後 赤碧賦 (후적벽부)
是歲十月之望 步自雪堂 將歸於臨皋 二客從予. 過黃泥之坂 霜露既降 木葉盡脫. 人影在地 仰見明月 顧而樂之 行歌相答 已而歎曰 有客無酒 有酒無肴 月白風清 如此良夜何!
客曰今者薄暮 舉網得魚 巨口細鱗 狀如松江之鱸 顧安所得酒乎! 歸而謀諸婦 婦曰我有斗酒 藏之久矣 以待子不時之需.
於是 攜酒與魚 復游於赤壁之下 江流有聲 斷岸千尺 山高月小 水落石出. 曾日月之幾何 而江山不可復識矣 予乃攝衣而上 覆巉巖披蒙茸 踞虎豹登虯龍 攀棲鶻之危巢 俯馮夷之幽宮 蓋二客不能從焉.
劃然長嘯 草木震動 山鳴谷應 風起水湧. 予亦悄然而悲 肅然而恐 凜乎其不可留也. 反而登舟 放乎中流 聽其所止而休焉. 時夜將半 四顧寂寥 適有孤鶴 橫江東來 翅如車輪 玄裳縞衣 戛然長鳴 掠予舟而西也. 須臾客去 予亦就睡 夢一道士 羽衣翩躚 過臨皋之下 揖予而言曰 赤壁之遊樂乎? 問其姓名 俛而不答 嗚呼噫嘻 我知之矣. 疇昔之夜 飛鳴而過我者 非子也耶. 道士顧笑 予亦驚寤 開戶視之 不見其處.
(시세 십월지망 보자설당 장귀 어임고 이객종여 과황니지판 상로기강 목엽진탈 인영재지 앙견명월 고이락지 행가상답 기이탄왈 유객무주 유주무효 월백풍청 여차량야하!
객왈 금자박모 거망득어 거구세린 장여송강지로 고안소득주호.귀이모제부 부왈 아유두주 장지구의 이대자불시지수.
어시 휴주여어 복유어적벽지하 강류유성 단안천척 산고월소 수락석출 증일월지기하 이강산불가복식이. 여내섭의이상 리참암 피몽용 거효표 등사룡 반서골지위소 부빙이지유궁 개이객불능종언.
획연장소 초복진동 산명곡응 풍기수용 여역초연이비 숙연이공 름호기불가류야. 반이등주 방호중류 청기소지이휴언. 시야장반 사고적료 적유고학 횡강동래 시여차륜 현상호의 알연장명 략여주이서야 수유 객거 여역취주 몽일도사 우의편선 과림고지하. 읍여이언왈 적벽지유락호 문기성명 부이불답 어희희휘 아지지의. 주석지야 비명 이과아자 비자야야. 도사고소 여역경오 개호시지 불견기 처.)
--- 이해(임술년) 시월 보름날밤에 설당(讀書堂)에서 걸어서 장차 임고정으로 돌아가려 할 새 두 손님이 나를 따랐다. 황니 고개를 지나는데 서리 이미 내리고 나무 잎이 모두 떨어져버렸다, 사람 그림자 땅 위에 뚜렷하거늘 우러러 보니 밝은 달이 떠 있었다. 여기저기 둘러보다 즐거운 맘으로 걸어가며 노래를 불려 서로 답하니 그리고 노래 끝에 탄식하여 가로되 손님이 있으나 술이 없고 술이 있으면 안주가 없고나. 달이 밝고 바람이 맑으니 이리도 좋은 밤을 어찌해야 할까. 손님이 이르길 오늘 어스름 저녁에 그물을 올렸더니 물고기가 잡혔는데 비늘은 가늘고 입은 커다란 것이 마치 송강의 鱸魚(농어)를 닮았더라. 다만 어디에서 술을 구할 수 있을까. 집에 돌아와 아내에게 말하니 아내가 말하길 내 술 한 동이가 있으니 간직에 둔지가 오래라 하더라. 당신의 불시의 청을 기다렸노라.
이에 술과 고기를 가지고 다시 적벽아래 다시 노닐 새 강물은 출렁이는 소리요 깎아지 지른 듯한 언덕은 천척이라 산이 높으니 달이 작아 보이고 강물이 줄고 돌이 드러났다. 돌아 보건데 얼만 동안 지났는가. 강산의 옛 모습을 다시 기억 할 수 없고나. 나는 이에 옷소매를 걷고 뭍에 올라 가파른 바위를 딛고 오르며 빽빽한 나무를 헤치며, 호랑이 같은 괴암을 걸터타고 규룡 같은 나무를 잡고 올라서, 송골매 깃든 위험한 둥지를 거머잡고 오르고, 풍이 깊숙한 용궁을 굽어보니 두 벗님은 감이 나를 따라오지 못 한다. 휙-하고 길게 휘파람을 부니 풀과 나무 크게 떨고 산이 울리려 골자기가 이에 응하고 바람이 일고 물결이 춤(소용돌이)을 춘다. 나 또한 쓸쓸하게 슬퍼지고 숙연해저 오싹하고, 두려워 떨며 오래 머무를 수가 없을 새, 돌아와 배에 올라 중류에 배를 놓아, 물결치고 그치는 대로 내버려 둔다. 밤은 이미 깊어 사방을 돌아보니 적막하기만 한데, 외로운 두루미 한 마리가 강을 질러 동쪽에서 날아오니, 날개는 수레바퀴 같고 흰 저고리에 검은 치마 차려입고 날카롭게 긴소리 울면서 내 배를 스치듯 서쪽으로 날아가더라.
잠시 후 손님은 모두 돌아가고 나는 잠시 잠이 드니 꿈에 도사 한 사람이 날개옷을 펄럭이며 임고 아래 지나가다가 나에게 읍하고 말하기를 적벽에 놀이가 즐거웠소이까? 그 성명을 물으니 허리만 구부리고 대답하지 않더라 아~하! 슬프도다! 내 이를 알겠구나 어제 밤에 내 곁을 울며 날던 이가 바로 그대 아닌가 도사 돌아보며 웃거늘 나 역시 놀라움에 잠을 깨어 문을 열고 내다보니 어디로 갔는지 보이지 않더라.---
'한시' 카테고리의 다른 글
黃鶴樓 (황학루)_长江天际流 (0) | 2018.11.06 |
---|---|
登鸛雀樓 (등관작루)_欲窮千里目 (1) | 2018.11.05 |
赤壁賦 (적벽부) (0) | 2018.10.21 |
사계절/松下問童子/달밤의 이별 (0) | 2018.10.20 |
望廬山瀑布/絕句漫興九首(7)/江村/春望 (0) | 2018.10.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