道不遠人(도불원인)

정운종의 고전공부

분류 전체보기 408

바람에 묻어온 봄을 봄

산청에서 "찾아가는 도립미술관" 작품이 전시되고 있네요.(기간:2024.3.26~4.14) 주민의 문화수준을 한층 높이는 이동 미술관!을 기획하고 실행하는 관련공무원들에게 박수를 보내고 싶네요. 이번 전시에서는 생활산수 화가.지리산 화가인 이호신 화백의 "찔레꽃" "황매산의 봄" 그리고 경남을 대표하는 매우 유명한 작가들의 작품들도 볼 수 있지요. .소감:봄 맞이 기쁨 (작가의 孫子가 탄생한 기쁨)을 찔레꽃의 만발함과 벌들의 생동감으로 표현한것 같네요..소감:황매산의 봄하늘 (파란 구름과 하얀 하늘처럼)이 경이롭네요.

나의 이야기 2024.04.03

구당 기본침. 무극보양뜸 혈자리

[久堂 基本鍼穴] -. 後面 (8) : 곤륜(崑崙), 위중(委中), 신유(腎兪), 고황(膏肓), 천종(天宗), 천료(天髎), 풍지(風池), 천주(天柱) -. 前面 (7) : 태충(太衝), 양릉천(陽陵泉), 중완(中脘), 수삼리(手三里), 합곡(合谷), 지창(地倉), 동자료(瞳子髎) [무극보양뜸 혈자리] - 남성(12개 혈자리) : 족삼리, 곡지, 중완, 폐유, 고황, 백회, 기해, 관원 - 여성(13개 혈자리) : 족삼리, 곡지, 중완, 폐유, 고황, 백회, 중극, 수도 후면 1. 곤륜(崑崙) 屬經 : 足太陽膀胱經. 經火穴 位置 : 바깥 복사뼈 높이 올라와 있는 부위. 語源 : 원래 산 이름. 높고 큰 것을 상징. 作用 : 인체의 가장 높은 곳인 머리를 치료하는 주치. 穴性 : 祛太陽經邪. 理胞宮淸血. ..

남사(南沙)마을 고가(古家)의 주련(柱聯)

* 사양정사 (泗陽精舍) 주련(柱聯) * 松林隙地築茅當 송림격지축모당水性山心轉渺茫 수성산심전묘망南國看梅詩欲瘦 남국간매시욕수東風吹雨日微凉 동풍취우일미량人情同夜難爲月 인정동야난위월世事如秋易變霜 세사여추이변상閒來自有超然處 한래자유초연처莫把無聊也自傷 막파무료야자상 소나무 숲속 사이에 초당을 지으니물 같은 성품과 산 같은 마음 아득하고 망망해지네.남국의 매화를 보니 시심이 희미해지고동풍에 비 뿌리니 날씨가 조금 서늘해지네.인정은 밤과 같이 어두워 달처럼 환하게 되기 어렵고세상일은 가을 서리에 쉽게 변하는 것 같네.한가할 때 스스로 오는 초연한 곳이니무료하다고 스스로 마음 상하지 말게.           - 회봉 晦峯 하겸진 河謙鎭 찬 撰 -  ------ * 이사재 (尼泗齋) 주련(柱聯) * 寄懷楚水吳山外 기회초..

나의 이야기 2024.03.18

學語集 (학어집)- 山川草木, 花草類

[山川草木] -. 山 : 土積而高起者爲山이니 其高千萬丈이라 草木生焉하고 禽獸藏焉이로다. 산 : 흙이 쌓여서 높이 일어난 것이 산이 되니, 그 높이가 천만 길이라. 풀과 나무가 나고새와 짐승이 감추어져 있다. -. 巖 : 石之大者曰巖이니 如虎而蹲하며 如龍而踞하야 不變太古之顔이로다. 바위 : 돌의 큰 것을 바위라 하니 범처럼 쭈그려 있는 것 같기도 하며 용처럼 웅크리고 있는 것 같기도 하여 태고 때의 모습을 변치 않는다. 蹲 : 꿇어앉을 준, 踞 :걸터앉을 거 -. 川 : 小水合流曰川이니 深爲潭이오 淺爲灘이니 晝夜流不息하여 魚鼈이 生於其間이로다. 내 : 작은 물이 합하여 흐르는 것을 내라 하니, 깊은 곳은 못이 되고 얕은 곳은 여울이 되니, 낮과 밤으로 쉬지 않고 흘러서 고기와 자라가 그 사이에서 산다. 鼈..

