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久堂 基本鍼穴]
-. 後面 (8)
: 곤륜(崑崙), 위중(委中), 신유(腎兪), 고황(膏肓), 천종(天宗), 천료(天髎), 풍지(風池), 천주(天柱)
-. 前面 (7)
: 태충(太衝), 양릉천(陽陵泉), 중완(中脘), 수삼리(手三里), 합곡(合谷), 지창(地倉), 동자료(瞳子髎)
[무극보양뜸 혈자리]
- 남성(12개 혈자리)
: 족삼리, 곡지, 중완, 폐유, 고황, 백회, 기해, 관원
- 여성(13개 혈자리)
: 족삼리, 곡지, 중완, 폐유, 고황, 백회, 중극, 수도
<기본침 위치 및 혈성>
후면
1. 곤륜(崑崙)
屬經 : 足太陽膀胱經. 經火穴
位置 : 바깥 복사뼈 높이 올라와 있는 부위.
語源 : 원래 산 이름. 높고 큰 것을 상징.
作用 : 인체의 가장 높은 곳인 머리를 치료하는 주치.
穴性 : 祛太陽經邪. 理胞宮淸血. 舒筋化濕. 健腰强腎. 消腫止痛.
鍼灸穴名解
治頭痛如破最效. 卽上病下治也
2. 위중(委中)
屬經 : 足太陽膀胱經. 合土穴. 膀胱經.下合穴
位置 : 무릎을 구부렸을 때 오금의 중앙.
語源 : 委-힘이 빠지는 곳.구부러지는 곳. 中-가운데
作用 : 諸腰部疾患
穴性 : 淸血泄熱. 舒筋通絡. 祛風濕. 利腰膝. 止吐瀉
3. 신유(腎兪)
足太陽膀胱經,
근육/신경 : 요배근막 / 요신경후지
제2요추 극돌기 아래 명문옆 1.5촌
신경의 유혈, 신장(腎臟)에 가깝고 신경(腎經)의 기(氣)가 모여드는 곳이고 신장의 질환을 치료
신을 도와 정을 견고하게 지키며 열을 내리고 습을 내보내는 효능.
滋補腎陰 振氣化 祛水濕 强腰脊 益水壯火 益聽明目
4. 천종(天宗)
屬經 : 手太陽小腸經
位置 : 肩胛骨 中央 陷凹處
語源 : 天(심장.뇌)- 인체의 상부. 宗-높이고 우러른다.
作用 : 肩背痛, 肩臂痛
穴性 : 解太陽經邪, 宣胸脇氣滯.
5. 천료(天髎)
屬經 : 手少陽三焦經
位置 : 曲垣과 肩井의 중간
語源 : 天- 인체의 상부. 髎- 뼈 틈.
作用 : 肩背痛, 身熱汗不出, 胸中熱滿, 心煩.
穴性 : 淸神志. 解表熱
6. 고황(膏肓)
屬經 : 足太陽膀胱經
位置 : 第4胸椎棘突起 下傍 3寸
語源 : 膏肓- 心의 아래, 횡격막 위의 脂膜
作用 : 局部, 上氣, 虛損, 夢精, 健忘, 心臟疾患.
穴性 : 補肺健脾, 益氣補虛, 治勞益損, 寧心培腎
7. 천주(天柱)
屬經 : 足太陽膀胱經
位置 : 후발제 상 0.5촌 정중선 傍 1.3촌
語源 : 天- 하늘, 높은곳. 머리, 柱- 기둥, 목의 기둥
作用 : 局部, 頭風, 目眩. 項强.
血性 : 理氣淸火
8. 풍지(風池)
屬經 : 足太陽膀胱經
位置 : 風府 水平 흉쇄유돌근과 승모근 사이 함중
語源 : 風- 外邪. 池- 함요부. 풍사가 쌓이는 곳.
作用 : 中風, 偏麻痺, 偏頂頭痛, 目赤痛, 目眩, 外感發熱
穴性 : 調氣血, 祛風解表, 疏邪淸熱, 淸頭開竅, 明目益聽, 理氣關
전면
1. 태충(太衝)
屬經 : 足厥陰肝經. 原穴
位置 : 첫째와 둘째 中足骨
語源 : 太- 지극함. 음경맥의 원혈. 衝- 衝陽 옆. 빈곳. 陰血이 충만한 것을 상징. 腎經과 衝脈을 합쳐 太衝이라고도 한다.三陰은 太衝이 主가 된다.
