道不遠人(도불원인)

정운종의 고전공부

전체 글 423

百聯抄解 2 (山頭夜戴..~白躑躅交..)

21. 山頭夜戴孤輪月  산두야대고윤월       洞口朝噴一片雲  동구조분일편운 산머리에는 밤새 외로운 달을 이었고 마을 앞 동구에는 아침에 한 조각구름을 뿜는구나. 22. 山影倒江魚躍岫  산영도강어약수       樹陰斜路馬行枝  수음사로마행지 산 그림자 강물에 비치니 고기가 산 속에서 뛰노는 듯하고 나무그림자 길가에 드리우니 말이 나뭇가지 위로 걸어가는구나. 23. 山靑山白雲來去  산청산백운래거      人樂人愁酒有無  인락인수주유무 산이 푸르고 흰 것은 구름이 오고가기 때문이요 사람이 즐겁고 시름하는 것은 술이 있고 없기 때문이네. 24. 山外有山山不盡  산외유산산부진       路中多路路無窮  로중다로로무궁 산밖에 산이 있어 산은 다함이 없고 길가운데 길이 많아 길은 다함이 없네 25. 山上白雲..

百聯抄解 1 (花紅小院.. - 螢火不燒..)

11. 花紅小院黃峰鬧 화홍소원황봉뇨      草綠長堤白馬嘶 초록장제백마시 꽃이 붉으니 작은 집에 누런 벌이 잉잉대고 풀이 푸르니 긴 방둑엔 흰 말이 울어대네. 12. 花下露垂紅玉軟 화하로수홍옥연      柳中煙鎖碧羅輕 류중연쇄벽라경 꽃 아래 이슬이 드리우니 붉은 옥이 부드러운 듯하고 버들 가운데 갖힌 연기는 푸른 비단이 가벼운 듯하다. 13. 花不送春春自去 화불송춘춘자거     人非迎老老相侵 인비영노노상침 꽃은 봄을 보내는 것이 아니지만 봄은 스스로 가고 사람은 늙음을 맞이하는 것은 아니지만 늙음이 서로 침입하네. 14. 風吹枯木晴天雨 풍취고목청천우     月照平沙夏夜霜 월조평사하야상 마른 나무에 바람몰아치니 맑은 하늘에 비가 오는 듯하고 쭉 펼쳐진 모래에 달비치니 여름밤에 서리내린 듯 하다. 15. ..

이앙기(移秧機)

農者天下之大本(농사는 세상의 근본)이라 한 적도 있었다. 지금같은 모내기 철에는 많은 농촌인력이 필요했던 시기도 있었다. 이앙기(移秧機 옮길 이, 모 앙,기계 기)와 트렉트가 농촌인력을 대체하고 그 노동력은 국가산업발전에 기여하게 된다. 그러나 아직도 쌀 농사는 식량주권의 필수조건이고, 이를지키는 농민들은 땀흘리고 있다. 우리 마을에서 일인다역(벼농사.딸기.정미소.마을일..)하는 농민행님이 새벽부터 일하는 장면이다. 이앙법(移秧法): 벼는 쉽게 이식할 수 있는 특징으로 이앙(移秧)을 통하여 경지를 점유하는 기간을 단축하여 토지 이용도를 높이고, 관개(灌漑)기간을 단축하여 관개수량(水量)도 절감하고, 새로운 좋은 입지에서 자라게 하여 수확량도 증가하게한다.

카테고리 없음 2024.06.01

百聯抄解 (花笑檻前.. ~ 花前酌酒..)

[百聯抄解]조선 명종때 하서(河西) 김인후 선생(金麟厚, 1510~1560)이 편찬한 한시교재이다.초학자에게 한시를 가르치기 위해 칠언시(七言詩)가운데 문장의 대련(對聯.聯句) 100개를 뽑아 한글 해석을 붙여 만든 책이다.  1. 花笑檻前聲未聽 화소함전성미청    鳥啼林下淚難看 조제임하누난간 꽃은 난간 앞에서 웃는데 소리는 들리지 않고 새는 수풀 속에서 우는데 눈물은 보이지 않네. - 이인로 破閑集 2. 花含春意無分別 화함춘의무분별    物感人情有淺深 물감인정유천심 봄뜻을 머금은 꽃들은 분별하는 마음이 없는데 경물을 느끼는 사람의 감정에는 얕고 깊음이 있구나. - 당, 白居易 3. 花因雨過紅將老 화인우과홍장로    柳被風欺綠漸除 유피풍기녹점제 꽃은 비가 지나감으로 인해 붉은 빛이 늘어가고 버들은 바람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