매신(梅信) - 산청삼매

[산청삼매(山淸三梅)] 봄이면 매화나무가 봄소식(梅信)을 알린다. 이른 봄 꽃망울을 튀우고 있을 산청삼매(山淸三梅)- 원정매(남사마을), 정당매(운리 단속사지), 남명매(덕산 산천재)를 친구들과 찾아가 본다. 남사예담촌의 하씨고택 마당에 있는 원정매(元正梅)는 고려말 원정공 하즙(河楫)선생이 심은 것으로 그의 시호가 원정(元正)이었던 데서 비롯됐다. 산청 3매 중 가장 오래된 수령 680여년을 자랑하던 원정매는 원목이 고사하고 지금은 후계목이 뿌리에서 자라 홍매화 피우고 있다. 운리 단속사 절터에 있는 정당매는 고려말 통정공 강회백선생이 단속사에서 공부하던 시절 심었다 한다. 강회백 선생의 벼슬이 정당문학에 이르렀다하여 정당매라 부른다. 650년 세월의 정당매 본목은 생을 다하여 화석이 되었고 지금은 세..

나의 이야기 2024.02.26

學語集 (학어집)- 天地氣象, 四時

學語集(학어집) 學語集은 조선후기 고종때 朴載哲이라는 사람이 自然과 萬物의 이치와 생태 등에 관한 글을 여러 책에서 뽑아 해설하여 어린이들이 쉽게 익힐 수 있도록 한 책으로서 萬物集이라고도 하며, 初學者用 漢文 學習書이다. 宇宙에 存在하는 天, 地, 日, 月, 星辰, 風, 雲, 雪, 雨는 물론 春夏秋冬과 草木, 家畜, 禽獸, 魚類, 昆蟲에 이르기까지 각 特性이 수록된 자연과학교재라 할 수 있다. 책의 뒷부분에는 三綱五倫 등 人倫道德에 관한 사항도 포함된다. 서당에서 千字文, 四字小學, 推句集 등을 공부하고 明心寶鑑에 들어가기 전 學語集을 통해 文章 해석에 필요한 文法과 助詞를 익힐 수 있는 책이기도 하다. 1. 자연 현상, 사시에 관한 내용 - 天地氣象, 四時 -. 天 : 天者는 蒼蒼在上하여 輕淸而至高하..

곽면우 선생의 학문_ 전문가 초청강연회 청강기

"근대전환기 면우 곽종석의 학술과 활동"을 주제로한 경상대 남명학연구소 주관의 전문가 초청강연회가 지리산 천왕봉이 보이는 덕산 선비연수원과 선생유적지인 남사마을에서 2/14-15일 진행됐다. 실재서당 학생으로 참석하여 청강한 내용 몇가지를 기술한다. - 면우 선생의 학문자세.영향 : 근대화 시기에 학문의 개방성과 다양성을 인정하고 통섭하는 자세 견지. : "중용"의 支分節解 및 경전은 統攝과 運用으로 해석하여 分辨에 치우치지 않음. : 퇴계학(이진상의 심즉리 철학)과 남명학의 진정성.혁신성.현실주의 정신을 융합하고 이으면서, 이후 진주 K기업가(엘지.삼성.효성..)탄생의 토양을 제공. - 면우문집 번역 : 4,600여편(시 1,900편)에 이르는 방대한 양의 면우집이 현재까지 한글번역되지 않아, 조속히 ..

나의 이야기 2024.02.15