作用 : 遺精. 疝氣. 尿閉. 全身麻痺
穴性 : 淸熄肝火肝陽, 疏泄下焦濕熱, 舒肝理氣, 通絡活血
2. 양능천(陽陵泉)
屬經 : 足少陽膽經. 合土穴. 筋會
位置 : 비골소두 전하연
語源 : 陽의 陵泉
作用 ; 偏風. 脚氣. 筋攣 등
穴性 : 舒筋脈, 淸泄濕熱, 驅腿膝風邪, 疏經絡濕滯, 强健腰腿
3. 중완(中脘)
임맥의 요혈로, 위의 모혈이며, 팔회혈의 부혈이고, 수태양.수소양. 족양명.임맥이 모이는 혈이다.
소화계통의 질병인 복장(腹張), 복사(腹瀉), 복통(腹痛), 복명(腹鳴), 토산(吐酸), 구토(嘔吐), 변비(便秘), 황달(黃疸), 위병, 식욕부진과 목현(目眩), 이명(耳鳴), 여드름, 만성허로, 신경쇠약에 효과.
4. 수삼리(手三里)
屬經 : 手陽明大腸經
位置 : 曲池下 2寸
語源 : 手- 上肢. 三里- 길이 및 인체의 上中下 세 곳의 안쪽을 가리킴.팔꿈치까지의 거리가 3촌.
作用 : 手三里는 배꼽위 횡격막 위에서 어깨와 등에 이르는 질환을 다스린다.
穴性 : 祛風通絡. 和胃利腸
5. 합곡(合谷)
屬經 ; 水陽明大腸經
位置 : 第2中手骨 中央 陷中
語源 : 合- 모인다. 谷- 함중
作用 ; 顔面部 諸疾患 應用. 太衝과 함께 四關을 이뤄 전신기혈 개통에 관여.
穴性 : 發表解熱. 疏風解表. 淸泄肺氣. 通降腸胃. 鎭痛安神. 通經活絡
6. 동자료(瞳子髎)
屬經 ; 足少陽膽經
位置 : 目外眦 外傍0.5寸 陷中
語源 : 瞳子- 눈동자. 髎- 뼈틈
作用 : 手太陽, 手足少陽 三陽經이 교회하는 자리로 靑盲, 風漏, 頭痛 등 치료
穴性 : 祛風泄熱, 淸頭明目, 消腫止痛.
7. 지창(地倉)
屬經 : 足陽明胃經
位置 : 口角 外傍 0.4寸
語源 : 地- 곡식을 생산하는 토지. 倉- 창고
作用 : 手足陽明, 陽維脈의 交會穴
穴性 : 祛風邪. 通氣滯. 利氣關. 扶正鎭痛.
[무극보양뜸]
무극보양뜸의 “무극(無極)”은 무한(無限)과 영원: “보양(保養)”은 보호(保護)와 양생(養生)을 뜻하는 것으로, “무극”은 우주의 생성과 운행원리인 “태극(太極)”을 비유하는 태초의 상태이며, 만물 근원의 광범위한 사유개념이다. 뜸의 효능은 바로 “무극”과 같이 광범위하게 전신을 영양하고 보호하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건강의 정의는 정기(精氣)가 충만하고, 전신의 음양(陰陽)이 균형을 이루는 상태로, 뜸은 음양설의 오행 원리를 응용하여, 오장육부의 균형을 통해 전신이 건강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역할을 한다.
“정(精)”은 신체의 근원이며, “신(神)”은 마음의 근원이다. 뜸은 “정(精)”과 “신(神)”을 통해 병을 미리 알고 예방하는 역할을 한다. 무극보양뜸은 모두 8개의 혈자리에 직접구 방식으로 뜸을 뜬다.
'동양의학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독맥(督脈) (2) | 2023.10.31 |
---|---|
임맥(任脈) (1) | 2023.10.31 |
기경팔맥 (奇經八脈) (1) | 2023.10.31 |
팔맥교회혈(八脈交會穴) (0) | 2022.06.09 |
12. 족궐음간경(足厥陰肝經) - 대돈(大敦).행간(行間).태충(太衝).중봉(中封).곡천(曲泉) (0) | 2022.04.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