만하게 이루어질 징조다.
234: 활이 살을 얻었다. (궁득익전:弓得翼箭)
- 자신이 계획한 일이 만사형통한다는 의미로 대길하다.
241: 소원했던 손님에게 절을 하여 뵈었다. (배견소빈:拜見疎賓)
- 하늘의 도움으로 나에게 도움을 줄 귀인을 만날 징조다.
242: 물고기가 물을 잃었다. (하어실수:河魚失水)
어렵고 힘든 일이 많이 생길 징조다.
243: 물 위에 문채가 났다. (수상생문:水上生紋)
- 귀찮은 일이 많이 생길 징조다.
244: 용이 여의주를 얻었다. (용득여의:龍得如意)
- 자신이 뜻한바가 마침내 이루어지고 크게 성공한다는 의미.
311: 큰 고기가 물에 들었다. (대어입수:大魚入水)
- 올 한해 사업이 번창하여 많은 재물이 들어 올 징조이다.
312: 더위에 부채를 얻었다. (염천증선:炎天贈扇)
- 어려움 속에서 귀인의 도움으로 모든 일이 순조롭게 이루어질 징조이다.
313: 놀란 매가 발톱이 없다. (경응무조:驚鷹無爪)
- 뜻한 일이 제대로 풀리지 않을 징조이다.
314: 강 속에 구슬을 던졌다. (척주강중:擲珠江中)
- 어렵게 얻은 성과를 쉽게 잃어버릴 징조이다.
321: 용 머리에 뿔이 났다. (용두생각:龍頭生角)
- 모든 것이 순리대로 제대로 이루어진다는 만사대길의 의미.
322: 가난하고 또 천한다. (빈이차천:貧而且賤)
- 생활이 어려워지고 신분이 낮아진다는 의미로 실패수를 조심해야 한다.
323: 가난한 선비가 녹을 얻었다. (빈사득록:貧士得祿)
- 공무원 시험에 합격하거나 승진할 운세를 말함.
324: 고양이가 쥐를 만났다. (묘아득서:猫兒逢鼠)
- 모든 것이 순리대로 이루어지니 온갖 재물이 굴러들어 온다는 의미.
331: 고기가 변하여 용이 되었다. (어변성룡:魚變成龍)
- 노력 끝에 큰 소원이 이루어지고 높은 관직에 오르는 형국이다.
332: 소가 꼴과 콩을 얻었다. (우득초두:牛得草豆)
- 소가 콩을 얻는다는 뜻으로 올 한 해 재물과 식복이 많이 들어 올 징조이다
333: 나무 꽃이 열매를 맺었다. (수화성실:樹花成實)
- 계획한 일들이 드디어 결실을 맺을 징조이다.
334: 중이 속인이 되었다. (사문환속:沙門還俗)
- 지금 하는 일과 전혀 다른 일을 하거나 환경이 급변할 수 있는 징조이다.
341: 나그네가 집을 생각한다. (행인사가:行人思家)
- 계획한 일 중간에 근심과 어려움이 생길 징조이다.
342: 말이 채찍이 없다. (마무편책:馬無鞭策)
- 큰일을 이루고자 시작하였으나 주변 환경이 잘 도와주지 않는 형국이다
343: 행인이 길을 얻었다. (행인득로:行人得路)
- 손쉽게 뜻한 바를 이룰 수 있는 형국이다.
344: 해가 이슬에 비친다. (일조초로:日照草露)
- 귀인의 상을 타고 나 하늘의 도움으로 뜻한 일이 이루어질 징조이다.(이슬 입장에선 금방사라진다)
411: 부모가 아들을 얻었다. (부모득자:父母得子)
- 평생 뜻한 소망이 이루어질 징조이다.
412: 공이 있으나 상이 없다. (유공무상:有功無賞)
- 별 소득 없이 한 해가 바쁠 징조이다. 실속 없이 바쁘기만 하다.
413: 용이 깊은 못에 들었다. (용입심연:龍入深淵)
- 자신이 뜻한 바를 이룰 수 있는 시기와 장소를 만나 소원을 이루는 형국이다
414: 장님이 문에 바로 들어 갔다. (맹인직문:盲人直門)
- 많은 어려움이 있어도 모든 일이 우연찮게 뜻대로 이루어질 운세이다.
421: 어두운 곳에서 불을 보았다. (암중견화:暗中見火)
- 좋은 소식을 들을 운세이다.
422: 사람이 손과 팔이 없다. (인무수비:人無手臂)
- 노력에 비해 결과가 항상 미흡하여 수확이 적다는 운세이다.
423: 대인을 보는 것이 이롭다. (이견대인:利見大人)
- 큰 뜻을 가진 사람과 교류를 할 운세이다.
424: 각궁에 활줄이 없다. (각궁무현:角弓無弦)
- 계획한 일이 있으나 실행시 항상 하나씩 부족하여 일이 제대로 풀리지 않는 운세이다.
431: 귓 가에 바람이 난다. (이변생풍:耳邊生風)
- 불길하고 나쁜 소리를 들을 운세이다.
432: 어린아이가 보배를 얻었다. (치아득보:稚兒得寶)
- 일찍 많은 재물을 얻어 은혜를 갚고 편안하게 지낼 형국이다.
433: 사람을 얻었다가 도로 잃었다. (득인환실:得人還失)
- 의리와 신의를 지켜야만 친구를 잃지 않는다는 의미이다.
434: 어지러워 길하지 않다. (난이불길:亂而不吉)
- 좋지 않은 일이 발생할 형국이니 만사를 조심해야 한다.
441: 살 길이 아득하다. (생사망연:生事茫然)
- 살길이 아득 하다는 뜻으로 모든 일이 제대로 이루어지 않을 형국이니 참고 기다려라.
442: 고기가 낚시를 물었다. (어탄조구:魚呑釣鉤)
- 순조롭게 자신이 뜻한 바가 이루어질 형국이다.
443: 나는 새가 사람을 만났다. (비조우인:飛鳥遇人)
- 뜻하지 않게 방해꾼이 나타나 계획한 일을 서두르게 하는 형국이다.
444: 형이 아우를 얻었다. (가가득제:哥哥得弟)
- 집안에 동생이 태어나거나, 사회에서 나를 따르는 무리들이 생기는 형국
[주역 64괘 배치 ]
111 乾 112 履 113 同人 114 无妄 121 姤 122 訟 123 遯 124 否
131 夬 132 兌 133 革 134 隨 141 大過 142 困 143 咸 144 萃
211 大有 212 睽 213 離 214 噬嗑 221 鼎 222 未濟 223 旅 224 晉
231 大壯 232 歸妹 233 豊 234 震 241 恒 242 解 243 小過 244 豫
311 小畜 312 中孚 313 家人 314 益 321 巽 322 渙 323 漸 324 觀
331 需 332 節 333 旣濟 334 屯 341 井 342 坎 343 蹇 344 比
411 大畜 412 損 413 賁 414 頤 421 蠱 422 蒙 423 艮 424 剝
431 泰 432 臨 433 明夷 434 復 441 升 442 師 443 謙 444 坤
'나의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신심명(信心銘) 한 구절 (0) | 2020.04.30 |
---|---|
豪民論(호민론) - 허균 (0) | 2020.04.14 |
止于止(지우지) (0) | 2019.12.25 |
습정양졸(習靜養拙) (0) | 2019.12.24 |
구절초.쑥부쟁이.개미취 (0) | 2019.10.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