道不遠人(도불원인)

정운종의 고전공부

동양의학 이야기

임맥(任脈)

도원 정운종 2023. 10. 31. 17:34

<임맥(任脈)>
임맥은 땅의 기운을 받는 맥이다.
아랫입술부터 복부.정중앙을 따라 중단전과.하단전 회음까지 내려가고, 자율신경계와 비뇨생식기와 관련이 있는 경락이다. 몸의 앞쪽부분에 있는 식도.위장을 따라 흐른다.
임(任)자는 '담당하다'는 뜻을 포함하지만 아이밸 임(姙)과도 통하므로 여자의 생리(生理)와 관계가 있어 생명을 창조하고 유지하는 일을 주관한다. 임맥은 음의 성질을 가지고 있고, 성기와 항문사이의 회음혈에서부터 시작하여 아랫입술의 승장혈까지 이어지기 때문에 임맥이 발달한 사람은 아랫입술도 두툼하게 발달되어 있다. 사람뿐만 아니라 동물이나.어류.조류까지도 비슷한 유형을 지닌다. 여자는 달의 주기에 따라 한 달에 한 번씩 월경으로 피를 내보내기 때문에 항상 피가 부족하게 되어 임맥을 영양하지 못하므로, 여자들은 임맥이 끝나는 지점인 턱 주위에 수염이 없다고 한다. 

임맥(任脈)은 복부 중앙선을 상행하며 수족 삼음 및 음유맥과 화합하여 온몸의 음경을 총괄한다.
24개의 혈로 이루어지며 회음을 기시점으로 곡골, 중극, 관원을 거쳐 배꼽부위인 신궐에 이른다. 소장경의 모혈인 관원은 하단전으로서 정력 증강에 좋을 뿐 아니라 미용과 비만에도 빼 놓을 수 없는 중요한 혈이다.
상복 부에 이르러서는 수분, 하완, 건리, 중완에 이르고 상복 부의 중완은 위부에 위치하며 모든 만병은 물론이고 설사, 변비, 두드러기에도 좋다. 심경락의 모혈인 거궐을 지나 구미, 중정, 전중에 이르는데 전중은 거궐, 중완, 관원과 함께 비만에 중요한 혈로 활용가치가 높다. 흉부에서 옥당, 자궁, 화개, 선기로 흘러 천돌, 염천, 승장에 머문다.

 

-. 회음: 임맥, 독맥, 충맥이 모이는 회(會), 음(陰)의 맥이다. 정력증강에 좋은 혈이며 전후의 양음 사이에 있다.

  월경불순, 전립선염, 요도염, 음부통증

-. 곡골 : 곡(曲)(骨) 은 굽은 뼈이고 치골결합처를 가리킨다. 중극 아래 1촌부 위의 음모 부위의 움푹 들어간 곳. 하복부 피부 위를 손끝으로 만지면 바로 치골의 옆을 뻗어 나와있는 듯 느껴지는 곳. 자궁내막염, 방광마비, 고환염 등.

-. 중극 : 방광의 모혈,  배꼽 아래 4촌이며 족삼음, 임맥이 모이는 곳으로 그 위치가 배에 있으면서 인체의 상하좌우의 정 가운데에 있으므로 중극이라 한다. 신장염, 불임증, 자궁경련, 대하과다, 좌골신경통.

-. 관원 : 소장경의 모혈. 배꼽아래 3촌에 있으며 남자의 정(精)력을 저장하는 곳이며 여자의 혈(血)을 저축하는 곳. 관원의 관(關)은 빗장을 나타내며 원(元)은 원기를 나타내므로 관원은 원기를 보호하는 중요한 혈이 되고 원기의 음양이 만나는 곳이다. 남녀 생식기와 밀접한 관계가 있는 정력증강 과 비만과 하지비만에 좋은 혈이다. 신장염, 비뇨생식기 질환, 자궁염, 루머티즘

-. 기해 : 배꼽 아래 1촌 반 부위이며 남자의 생기지해가 되므로 기해라 하였다. 원기가 원활히 순행되면 모든 병의 치유를 촉진시키고 원기의 결핍은 질병의 치유를 지연시킨다. 기해는 신경과민, 심신증, 히스테리, 울화병 등 신경계 증상에 효과,하초의 냉허, 몽정, 비뇨생식기 질환, 신경쇠약, 발육부진

-. 수분 : 하완 아래로 1촌, 배꼽위로 1촌에 있다. 소장 하구에 해당되는데, 여기에 이르러 청독이 가려져서 분(分) 수액이

방광으로 들어가고 찌꺼기는 대장으로 들어가므로 수분이라고 명명했다. 설사증에 이 혈위에 압통점이 나타난다.

 복부팽창, 두통, 설사, 복막염, 구토, 설사

 -. 중완 : 위경의 모혈이다. 중완은 중기를 품고 영기가 나오는 곳으호 중(中)은 중심이 되며 완(脘)은 위장을 말한다. 따라서 중완은 위의 중심부를 나타내는 중요한 혈이며, 후천의 기를 생성하는 중심부가 된다. 안으로 위중과 연결성을 갖는데 비위는 폐, 간, 심, 신의 가운데 있으므로 중완이라고 한다. 위염, 위궤양, 위하수, 중초의 모든 증세.

-. 거궐 : 심경의 모혈이다.은 구미아래 1촌에 위치한다. 거(巨)는 크다는 뜻이며, 심장을 나타내고

궐(闕)은 제왕의 궁정이라는 뜻이다. 그러므로 거궐은 심장이 있는 존귀한 장소로서 심의 상태를 살피고 순환계의 질환을 주관하는 중요한 혈이다. 횡경막경련, 위경련, 협심증, 정신병.

 -. 전중 : 가슴의 양 유두사이를 단이라고 한다. 이 혈은 양 유두사이의 움푹 들어간 부위에 있으며 심의 중심에 해당하는 곳으로, 독기를 저지하고 심장을 지킨다는 뜻이 있다. 전(단)중은 상기해혈이라고도 불리며 기와 관계가 깊어 상초의 기를 다스리고 호흡기계의 질환에 효과가 있다. 가슴울혈, 늑막염, 늑간신경통, 유선염.

-. 천돌 : 천(天)은 하늘의 뜻이고 돌(突)은 갑자기, 나오다의 뜻으로 임맥이 가슴속으로 주행하다가 이 부분에 이르러 표면으로 나타나게 된다. 이 혈은 선기 위로 1촌에 있어서 맥기가 천에 통하게 되고 호흡을 따라 올라갔다가 아래로 내려오므로 모든 호흡기 질환에 유효하다. 얼굴충혈, 기관지천식, 인후염, 갑상선염, 식도경련, 성대의 질환.

-. 염천 : 음유맥과 임맥이 교회 하는 혈이다. 염은 모서리라는 뜻인데 인후의 결절의 모양을 말하며 또 설근 아래에 타액선이있으며 진액이 나오는 것이 마치 맑은 샘과 같으므로 염천이라 하였다. 기관지염, 인후염, 갑상선염, 천식, 언어장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