道不遠人(도불원인)

정운종의 고전공부

한시/百聯抄解 (백련초해)

百聯抄解 2 (山頭夜戴..~白躑躅交..)

도원 정운종 2024. 6. 12. 18:28

21. 山頭夜戴孤輪月  산두야대고윤월

      洞口朝噴一片雲  동구조분일편운

산머리에는 밤새 외로운 달을 이었고

마을 앞 동구에는 아침에 한 조각구름을 뿜는구나.

 

22. 山影倒江魚躍岫  산영도강어약수

      樹陰斜路馬行枝  수음사로마행지

산 그림자 강물에 비치니 고기가 산 속에서 뛰노는 듯하고

나무그림자 길가에 드리우니 말이 나뭇가지 위로 걸어가는구나.

 

23. 山靑山白雲來去  산청산백운래거

     人樂人愁酒有無  인락인수주유무

산이 푸르고 흰 것은 구름이 오고가기 때문이요

사람이 즐겁고 시름하는 것은 술이 있고 없기 때문이네.

 

24. 山外有山山不盡  산외유산산부진

      路中多路路無窮  로중다로로무궁

산밖에 산이 있어 산은 다함이 없고

길가운데 길이 많아 길은 다함이 없네

 

25. 山上白雲山上盖  산상백운산상개

      水中明月水中珠  수중명월수중주

산위의 흰구름은 산위의 덮개요

물가운데 밝은 달은 물 가운데 구슬이라.   : 덮개 개

 

26. 山疊未遮千里夢  산첩미차천리몽

      月孤相照兩鄕心  월고상조양향심

산은 첩첩이 쌓여도 천리의 꿈을 막지 못하고

달은 외로워도 두사람의 고향을 그리는 마음을 서로 비추네.  : 거듭 첩, : 가릴 차

 

27. 山僧活計茶三椀  산승활계다삼완

      漁父生涯竹一竿  어부생애죽일간

산승의 생활은 차 석잔이면 족하고

어부의 생애는 낚시대 하나면 족하네.    : 사발 완 , 竿 : 낚시대 간

 

28. 白鷺下田千點雪  백로하전천점설

      黃鶯上樹一枝金  황앵상수일지금

흰 해오라비 밭에 내리니 점점이 눈송이이고

누런 꾀꼬리 나무에 오르니 한가지의 금덩어리구나.

 

29. 白雲斷處見明月  백운단처견명월

      黃葉落時聞搗衣  황엽락시문도의

흰구름 끊어진 곳에서 밝은 달을 보고

누런 잎사귀 떨어질 때 다듬이 소리를 듣네. : 다듬이 할 도

 

30. 白躑躅交紅躑躅  백척촉교홍척촉

      黃薔薇對紫薔薇  황장미대자장미

하얀 철쭉 붉은 철쭉 섞여 피어있고

노란 장미 붉은 장미 마주보며 피어있네. 躑躅 : 철쭉 나무/머뭇거릴 척.머뭇거릴 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